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Education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unghwan Connor Jeon Jul 15. 2015

한국 학교, 미국 학교, 그리고 교육

한국 공립학교, 미국 공립학교 이야기

교직을 떠나며

11년. 좀 길다고 느낀 적은 있었지만 미국이라는 이국땅에서 살아낸 기간을 세어 보며 새삼 짧지 않은 시간이 흘렀음에 화들짝 놀란다. 나와는 다른 언어, 다른 문화의 학생들과 함께 한 지도 그 만큼의 시간이 흘렀다.  서울시 동부교육청 장학사와 휴직 가능 여부에 대해 문의할 때만 해도 미국에 이렇게 오래 있을 생각이 아니었다. 휴직이 가능했다면 한 2, 3년쯤 있다 한국으로 들어왔을 것이다. 휴직이 가능하지 않다는 이야기를 듣고 퇴직을 결심하면서도 미국은 한 번 거쳐갈 나라라고  생각했다. 한국에서, 중국 소재 한국 국제학교에서의 경험이 별로 길지 않아서 왠지 이 부분을 미완성으로 남겨 두는 것 같아 한국을 떠나면서도 기분이 상쾌하지 만은 않았다.


다시 교사가 될 수 있을까

미국에 와서 든 생각은 미국 땅에서 초등학교 교사는 나와 잘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 모름지기 초등학교 시절은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회 전반에 대한 기본을 배워야 하는 과정이라 그 사회를 잘 알고 있는 전문가가 맡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신나고 자신 있게 교직을 즐길 수 있었던 이유도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나에게 교사로서의 기본인 이 부분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곳에서 느꼈던 혼란과 내적 갈등은 내가 이런 기본을 가지지 못했고, 서른이 넘은 나이에 이런 것들은 어린 시절로 돌아가서 그 시간을 몸으로 체득하지 않는 이상 습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교직은 천직

하지만 미국 교실에서 아이들과 교사들을 보면서 그 생각은 조금씩 바뀌게 되었다. 어쩌면 내가 이 아이들에게 같은 피부색의 교사들이 줄 수 없는 다른 중요한 것들을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같은 피부색이나 같은 언어가 아닐 지언정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사는 같은 언어로 깊은 상처를 주는 교사보다는 어눌한 언어일 지라도  상처받은 마음을 위로하며 같은 눈높이로 서로를 바라볼 수 있는 교사라는 생각, 내가 부족하고 습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그 "기본"이라는 것도 경험에 의해서만 습득 될 수 있는 독특한 성질의 것이라기 보다는 훨씬 더 크고 포괄적인 "인간됨"이라는 생각은 결국 나를 천직인 교직에 다시 설 수 있는 용기를 주었다.


미국에서  교사되기

미국행 비행기 속에서 미국에서 교직을 다시 시작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을 수 있을 거라고 막연히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교직과정을 다시 이수하고, 교사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고, 한국과 다른 언어와 문화를 습득하고 가르칠 정도가 되는 것은 또 다른 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에 견줄 만한 것이었다. 나는 스스로를 아직 이 출산과 성장의 과정에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과 사뭇 다른 이곳의 시스템과 문화는 나에게 부끄럽고 당황스러운 시행착오와 함께 가슴 뿌듯한 보람을 주기도 했다.


지난 15년을 돌아보며

이 공간에 한국 공립교육과 미국 공립교육에 몸 담았던 지난 시간들을 틈틈이 정리해 두었던 생각과 사진들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교사로서 내가 시도했던 다양한 경험들을 정리하는 일은 매일 바쁜 일상을 살아 내야하는 나에게는 또 다른 내일을 제시해 줄 뿐 아니라 비슷한 꿈을 꾸고 있는 다른 이들에게 작은 이정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회가 어떻게 바뀌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