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승훈 Hoon Lee Aug 06. 2023

핵심 자산 투자에 all-in 하는 스타트업의 마음가짐

회사는 자산을 기반으로 제품을 만들고, 이를 판매함으로써 매출/수익을 낸다. 자산은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회사의 근간인 것이다.


자산을 구축하기 위해 투자한다는 것은 위험을 수반한다. 

자산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자본 투자가 필요할 뿐 아니라, 해당 자산이 실질적 impact 를 만들어 낼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Cash 를 먼저 지출한 상태에서, 이후 Cash 를 회수하는 것인데, 자산 투자 기반 매출/수익이 언제부터 어떤 규모로 실현될지?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위의 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자산에 투자하지 않으면, 회사의 주력 제품 및 서비스는 현상 유지 상태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한 현상 유지가 1년 이상 진행되면, 유저가 점점 더 이탈하는 지점에 들어서게 된다. (유저의 기대치는 계속 증가하고, 세상은 계속 발전해 나가기 때문에, 회사가 현상유지 한다는 것은 곧 퇴보를 의미한다)


Ringle 의 경우에는 2021년부터 약 2년의 투자 끝에 1) 10대를 위한 화상영어 런칭, 2) AI 기반의 영어 말하기 역량 진단 엔진 개발 (유저가 수업 중 발화한 대다수 문장에 대한 전수 진단 실행 및 교정 제안), 3) Ringle 앱/웹 3.0이라는 기존 1:1 비즈니스 화상영어 앱/웹 업그레이드 작업을 완료했거나 진행 중에 있다. 그 과정에서 위의 작업을 위해 2021년 말 대비 현재 팀 규모가 150% 이상 증가하였다. 즉 핵심인재라는 고정비 항목에 투자하여 기술/제품이라는 자산을 구축한 것이다. 


단, 위의 자산들이 큰 규모의 impact을 만들어 내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회사가 만든 자산을 유저가 제대로 인지하고 잘 사용하는 데까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매출/수익이 발생하는 데까지는 또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요즘과 같이 자금 융통이 쉽지 않은 시기에는, cash flow 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기에, 회사는 위의 시차 (자산이 수익을 창출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외에도, 유저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 (예: 기존 서비스를 활용한, 취업/유학 준비생, 비즈니스 영어 정복이 필요한 직장인, 공인영어점수를 높이고자 하는 학새 등 대상 프로그램 운영 등)을 경주하며 회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많은 스타트업들은 큰 성장을 꿈꾼다. 현재 대비 10배, 100배, 1,000배 성장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더 나은 제품 사용 경험을 가능케 하는 자산들을 끊임없이 확보해 나가야 한다. 그 과정에서 회사가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위기의 순간들이 찾아올 수 있지만, 이런 과정 없이는 유저 대상 더 나은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없기에, 많은 스타트업은 위험을 수반한 투자를 지속해 나가야 하는 듯 하다. 


스타트업은 더 높은 성장을 위해, 회사가 망할 위기를 스스로 찾아 다니는 존재들 같다. 


ps. 자산이 아닌 곳에 자금을 지출하는 회사는 결국 퇴보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