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지로 견인하는 맛 ‘우일집’‧‘을지로전주옥’
[유성호의 맛있는 동네 산책] “마침내 모두, 그림과 액자가 다시 하나가 되어야 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 글은 1898년 오스트리아 빈 분리파의 첫 번째 전시회가 열린 직후 ‘독일 미술과 장식’이라는 잡지에 실린 논평의 일부다. 그림 액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논평이다. 그림 액자는 서적의 장정(裝幀:책의 겉장이나 면지(面紙), 도안, 색채, 싸개 따위의 겉모양을 꾸미는 일)과 비교된다.
액자와 장정은 한 시대의 양식, 삶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는 문화지표로 작용하는 데, 특히 액자는 그림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그러나 우리의 시선은 항상 그림 중앙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다가 액자와 맞닿는 곳에서 멈춰 서거나 훌쩍 뛰어넘어 버리고 만다.
이는 액자의 중요성이나 예술적인 면에 대해 미술사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못한 이유가 크다. 미술 평론가들은 미술가의 작품만을 평론할 뿐 액자를 논할 특별한 이유가 없다. 외려 그림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릴 우려 때문에 기피할지도 모른다.
그림의 생사여탈권을 쥔 액자
목마른 자가 샘을 파기 마련이다. 그래서 액자 전문가가 직접 액자의 중요성을 외치고 나섰다. 약 30여 년간 액자 장인으로 활동한 W.H.베일리가 쓴 ‘그림보다 액자가 좋다’(원제 : Defining Edges : A New Look at Picture Frames)는 그림의 ‘생사여탈권’을 쥔 액자 이야기다.
저자는 뉴욕에서 활동했던 미술 액자 전문가로 파슨스 디자인 스쿨과 뉴욕 LIM대학에서 전시디자인을 가르쳤다. 그는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세잔, 반 고흐, 피카소 작품의 액자를 디자인한 베테랑이다.
그는 액자의 기능 중 가장 의미 있는 것은 관람자와 그림 사이의 중재자 역할이라고 소개한다. 너무 크거나 장식이 과도한 액자는 그림을 압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고 초라한 작품으로 전락시킨다는 지적이다. 반대로 액자가 왜소하고 장식이 지나치게 단조로우면 그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조언하고 있다.
중재자로서 액자의 역할은 그림 속으로 관람자를 초대하면서 일단 경계 안으로 빠져들면 쉽게 빠져나갈 수 없도록 시선을 그림 안에 묶어둘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때 액자는 관람자의 눈과 마음이 그림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포용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현대 미술계의 새로운 코드로 부상한 구스타프 클림트는 동생인 게오르그와 협업을 통해 불멸의 작품을 남겼다. 집안이 금세공업을 하는 관계로 클림트의 그림에는 금박 패턴이 많이 등장한다. 동생이 액자를 만들었음직한 ‘유디트Ⅰ’은 그림과 액자가 일체형인 독특한 양식의 작품이다.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액자는 동생이 만들었겠지만 모양은 형의 주문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화가가 직접 액자를 디자인‧제작까지
이같이 화가 자신이 직접 액자를 디자인하는 경우도 많은데, 에드가 드가 ‘판화 수집가’, 조르주 쇠라 ‘포즈를 취한 여인들’, 한나 글룩 ‘자화상’, 피에트 몬드리안 ‘구성 B(흰색과 붉은색의 구성)’, 살바도르 달리 ‘머리에 구름을 가득 담고 있는 한 쌍’, 제스퍼 존스의 ‘평면 위의 무용수들’이 그것이다.
디자인으로만 성이 차지 않아서 직접 제작에 나선 화가들도 있다. 이때야말로 그림과 액자가 완벽한 조화를 이룰 수 있다. 그래서 일부 화가는 실제 액자를 사용하는 대신 캔버스 위에 액자를 그려 넣는 방법으로 그림의 주제의식을 극대화시키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빈센트 반 고흐의 ‘과일 정물’로 동생 테오를 위해 그린 정물화다. 현존하는 고흐의 작품 중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액자다. 그의 그림 액자는 소장자의 저급한 취향과 무지, 전쟁 등으로 모두 파괴됐다. 이 작품에서 고흐는 액자가 그림을 확장하는 동시에 그림을 담는 용기(用器) 역할을 했다고 저자는 해석했다.
자세히 보면 두 가지의 다른 황색 계열 물감을 사용하면서 직사각형 모양의 격자무늬로 리듬감을 주었다. 이 같은 붓질은 관람자의 시선을 그림 속 정물로 이끌고 들어가 평화로운 가을 낮에 잘 익은 과일을 즐기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액자와 그림의 행복한 동거’라고 표현한다.
저자에 따르면 액자의 개념은 이미 선사시대에 존재했다. 밝은 낮 시간 동굴에서 밖을 내다볼 때 입구 틀에 둘러싸인 풍경은 액자의 존재와도 같다는 개념이다. 실질적으로 그림에 틀을 사용하기 시작한 때는 초기 기독교 시대라고 한다.
당시 성상화(이콘, icon)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진 틀이 교회의 번성과 맞물려 부를 과시할 목적으로 제작되면서 발전한다. 르네상스 시대 ‘전시’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작품에 액자를 두르는 일은 유행처럼 이탈리아를 기점으로 전 유럽에 이어 무역로를 따라 러시아, 소아시아, 남아메리카까지 퍼져 나가 오늘에 이른다.
이 책에는 이러한 선사시대 틀의 개념과 초기 교회시대의 이콘을 보관하는 장치에서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써의 테두리, 그리고 궁극에는 그림과 행복한 동거를 위해 관람자의 시선을 잡아두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발전한 액자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다 읽고 나면 그림 보는 '제2의 눈'이 뜨여질 것인가는 독자의 몫이다.
‘파리에서 달까지’의 저자 애덤 곱닉은 책 서문에서 “액자는 그림의 진정한 의도가 무엇인지 자백하는 만드는 훌륭한 탐정”이라고 정의한다. 그림을 둘러싼 액자 이야기를 장황하게 한 이유는 이번 서울미래유산에 화랑이 집중적으로 발굴돼 선정됐기 때문이다. 필자는 서울미래유산과 인연으로 각별한 애정이 있기 때문에 기회만 있으면 소개하고 있다.
미래유산 아카이빙 보고 방송촬영 잇달아
2016년에 서울시‧서울신문과 공동으로 ‘서울미래유산 역사탐방’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서울시와 미래유산 시장 아카이빙 작업을 했다. 중부시장, 구로시장, 서울풍물시장 등 세 곳에 대해 동영상과 텍스트 아카이빙 작업을 했는데, 방송사에서 아카이빙 자료를 보고 방송 소재로 삼겠다는 연락이 왔다. 구로시장의 경우 KBS TV ‘다큐3일’에서 촬영을 준비 중에 있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됐고, 중부시장은 3월 28일 방영된 KBS TV ‘김영철의 동네한바퀴’에 소개됐다.
중부시장 명물이자 붓글씨 할아버지로 통하는 정문교 서울상회 대표가 소개됐다. 정 대표는 방송에서 “(붓글씨로 쓰는)사자성어가 뜻이 좋다”며 “그 뜻을 가지고 장사를 하면 마음이 편해진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2016년 미래유산 답사 때 발굴한 시장 명물상인이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쿠킹클래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김민선 셰프 역시 출연해 클래스 진행 모습을 보여줬다. 외국인에게 한국말을 가르쳐 주고 시장을 함께 본 후 요리를 해서 함께 나눠먹는 재미있는 프로그램이다. 체코 유학생인 애니 그루소바는 “체코에는 바다가 없어서 이렇게 큰 수산시장도 없다”며 “정말 새로운 경험이고 멸치 맛도 좋다”고 만족 해 했다.
을지로 명물 ‘우일집’ 한우사골칼국수
이날 방송에는 모녀 2대 때 50년 넘게 운영 중인 ‘우일집’의 한우사골칼국수가 소개 됐다. 소 사골을 하루 정도 고와 낸 육수에 칼국수를 말아서 호박과 김 가루를 고명으로 얹어 먹는다. 육수를 사용하는 안동칼국시 방식인데, 을지로 골목에서 만날 수 있는 기쁨이 있다. 김영철 씨는 “사골육수라 그런지 구수하면서 뒷맛이 구수하다”고 평했다.
멸치나 바지락, 홍합 등 해물 육수 베이스보다 묵직하게 속을 채워주는 사골육수 칼국수 집은 서울에서 혜화동, 명륜동 등 성북지역에 제법 많이 분포해 있다.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는 없지만 필자는 과거 조선시대 반촌(泮村)의 현방(푸줏간)에서 기원이 있지 않나 조심스레 주장한다.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올라 온 유생들이 외식거리로 사골 칼국수를 찾으면서 사골 유통이 비교적 자유로웠던 반인(반촌에 살던 노비)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오징어불갈비찜 전문 ‘을지로전주옥’
이날 김영철 씨는 오징어불갈비찜(오불찜) 전문인 ‘을지로전주옥’에도 들렀다. 방송이 나간 후 필자도 때 마침 점심 약속이 있어서 맛을 볼 기회가 있었다. 흥건한 육수에 돼지갈비와 당면, 떡볶이 떡을 넣고 끓이다가 적당히 당면 순이 죽으면 통오징어를 잘라준다. 강원도 평창 근동에서 유명한 오삼불고기의 간장 소스 버전쯤으로 해석된다.
이날은 오징어 한 마리를 더 줬는데, 이유가 재미나다. 동행한 지인이 일전에 식사를 하는 중 사업자등록증 액자가 머리로 떨어졌다. 그때 일이 미안해서 노진상 사장이 한 마리를 서비스로 내준 것이다.
손님이 조금 한산해지자 노 사장이 점포 입구에서 양념에 갈비 재운 것을 옮겨 담고 있다. 주방에서 충분히 할 수 있지만 밖에서 하는 것은 일종의 쇼잉(showing)이다. 손님들은 넉넉한 갈비 모습을 통해 풍미와 포만감을 동시에 자극받는다. 오불찜의 맛은 예상한 대로다.
자작자작하게 끓기 시작하면 오징어가 질겨지기 전에 먼저 골라 먹고 당면과 돼지갈비를 차례로 ‘공략’하면 된다. 다행히 조미료 맛이 덜했던 기억이다. 인근에 석갈비와 옛날불고기를 전문하는 ‘전주옥’이란 상호를 가진 곳이 또 있어서 헷갈릴 우려가 있으니 잘 찾아가야 한다. 필자도 잘못 찾아갔다가 나오기도 했는데, 다음번엔 이 집을 가봐야겠다.
옛 혜민서 근처 골목 안 ‘커피한약방’
전주옥에서 배를 잔뜩 불린 다음 김영철 씨의 길을 밟아 커피전문점 ‘커피한약방’을 찾았다. 좁다란 을지로 뒷골목을 잘 보여주는 곳에 자리한 커피한약방과 손에 닿는 앞집 베이커리카페 혜민당은 같은 주인이 운영하는 곳이다. 자개가구를 활용한 인테리어가 멋스럽다,
가파른 계단에 붙어 있는 ‘階段操心’이란 글은 낙관까지 갖춰진 작품 아닌 작품이다. 글에 몰두하다 외려 계단에서 발을 헛디딜 우려가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이 많은 논란(?)의 작품이다. 커피한약방 골목을 들어가기 전에는 설렁탕과 수육으로 유명한 ‘이남장’ 을지로본점이 있다. 식객들이 그냥 지나치기 힘든 곳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고 다양한 이야기를 품은 을지로 골목, 힙지로는 그런 곳이다.
서울미래유산 이야기로 돌아온다. 지난해 말 미래유산으로 선정된 화랑으로는 샘터화랑, 예화랑, 조선화랑, 통인화랑 등 4곳이다. 미래유산 발굴을 위한 소위원회에서 ‘화랑’을 특정해서 나온 결과다.
서초구에 있는 샘터화랑은 1978년 개관, 80년대 민중미술 관련 많은 작가와 작품을 발굴하는 등 민중미술이 명맥을 이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화랑은 1978년 인사동에서 개관했다가 82년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건너편으로 이전했다. 백남준 관련 많은 작품전을 기획했고 신사미술제를 개최하는 등 강남지역 미술문화를 선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71년 개관한 조선화랑은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하면서 국제기획전, 해외아트페어에 참가해 한국작가들의 국제시장 진출 길을 여는데 큰 기여를 했다. 1975년 개관한 통인화랑은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해 있다. 박서보, 윤광조, 허건 등 유명미술 작가를 발굴하고 고미술품 운송을 최초로 시작하는 등 나름의 역사 있는 곳이다.
필자는 많은 화랑에서 전시회 초청을 받는다. 모두 가볼 순 없지만 마음이 당기는 작품이 있으면 발길이 저절로 닿는다. 가보면 아쉬운 게 작품을 두르고 있는 액자다. W.H.베일리의 ‘그림보다 액자가 좋다’가 주는 메시지에 대해 우리 화단도 한번쯤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음식도 ‘기물(器物)이 반’이란 말이 있다. 미술 작품이건 음식이건 어디에 어떻게 담아내느냐에 따라 내용물의 생사가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