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울문화재단 Nov 10. 2016

최순실 퍼즐맞추기

[고재열의 리플레이]

그녀의 이름은 마법의 카드였다. 그녀의 이름을 넣으면 모든 것이 설명되었다. 그동안 설명되지 않던 것들이 말끔히 해소되었다. 왜 저 자리에 저런 인물이 앉아있는 것이지, 왜 정부가 나서서 저따위 사업을 하는 것이지, 하는 의문에 대한 답을 주었다. 다만 그 현실이 참담할 뿐.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송성각 콘텐츠진흥원장, 차은택 창조경제추진단장, 김형수 전 미르재단 이사장은 주연급 인물이다. 여기에 갑자기 해외문화원장으로 발령받은 이들(그것도 노른자위인 뉴욕문화원과 파리문화원에)은 조연급이라 할 것이고 이외 이들 주위의 수많은 인물들이 낙하산으로 내리 꽂혔다. 


그들은 참 부지런도 했다. 사방팔방에 안 걸친 곳이 없다.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을 통해 문화예술과 스포츠 분야에서 다양한 이권을 챙긴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에 마수를 뻗쳤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콘텐츠에도 관여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들의 간섭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에서는 정상적인 올림픽 준비를 하지 못할 지경이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김종 차관을 비롯해 문체부 공무원들은 그들의 수족처럼 움직였고 기업은 속절없이 털렸다. 이권이 오가는 자리에 벼락출세를 한 최씨의 주변인물들이 포진했다. 최씨가 단골로 마사지를 받던 운동기능회복센터 센터장이 K스포츠재단 이사장을 맡기도 했다. 미르재단은 최순실 게이트의 다른 한 축인 차은택 씨의 지인들로 꾸려졌다. 두 재단은 비리의 쌍두마차가 되었다. 


수십 억, 수백 억 예산이 최순실의 쌈짓돈처럼 쓰였다. 몇몇 문체부 공무원들이 제동을 걸긴 했지만 그들은 대통령으로부터 ‘나쁜 사람들'이라는 타박을 받고 물러나야 했다. 역시 최순실 일당이 기획한 것으로 알려진 ‘늘품 체조'를 추면서 대통령은 그들의 꼭두각시처럼 행동했다.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국가브랜드를 비롯해 그들이 관여하지 않은 것은 없었다.


‘문화 융성'을 시킨다며 ‘검열’로 ‘웅성’거리기만 한다는 박근혜 정부의 문화정책에 그들이 있었다. 이런 정황을 보여주는 다양한 문건들이 폭로되고 있다. 문체부는 최씨 일당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대한민국 창조문화융성 실행보고서’를 부정하며 그들의 간섭이 없었다고 말하는데, 그 말을 누가 믿어줄까?


박근혜 정부 집권 기간 동안 문화예술 예산은 비약적으로 늘었다. 특히 콘텐츠와 스포츠 분야 예산이 늘었는데 이런 예산은 대부분 최순실-차은택 씨와 관련된 사업을 위해 증액된 것들이다. 많은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는 융성하지 못하고 소문만 웅성거릴 것으로 보인다. 뒤늦게 문체부는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 1,278억 원 등 관련 예산을 삭감하기로 했다. 


이렇게 최씨 일당이 돈 잔치를 벌이는 동안 그 반대편에는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가 있었다. 무려 1만여 명의 문화예술인들이 단지 이 정부에 비판적이라는 이유만으로 발이 묶였다. 그들은 정부 지원사업에서 번번이 배제되었고, 공연을 앞두고 대관이 거절당하는 경우도 있었고 석연치 않은 이유로 섭외가 취소되곤 했다. 그들이 소외되고 고통 받는 동안 그 반대편에서는 이런 돈 잔치가 열린 것이다. 


박근혜 정부 아래서 벌어졌던 석연치 않은 문화예술 정책에 ‘최순실’이라는 이름을 넣으면 자연스럽게 퍼즐이 풀린다. ‘프랑스 장식미술전'의 상업 브랜드 전시를 반대했다가 물러난 김영나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의 퇴진이나 경력이 일천함에도 불구하고 성악가 한예진 씨가 국립오페라단장으로 임명된 과정에는 관여하지 않았는지 궁금하다. 


마지막으로 지적할 부분은 문화융성을 하겠다면서 중용한 인물들이 대부분 광고계 인물들이라는 점이다. 광고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문화의 축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광고는 그 성격상 이미 존재하는 것을 포장해서 더 높은 가치로 인정받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정책은 그 이상이어야 한다. 박근혜 정부의 문화행정이 보여주기 식이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증명한다. 


최순실은 큰 퍼즐이다. 그녀의 이름을 넣으면 불가해한 문화정책이 해독된다. 그녀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문화정책은 널을 뛰었다. 마찬가지로 작은 퍼즐이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작은 최순실’들이 권력집단을 형성하고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한민국의 문화정책을 좌지우지 했을 수 있다. 비극적 퍼즐이다.





고재열 시사IN 문화팀장

시사저널에서 기자생활을 시작했으나 '삼성기사 삭제사건'에 항의해 6개월 동안 파업을 벌인 후 사표를 내고 동료들과 시사IN을 창간했다. 블로그 '독설닷컴'으로 인터넷 논객 활동을 시작했으며 요즘은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 더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트위터 @dogsul | 페이스북 facebook.com/dogsuldotcom


작가의 이전글 1960년대 청춘들의 BGM과 함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