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쉬즈N Oct 27. 2021

시험관아기 이식 후 주의해야 할 부분

안녕하세요 쉬즈한의원 신촌점 신예지원장입니다. 


오늘은 착상 시기에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 나눠 보겠습니다.


오랜 몸 만들기와 주사, 채취, 그리고 이식 과정을 거친 후에는 가장 중요한 착상을 기다리는 시기가 오게 되지요. 착상은 신의 영역이라는 밀을 할 정도로 좋은 내막과 좋은 배아를 가지고도 예상치 못한 실패를 겪기도 하고, 얇은 내막과 중급 이하의 배아로도 착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착상을 온전하게 컨트롤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맞습니다. 그렇지만 좀더 좋은 착상, 임신에 성공하도록 노력하는 일은 반드시 필요합니다.(신을 감동하여 착상을 도울지도 모릅니다^^)



착상은 배란일로부터(채취일로부터) 5~7일째에 일어나게 됩니다. 배란이 된 후에는 배아, 난관, 내막이 각각 다른 방식으로 착상을 준비하게 됩니다. 배란이 된 후 배아는 1~3일까지는 평균 한 번의 난할을 하게 되며(2->4->8세포기) 이후에는 빠른 분열과 함께 포배를 만들어 5일째 정도에는 원래의 세포막에서 부화하여 내막 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자연임신 시에는 난관 끝에서 난자를 기다리던 정자들과 배란된 난자가 만나 수정과 분열이 일어나며 4일 정도에 걸쳐 자궁 안으로 이동이 되는데, 이때 난관이 섬모운동을 통해 배아를 자궁으로 옮겨줍니다. 내막은 배란후 배란기와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여 5~7일째에 pinopod라는 구조물이 뻗어나와 착상이 일어나도록 하고, 이 시기가 지나면 더 이상 배아가 내막을 탈출하지 못하도록 내막층이 닫히게 됩니다.



시험관 이식 시에도 자궁에 동일한 변화 과정이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3일 배아를 이식하든, 5일 배아를 이식하든 동일한 시기에 착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착상 시기에 주의하고 노력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실 부분들을 위주로 설명드릴게요.


1. 이식 후에는 누워있거나 입원하는 것이 좋은가요?


논문 상으로 입원을 하는 것이 착상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저도 입원이 반드시 필요한가에 대해 질문하시는 분들에게 입원을 권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이식 후에 무리를 하지 않는 편이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 득이 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배아는 생각보다 자궁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자궁 내막은 혈액이 충만하고 푹신한 두 개의 면이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큰 마찰력을 가지고 있고, 배아는 아주 가볍기 때문에 걷거나 뛴다 하더라도 배아의 무게보다 마찰력이 더 큽니다. 왠만해서는 운동을 열심히 한다고 배아가 탈락되지는 않는 것이지요.


또 이식 직후에 진료실에서 걸어나간 군과 이식 후 두 시간 누워 있다가 걸어나간 군의 임신률을 비교해 봤을 때 이식 후 바로 걸어나간 군에서 성공률이 더 높았다는 논문 결과도 있었습니다. 적어도 이식 후 운동이 착상에 부정적인 결과를 주지는 않더라는 의미입니다.


임상 경험으로 봤을 때, 시험관 임신을 성공하신 분들 중에 이식 직후(혹은 2~3일 후)부터 출근을 했던 3교대 간호사, 스트레스가 많은 은행원 등에서도 이식 성공이 있었으니 일상적인 외출과 생활은 착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입원이나 오랜 침상생활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니, 누워있는 것이 답답하다고 느끼신다면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하셔도 좋습니다.


2. 이식 후에 배에 따뜻한 찜질을 하는 것이 좋나요?


임신을 준비하면서 배가 따뜻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서 아시는 분들이 많은 겁니다. 그런데 이식 후에도 꾸준히 배를 따뜻하게 해야 할까요? 

임신을 준비하면서 배가 따뜻해야 하는 점은 사실입니다. 자궁과 골반의 혈류가 좋아져야 내막 나선동맥 구조가 잘 발달하여 더 좋은 질의 내막이 만들어져 착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식 직후에는 복부의 찜질을 자제하라는 이야기도 들어 보셨을 겁니다. 배아는 단백질 조직인데 자궁 온도가 높아질 경우 배아의 변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단백질은 체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변성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식 후 복부를 썰렁하게 놔두는 편이 좋을까요?

이식 후에는 되도록 복부에 온도가 잘 유지되도록 따뜻하게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서늘할 정도로 차갑게 두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만약 하복부나 허벅지, 엉덩이가 차가운 분이라면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은 따뜻하게 보온해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비만하고 복부에 지방이 풍부한 분이라면 복부가 더욱 냉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볍게 찜질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대신 뜨거운 핫팩을 부착하거나 뜸돌을 올리거나 쑥뜸을 뜨는 것은 금지하고 있습니다. 

복피가 얇은 분은 보온에 신경쓰는 정도로 해주세요.


3. 이식 후에 특별히 신경써야 할 식이가 있나요?


보통 이식 후 착상을 위해 당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분들이나 고영양 식이를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잉어즙이나 추어탕, 곰탕 혹은 포도즙을 드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이식 후 누워 있기+고영양식이로 인해 매번 이식때마다 2~5kg씩 체중이 증가하는 분들도 많이 계시지요?


그런데 실제로는 착상을 위한 내막의 질은 이식 당시에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착상 시기에 열량이 더 필요하다는 것도 일상 중에서 섭취하는 열량으로 충분한 것일 뿐, 착상을 위한 특별한 식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과도한 음식 섭취로 인해 체중이 증가하면 이후 임신의 유지에도, 다음 임신의 시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이식 후에는 편안하게 일상적인 식사를 하셔도 좋습니다.



오히려 저는 배탈을 주의하라고 말씀드리는 편입니다. 설사가 일어날 경우 자궁에 원치 않는 수축을 유발하여 초기 착상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복통을 유발할 수 있는 날음식이나 찬 음식, 기름이 지나치게 많은 음식은 피해 주세요.


작가의 이전글 자궁내막두께 늘리고 내막의 질을 높이는 3가지 필요조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