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상화 Feb 25. 2019

단골집이 사라졌다.

 이렇게 코가 떨어져 나갈 정도로 추운 날씨에는 아주 오랜 단골 집에 가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칼국수 한 그릇을 몸안에 가득 담아오고 싶어 진다.
 문제는 그 오랜 단골집이 한두 해전에 없어졌다는 것.
언젠가 오랜만에 찾은 그 자리는 누가 봐도 주인 없는 공간이었고 맞은편 가게 할머니에게 그 간의 소식을 전해 들을 수 있었다.
 세월이라고 써야 어울릴만한 긴 시간 동안 그 자리에서 칼국수를 끓여내던 주인아주머니는 얼마 전 몸이 안 좋아져서 가게를 그만두었다는 이야기.

 오래된 잠실의 한 아파트 지하상가.
칸칸을 나눠 여러 집이 장사를 하는 그곳에 그 칼국수집이 있었다.
그 집 칼국수가 그렇게 내 입에 맛있을 수가 없었다.
우연히 발을 들인 그 날 이후로 나는 계절과 시간을 가리지 않고 그 집을 드나들었다.
폭염이 기승을 부려 땀이 뻘뻘 나는 한여름에도 나는 그곳을 찾아 칼국수를 먹었다.
당연히 주인아주머니도 계절과 시간을 가리지 않고 그 자리에서 국수를 끓이고 팥죽을 쑤었다.

 아주머니는 말수가 적었다.
표정도 몇 가지 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자주 찾는 나를 알아봐 주고 항상 반겨주었다.
그 칼국수 맛이 허름한 지하에만 머물러있는 것이 아까워 나는 진지하게 칼국수 집을 낼까 생각하기도 했다.
그렇게 1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꽤 많은 나의 끼니를 책임져줬던 곳이 사라졌다.
직접 담근 배추김치와 열무김치, 간이 잘 된 진득한 국물, 탱탱한 면발, 한 여름 덜덜거리며 돌아가던 선풍기,
그리고 매번 말없이 앉아계시다가 칼국수를 다 먹을 때쯤이면 어김없이 "밥 좀 줄까" 하시던 그 마음씨 좋은 주인아주머니까지.

모두 영원히 사라져 버렸다.

이 세상 영원한 건 없으니
사람은 있을 때 잘하고
음식은 있을 때 많이 먹어두자.

작가의 이전글 책이 선물이라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