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경작인 Jul 26. 2021

직장인이 버리기 어려운 3가지

월급, 인정, 그리고 안정감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직장인이 되었다. 내 주변에 있던 사람들과 비슷하게, 별로 고민하지 않고 그냥 어느 회사에 취업을 했다. 우리나라에 자영업자 비율이 높다는 이야기는 뉴스를 통해서만 들었을 뿐 체감은 하지 못했다. 스타트업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고 했지만 주변에서 진짜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은 본 적이 없었다. 그냥 어디서 이름 들어본 기업에 취직이 되면 좋은 거고, 설사 이름 못 들어본 기업에 취직이 되더라도 누군가 나에게 노동을 제공할 기회를 준다는 사실에 감사하며 그렇게 직장인이 되었다.



과거 기억을 떠올려보면 난 철이 없어서 그런가 대학교 3학년이 될 때까지도 내 미래=직장인이 될 것이라고 생각 못했다. 어른들이 정해준 길을 따라 대학에 왔고, 잘하면 꿈을 실현할 수 있겠다 싶었다. 그 꿈을 실현하는 방법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라는 것에서 사고가 멈췄다. 그것이 직장에 매인 사람, 급여생활자의 삶이라는 생각까지는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졸업반이 되면서 순식간에 나는 갑자기 취업이 인생의 목표인 사람이 되었다. 그 직장이 나에게 무엇을 주고 무엇을 빼앗아갈지 생각하지 못한 채.



그러다 문득 이런 물음이 생겼다. 나는 직장인이 됨으로써 어떤 것을 얻었나. 직장인이 되고 나서 좋은 점, 그래서 직장인 신분을 버리기 어려운 이유 말이다. 순전히 내 이야기이지만, 여느 평범한 직장인과 별 다를 바가 없는 그런 이야기다.








제일  번째, 대다수 직장인이 그렇듯이 월급이다.



내 월급.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내 월급.

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지만 정말 좋게 말해서 '작고 귀여운 내 월급'

좀 감정 실어서 말하면 '쥐꼬리만 한 내 월급'



'수'의 개념 자체가 추상의 것이다. 그런데 그 '숫자로 표현되는 월급'이 많다 또는 적다고 판단하는 것은 그 사람의 형편과 씀씀이까지 반영해야 하는 것이라 상당히 상대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혹은 모든?) 근로자들은 자기 월급이 적다고 생각한다. 주변을 둘러보면, 월에 100만 원 받는 사람은 물론이고 1,000만 원 받는 사람도 적다고 생각한다. 내 주변 사람들만 그런 건 아닐 것이다. '쥐꼬리만 한 월급'이라는 단어는 ai 자동완성까지 가능할 단어 조합이다.



사회초년생 때를 생각해보면 월급날이 언젠지도 모르게 월급이 통장에 들어와 있었다. 부모님 집에 얹혀살았고, 일을 배우느라 돈 쓰러 다닐 시간도 없어서 그냥 통장에 돈이 쌓여갔었다. 그땐 내 월급이 꽤 많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결혼하고 독립해 나오면서 스스로 집도 마련하고 살림도 살아야 하게 되면서 월급은 턱없이 부족해졌다. 긴 말 필요 없고 월급만으로 서울에 내 집 한 칸 마련하는데 드는 시간을 계산해보면 내 월급이 얼마나 한없이 작고 또 작은 존재인지 깨닫게 된다. 기준과 시점에 따라서 그 연수는 각각 다르게 나오지만 대략 15년 정도는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가능하다고 한다. 13년인지 17년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애초에 '한 푼도 안 쓰고'라는 가정부터 현실감이 떨어지고 앞으로의 월급 인상률과 집값 상승률의 차이까지 고려한다면 그냥 “요원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게 속 편하다. 아무튼 중요한 것은 눈앞에 닥친 현실의 벽에 비춰봤을 때 내 월급은 너무나도 먼지 같은 존재라는 점이다.



사실 이 월급, 없어도 살려면 충분히 산다. 없으면 없는 대로 살림을 맞추면 되니까. 없어지는 건 너무 극단적인 생각이니까 좀 적어진다고 가정해볼까? 작년만 해도 올해보다 적은 급여에 잘 먹고 잘 살았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작년보다 조금 덜 먹고 덜 쓰면 되는 것 아닌가. 물론 정신승리는 조금 필요하다.



어차피 풍족하게 먹고 쓰지도 못하는 월급, 없어도 그만이야~라고 생각하다가도 막상 이 월급이 진짜로 없어진다고 생각하면 그게 그렇게 아쉬울 수가 없다. 그나마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먹던 치킨도 못 먹게 되는 게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엄습해온다. 월급 안 받고 나 스스로 일궈서 돈을 벌면 되지 라고 호기롭게 생각하지만 막상 노동을 통해서는 100만 원도 스스로 만들어내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투자를  하는 사람이 없는 요즘 세상에 월급이 뭣이 중헌?라고  수도 있겠지만  생각해보면 그게  그렇지가 않다. 투자는 내가 일해서 수익을 내지 못할 상황을 대비해서 돈이 일하게 만들어놓은 시스템이다. 그렇다면 투자도 결국 리스크를 분산해놓은  아닌가. 반대로 말하면 돈이 기대치만큼 일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있기에 그때를 대비해서  몸뚱이를 끊임없이 굴려  푼이라도 수익을 창출해내야 리스크 헷징이 되는 것이라고   있다.



하. 진짜 이 애매한 녀석, 월급.

한 달 동안 피똥 싸면서 고군분투해야 겨우 벌어내는 돈이지만, 또 막상 그걸로 뭘 하려니 만족스럽지도 않고 그렇지만 없어진다고 생각하니 또 겁나 아쉬운 이런 녀석.



월급 얘기 계속해봤자 마음만 답답하고 어차피 답도 없다. 그냥 푸념만 는다.






직장인이 버리기 어려운   번째, 인정.

인정이라고 하면 뭐 대단해 보이지만 그냥 '나의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직장에서는 혼자 일을 하지 않는다. 아무리 작은 사업장이라고 해도 사장님과 직원이 있다. 나는 나의 일을 하고 너는 너의 일을 하지만 종종 협업을 하는 경우도 있고 나의 일 뒤에 너의 일이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그 과정에서 내가 해낸 일이 어떤 가치와 효용을 만들어냈음을 확인하게 될 때 우리는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게 된다.



꼭 누군가 인정해주지 않더라도 스스로는 안다. 자기가 땀 흘려 고생한 결과가 이 세상의 누군가에게는 빛이 될 것임을. 어떻게 보면 타인에 의한 인정보다 스스로에게 잘했다고 인정받는 게 더 어려운 일이다. 스스로 해낸 일에 대해 뿌듯함을 잘 느끼는 사람이라면 자존감 형성에 별 문제가 없겠지만, 이것도 습관이 필요하다. 직장 생활 또는 협업하면서 얻게 되는 타인의 인정은 스스로의 인정을 쉽게 가져올 수 있게 한다.



'스스로의 인정' 조금 다른 단어를 써서 이야기하면 성취감이라고도   있을  같다. 아무리 작고 하찮아 보이는 일이라도 결승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이  필요하기에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다. 일의 중요도나 난이도가 낮아도  일을 해냈을  성취감이라는  있다. 대체로 그런 일들은 자주 어나서 잦은 성취감을 느낄  있게  준다. 반대로 중요도나 도가 높은 일은 자주 일어나지 않지만 한번 해내고 나면  성취감을 얻을  있다. 어떤 일을 하든 성취감의 총량은 비슷할 것이다.



남에게 인정받는 것이 중요한 사람이 있고 스스로에게 인정받는 것이 중요한 사람이 있다. 어느 쪽이든 어떤 일을 해내고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받는 인정이 쌓이면 쌓여갈수록 자기에 대한 효용 감이 높아지게 된다. 직장생활을 하면 끊임없이 일이 주어지고 그것을 해내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니 타인과 자기 자신에 대한 '인정'을 받을 기회가 많아진다.





직장인이 버리기 어려운   번째, 안정감이다.



직장을 다니면 안정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 상당히 많다. 회사가 정한 출퇴근 시간에 회사가 정한 장소에 가서 회사가 시킨 일을 하면 된다. 스스로 무엇을 할지 어떻게 할지를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매달 정해진 급여를 받고 항상 비슷한 생활을 해나갈 수 있다. 내가 고민하지 않아도 내가 갈 길은 대부분 정해져 있고 그 길을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매일 아침 눈 떴을 때 무엇을 해야 할지 스스로 개척해나가며 매일 다른 벽에 부딪치는 삶을 사는 것보다 수백수천 배는 안정적이다.



또 회사에 가면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비슷한 고민을 하고 비슷한 생활을 영위하며 비슷한 꿈을 향해 함께 간다. 책, 티브이, 신문 심지어는 유튜브만 켜도 나와 삶을 바라보는 관점이 180도 다르고 훨씬 더 밀도 있는 삶을 사는 사람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현실세계에서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나와 비슷하다. 조금 부지런하면 아침 1시간 일찍 일어나 운동을 하는 정도겠다. 나와 내 주변 사람들의 차이는 그냥 그 정도다. 각자의 우물 안에서 비슷한 사람들끼리 인생은 다 이렇게 사는 거지 위안하며 살아간다.



막상 글로 쓰다 보니 이 안정감의 정체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하기가 어려운데 어쨌든 최소한의 것만 해내면 내일도 모레도 1년 후에도 지금과 비슷한 삶을 살 수 있고 또 이런 삶이 크게 사회적 규범을 어긋나는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매 순간 확인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더군다나 확실한 신분까지 얻게 될 때 안정감은 폭발한다. 직업을 갖게 된 뒤로는 누군가에게 나를 설명할 때 아주 쉽고 간결해졌다. "OO기업 다녀요" 혹은 "저는 건축가/개발자/디자이너/회사원/간호사/회계사/공무원 이에요" 라고 설명하면 상대방이 쉽게 이해하고 아 그렇구나 한다. 나를 표현할 수 있는 수없이 많은 특성 중에서 직업이라는 단어 하나로 나를 설명해버린다는 게 수많은 ‘내 안의 나’들에게 다소 미안해지는 일이지만 살아보니 이거 굉장히 편하고 좋은 순간이 많다. 내가 나를 설명할 때뿐 아니라 나의 부모, 자녀, 지인들이 나를 설명할 때도 그렇다.



남들이 나를 두고 뭐라 생각하건  상관이야 싶지만 생각보다 남한테 어떻게 보이는 것이 중요한 순간이 많다. 한마디로 집에서 그냥 노는 사람은 되고 싶지가 않은 거다. 그렇지만 실제로 집에서 노는 사람은 없다. 집에서 생산활동을 하면서 돈을 버는 사람도 있고, 돈을 벌지는 않더라도 어떤 효용을 꾸준히 만들어낸다. 예를 들면, 가사노동이랄지 육아랄지 다른 범주의 돌봄 노동이랄지 하는 것들을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고 설명할  있는 확실한 job' 없으면 집에서 노는 사람처럼 보이는  현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그걸 이겨낼 정도로 탈이 강하지가 않다.










나름 전공을 살려 동종업계로 취업을 했는데도 자아실현 같은 건 직장인이 됨으로써 얻은 것 같지가 않다. 오히려 자아실현은 직장에서 이뤄내는 것이 아니라 직장을 나가야 이뤄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얻은 것은 자아실현이라기보다는 소소한 성취감 정도겠지.



글을  적고  읽어 내려가 보니 다소 냉소적인 어조고 느껴진다. 하지만 사실  직장인이 되었다는 사실이 그렇게 슬프지는 않다. 나름 이게  성정에  맞다고 생각하면서 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구심은 종종 든다. 과연 이것이 나에게 최선의  것일까 하는 그런 생각 말이다.  생각의 깊이가 참을  없을 정도로 깊어지고 빈도가 잦아질  격변의 순간이 오게 되는 건가 싶다.




작가의 이전글 투자는 왜 윤리적이지 못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