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어떤 자리에서도 모든 구성원을 어우를 수 있는 마법의 대화 소재가 있다. 바로 MBTI 검사이다.
우리는 왜 이렇게 MBTI를 좋아해서 각종 MBTI 테스트가 세상에 난무하고 있는 걸까?
나도 MBTI를 굉장히 좋아하는 편이다. 내 성격유형인 ENFP를 구글에 검색해서 나온 100여 개의 결과를 쉬는 날 하루 종일 읽어보곤 하고, 보는 사람마다 MBTI를 물어보고 어떤 성격인지 찾아보면서 그 사람의 지난 행동이나 말투를 떠올려보며 얼마나 잘 맞는지 확인해보곤 했다. 단 16개의 유형을 파악한 것만으로 세상 모든 사람이 내 손바닥 위에 있는 것 같은 우쭐한 느낌을 받는 것도 굉장히 즐거운 일이었다.
우리가 MBTI를 이렇게까지 좋아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첫 번째로 MBTI유형 분석으로 나를 알고 싶어 하는 욕망을 채울 수 있다.
거창하게는 자아정체성을 찾아가려는 욕구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쉽게 말해, 우리는 모두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앞으로 어떤 삶을 살게 될지, 어떤 것들과 잘 맞고 안 맞는지 알고 싶어 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오락가락하는 내 모습 중에 진짜 내 모습이 어떤지 그리고 더 나아가 그런 내가 어떤 사람이랑 잘 맞는지를 간략하게라도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MBTI유형으로 나 자신을 소개하고 상대방을 파악하기 쉬워졌기 때문이다.
긴 대화를 통해 서로의 성격적 특징을 구구절절 알아갈 필요 없이 단지 알파벳 4글자로 표현할 수 있고 개인마다 다른 약간의 특이점만 첨언하면 된다. 이 얼마나 효율적인 방법인가. 심지어 같은 유형의 글자가 많이 나올수록 공감대 형성이 쉬워지고, 그 반대의 경우라도 반대되는 특성이 어떤지 알고 있으니 상대방에 대해 파악하기도 훨씬 수월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MBTI는 좋은 아이스브레이킹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혈액형으로 서양에서는 별자리로 시작될 수 있었던 그 소소한 대화의 시작이 이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MBTI를 통해 서로를 소개할 수 있게 되었다. 간단하게 유형 4글자를 서로 묻고 이야기해주는 경험을 통해 "나는 이런 사람인데 당신을 알고 싶어요"라는 메시지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고, 보다 쉽게 상대방과의 친밀감을 쌓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MBTI가 100% 맞는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의 경향성은 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정도의 유행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을까? 사실 이런 종류의 사람을 유형별로 구분해서 정의하는 방식은 항상 우리의 인기를 얻어왔다. 지난 시절에는 위에서 언급했던 혈액형별 특징과 별자리 성격유형이 있었고, 지금도 우리는 연례행사로 매년 기꺼이 큰돈을 지불해서 통계학에 근거한 사주팔자를 보기도 하지 않는가.
우리는 언제나 누군가의 마음을 읽고 싶고, 특히나 요즘엔 더 빠른 시간 안에 그 사람을 파악하고 싶어 한다. 그 대상은 나 자신으로 시작해서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될 수도 있고, 가족부터 친구, 직장동료까지 지금보다 더 좋은 관계로 발전시키고 싶은 사람이 모두 그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대방의 유형을 물어본 후 특성을 파악해서 오해를 줄이고 더 효과적으로 친밀감을 쌓는 등 여러 방면에서 MBTI가 효과적인 인간관계의 툴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요",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고 싶어요"라는 부담 가득하고 입 밖으로 꺼내기 어려운 이 문장을 "대니씨는 MBTI가 뭐에요?"라는 쿨해 보이고 가벼운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게 우리가 MBTI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아닐까.
평소에 더 알고 싶었던 그 사람에게 넌지시 이런 질문을 던져보는 건 어떨까요?
"당신의 MBTI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