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울문화재단 Aug 16. 2018

8월 3째주 '서울' 문화소식

공연<퍼포논문>

8월 17일 ~ 26일

 

‘논문이 공연이 될 수 있을까?’ 한국학술정보원에 등록된 연극 관련 학위논문만 1천 편이 넘는다. 이들 중 연구 성과를 대중과 공유할 만큼 의미 있는 것도 넘쳐나는데, 대부분은 학위 인증 용도 외에는 도서관에 묻혀 있다. 서울문화재단은 오는 17~26일까지 삼일로창고극장에서 최신 논문을 공연으로 기획한 <퍼포논문>을 진행한다. 극장은 저자들에게 ‘논문을 무대 위에 실현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연극을 이론화한 텍스트가 무대로 되돌아간다’는 의미에서 논문의 또 다른 사용법을 제시한 셈이다.


<퍼포논문>에는 다른 장르의 두 공연이 이어진다. 17일부터 19일까지 오르는 <노래의 마음>(사진)은 저자 목정원이 프랑스에서 유학할 때 세월호 사건을 바라보며 느꼈던 감정으로 만든 곡들로 채워졌다. 사건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완성한 논문 <재현 불가능한 것을 다루는 동시대 공연에서의 몸의 장치들에 대하여>(프랑스 렌느2대학 공연예술학 박사, 2017)를 음악 콘서트로 구현한 것이다. 목정원 작사와 최정우 작곡으로 참여하는 포크 듀오 ‘기타와 바보’가 한국 관객들에게 처음으로 들려준다.


이어서 24일부터 26일까지 계속되는 <더 리얼>은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공연으로 ‘실제(real)란 무엇인가’에 관한 논의를 이어간다. 공연은 논문에서 파생된 주제인 ‘지금 이 시대 연극과 연기의 영역과 경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공연의 모티브가 됐던 논문은 ‘실제의 연극(Theatre of the Real) 창작 방법론 연구’(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7)이다. 

이 공연은 우리가 익숙하게 믿어왔던 ‘배우’와 ‘연기’의 개념에 대한 의문을 짚어본다. 공연은 논문에서 분석한 네지 피진의 <모티베이션 대행>, 크리에이티브 바키의 <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 쉬쉬팝의 <서랍> 속 일부 장면들을 차용한다. 


- 이규승 서울문화재단 미디어소통실 미디어팀장


삼일로창고극장
(노래의 마음) 금 오후 7시 30분, 토 오후 5시, 8시, 일 오후 6시 
(더 리얼) 금 오후 7시 30분, 주말 오후 3시
2만원
02-758-2150, http://www.nsac.or.kr/ 



전시 <그들이 꿈꾸었던 나라>

~ 12월 2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70주년 기념 특별전. 광복부터 정부 수립에 이르는 3년의 이야기를 재조명한다. 유진오 헌법 초안 원본을 비롯한 정부 수립 주요 자료 200여 점이 마련됐다. 당시 보통 사람들의 생각에 주목해 이들이 꿈꾸던 나라를 그려보면서 70년 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를 되새긴다.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198 (세종로 82-1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오전 10시 - 오후 6시
무료
02-3703-9200, http://www.much.go.kr/ 



공연 <이솝우화>

8월 17일 ~ 31일


이솝 우화 13편을 우리 가락에 녹여낸 가족음악극이다. 원작의 교훈적인 메시지를 봄날의 양, 여름의 해변, 가을의 볕과 바람, 겨울의 별 등 사계절 테마로 나누어 전한다. 극에 사용되는 모든 소리는 배우들이 북, 장구, 꽹과리, 징, 바라 등 다양한 전통악기로 구현해 생생한 무대 현장을 만든다.


서울 마포구 대흥로20길 28 (대흥동 30-3 마포아트센터)
화-금 오후 7시 30분, 주말 오후 2시, 5시
5천원
02-3274-8600, http://www.mapoartcenter.or.kr/ 



공연 <비평가>

8월 17일 ~ 9월 1일


스페인 극작가 후안 마요르가의 <비평가>를 극작가와 비평가 두 인물을 중심으로 만든 2인극이다. 냉정한 평가를 유지하려는 비평가와 그런 비평가에게 인정받으려는 극작가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을 그린다. 예술과 삶 어느 것이든 자기 목소리를 찾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서울 종로구 종로33길 15 (연지동 270 두산아트센터)
화-금 오후 8시, 주말 오후 4시
3만원
02-742-7563, https://www.doosanartcenter.com/ 



공연 <공工. 기氣. 결結>

8월 16일 ~ 18일


강원도 지역 문화와 전통 예술의 가치를 대중적으로 알리기 위해 원주문화재단과 정동극장이 함께 마련한 넌버벌 타악 퍼포먼스다. ‘정선아라리’ ‘한오백년’ ‘강원도 아리랑’을 즉흥 재즈로 연주한다. 생활 에피소드를 풀어낸 마임과 매스게임 형태의 군무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서울 중구 정동길 43 (정동 8-11 정동극장)
오후 8시 
3만원
02-3142-2461, https://www.jeongdong.or.kr/ 



매거진의 이전글 8월 2째주 '서울' 문화소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