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채자까 Jan 03. 2021

1000만원 포트폴리오를 시뮬레이션 해봅시다. (2)


안녕하세요, 채자까입니다.


기억하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2020년 초에 1000만원으로 가상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는데, 2020년 장이 끝난 시점에서 그 성과가 어땠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천만원으로 2017년부터 포스팅 날짜인 2020년 3월까지의 포트폴리오별로 투자 성과를 리뷰했었는데, 총 5개의 종목으로만 구성한 포트폴리오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삼성전자, 애플과 미국의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SPY, 미국의 배당성장주에 투자하는 ETF인 VIG, 미국의 10년 이상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ETF인 TLT를 활용해 각 주식의 비중을 달리하며 포트폴리오를 리뷰했었죠.


백테스트 결과 가장 성과가 좋았던 1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의 성과가 어땠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포트폴리오 구성 : 삼성전자우 30%, 애플 30%, SPY 20%, VIG 10%, TLT 10%



만약 2017년 첫 날에 천만원으로 위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면, 2020년 연말의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투자 성과


무려 +157%의 성과를 거뒀습니다. 원금 천만원이 약 2650만원으로 불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테스트 결과에는 배당금은 제외한 수치이므로, 배당금을 고려해서 배당재투자를 했다고 하면 조금 더 성과가 좋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위 결과에서 주의하셔야할 점이 2017년 초에는 애플의 가격이 $116이었고, 2020년 말에는 $132였는데 왜 수익률이 312%냐고 의아해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애플이 2020년 9월 1일에 주식분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2020년의 애플 주가를 주식분할 전으로 환산하면 $132 * 4 = $528 가 되기 때문에 312%의 수익률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2020년 한 해동안의 성과는 어땠을까요?


2020년 연초부터 연말까지의 투자 성과

위의 표에서 보시다시피 +37%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엄청난 수익률입니다. 2020년 기록적인 수익률을 기록한 나스닥과 코스닥의 수익률이 각각 42.6%, 44%인데 비교해도 손색 없을 정도의 수익률을 거뒀을 뿐만 아니라, 종목의 분산으로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만약 제 동생이 이렇게 투자를 했었더라면 꽤나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두지 않았을까 합니다. 하지만 항상 실천은 별개의 문제여서 쉽게 투자하지 못했죠. 이상으로 1000만원 포트폴리오 후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작가의 이전글 2020년 연간투자보고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