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류 Oct 28. 2023

출산 후, 보육시설이 이렇다고?

미취학까지의 보육시스템

스위스는 병원비가 미국 수준입니다.


국가의료보험이 없어요. 


개인이 알아서 가입해야 하는데 그것도 의무!!입니다.


아기를 낳을 땐 보험혜택이 있는데 쌩돈으로 내려면 몇천만 원이 들어요.


낼 수 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출산축하금 같은 게 있을 리도 없고요.


단지 매달 20만 원 정도씩 18세까지 양육비는 나옵니다.


저는 임신 5개월 정도에 스위스에 와서 보험에 가입하려고 하니 모든 보험회사가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절 거부했습니다.

이유는 100% 지불대상이니까요.

그래서 한동안 보험 없이 병원에 다녔어요.


보험 없이는 일반병원에는 못 가고 난민들이 가는 병원을 가장한 뭐... 그런 비스름한 곳에 다녔습니다.


그곳은 대학병원이나 다른 큰 병원의사들이 돌아가며 진료해 주는 곳으로, "너는 난민도 아닌데 왜 보험이 없냐? 어서 가입해라."라고 했지만, 보험회사에서 절묘한 핑계를 대며 다 거부하더라.라고 했어요.

그래서 이곳저곳 보험에 가입하려고 부단히 알아보고 다녔습니다.


그때는 온 지 며칠 안 돼서 독일어는 커녕 세상 어떻게 돌아가는지 하나도 모르니 남편이랑 항상 같이 갔어요.

그래서 자세한 내용은 잘 모릅니다.

(이 부분은 보험 편에서 다시 정확한 정보로 쓸게요.)


결국 애 낳기 한 달 전에 비싸게 한 달에 60만 원이상 지불하는 보험에 가입했고 (저는 직업도 없는데 말이죠.) 취리히의 트리엠리 여성병원에서 출산했습니다.


병원에서 4일 정도 있다가 퇴원했고, 아기에게 신선한 공기를 마시게 해야 한다고 해서 퇴원하자마자 유모차 끌고 동네 한 바퀴 산책해야 했습니다.


퇴원 후, 조산원이 한 달에 한번 집으로 와서 아이를 체크합니다.

한국은 어떻냐고 묻길래 한국은 조리원도 있고 어쩌고 잘되어있다고 하니까


"너 미국에서 아이 안 낳은 게 다행이야. 미국은 24시간 내에 퇴원한대~."


헐.. 그렇습니까..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이 있나요?


아무튼 저는 아이를 낳고 절뚝거리면서 유모차 끌고 매일,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동네 한 바퀴 유모차에 매달려 돌아야 했습니다.


웃긴 건 애는 겹겹이 다 싸매고 모자도 씌우고 말입니다 ㅎ

그놈의 신선한 공기는 어디로 들어갈라나요.


나라에는 아기랑 갈만한 곳이 진짜.... 없습니다.

동네 한 바퀴 돌고, 놀이터에서 놀게 하고 그게 전부입니다.


사진에서 보면 한적한 스위스의 벌판과 호숫가에서 뛰어놀고, 자연과 함께 하는 스위스인.

이런 이미지로 좋아 보이지만 이것도 매일매일 해보세요.


병들어서 요양 온 것도 아니고...,

지루함 그 자체입니다.


문화센터 같은 게 있는 것도 아니고, 있다 하더라도... 스위스독일어겠죠...ㅡㅡ;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동사무소나 교회에서 일주일에 한 번 아기들이랑 다 같이 노래하며 노는 한국의 문화센터 같은 게 있더라구요.


물론 전부 스위스어입니다.

지금도 저는 스위스어는 고작 구별만 할 줄 아는 수준이에요.

아~, 이게 스위스어구나... 딱 그 정도예요.


여기의 관청은 묻지 않는 한 말을 안 해주기 때문에 그런 곳에 대한 정보를 알 턱이 없었습니다.

뭔가 알아야 묻기라도 하죠.


어느 날인가 놀이터에서 애랑 놀고 있는데, 한 외국인 할머니가 알려주더라고요.

그런 게 있는데 너 혹시 아냐고...

그러고 한번 가봤죠.

엄청 생소하고, 너무 스위스어고, 게다가 너무너무 어색해서 한번 가고 안 갔어요.

나중에서야 독일어를 좀 할 줄 알게 되어 다른 곳에 다니게 되었지만요.


저 아는 사람(한국인 엄마)은 2. 3년 꾸준히 다녔는데도

'나는 외국인이다.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나한테 살갑게 말을 걸어주는 사람이 없구나...'

갈 때마다 느꼈대요.


그렇다고 어린이집(크리페)을 보내기에는 터무니없는 가격입니다.


전 아이가 2살 때 1년간 독일어 학원에 다녀서 (이 독일어 학원도 일주일에 3번 하루 3시간이고 보육시설도 있고 해서 한 달에 대략 1000프랑, 한국돈으로 130만원이 훌쩍 넘습니다.)

학원에 갈 때는 오전시간에 아이는 학원 내 보육시설에서 놀았어요.

처음 한 달은 적응을 못해서 아기가 맨날 울다 토하다가 자고 그러더니 졸업할 때쯤에는 모두와 친해졌습니다.

심지어 졸업 후 크리스마스 파티에 게스트로 초대도 받았어요.


그렇게 일주일에 3번. 오전 3시간은 공부도 하고, 그나마 숨구멍도 되어서 다행이었는데, 학원졸업 후 앞이 막막하대요. 

애랑 24시간 같이 있기도 힘들고, 딱히 할 것도 없고, 갈 곳도 없고요.

주변에 한국인엄마들이 "반나절만이라도 어린이집에 보내라", "어떻게 혼자 키우냐"라고 하도 그러길래,

팔랑귀인 저는 집 근처 어린이집 (Krippe)에 수, 목 일주일에 두 번 11시부터 18시까지, 반나절만 보내기로 했어요.


가격은 하루 10만 원 정도입니다.

한 달에 8번, 80만원가량 냈고요.

그런데 걸핏하면 연락 와서 애 데려가라고 합니다.

열이 날 것 같지만 안 나기도 하는 뭔가 애매모호한 상황에서도 데리러 오라고 하고, 뭐 조금만 어찌해도 데리러 오라고 합니다.

한 달에 여덟 번 보내는 곳인데 평균적으로 두 번은 빠져요.

그렇다고 한국이나 일본처럼 알람장 같은 거요? 전혀 일체 아예 없습니다.

그냥 애들 모아놓고 보육사 같은 사람 두어 명이 눈으로 보는 게 전부입니다.

심지어 본인들 쉬는 시간에 담배도 피웁니다.


우리 아이는 처음 두세 달 간은 점심을 못 먹었습니다.

점심시간이 30분인데 그 안에 안 먹으면 바로 접시 치웁니다.

먹게끔 어떻게 설득하거나 차라리 때리거나 그런 거라도 있으면 애가 먹는 시늉이라도 하겠죠.

여기는 안 먹으면 그냥 치워버립니다. 얄짤없어요.

그래서 우리 아들은 두세 달간 점심을 아예 못 먹어 배는 고프니, 물만 많이 마시더래요.

4시에 간식 나오는 조그마한 쿠키, 젤리 그런 거 몇 개 주워 먹는 게 전부였습니다.


그리고 6시에 제가 데리러 갔구요.


아이를 데리러 갈 때 제가 묻습니다.

"오늘 아이 밥 먹었어요?"

그러면 "노~ . 그 대신 물은 많이 마셨어요."

그게 보육사 입에서 나오는 대답입니다.


전 그럼 "어떻게 할까요? 밥을 먹게 하기 위해서는 아침을 굶길까요?" 여러 가지 대안을 물으면

"흐음~~~~잘 모르겠네요~. 뭐가 좋을까요."

방법도 대안도 딱히 없습니다.

그나마 이것도 묻지 않으면 말도 안 해줍니다.

막 친절하게 "어머니 오셨어요..ㅇㅇ야~인사해야지~." 이런 거 전혀 없어요.


처음 입소할 때 일정표 같은 게 있으면 달라고 하니까

그게 뭐야??? 처음 들음~~~. 이런 얼굴 표정입니다.

그런 걸 달라고 한 사람이 여태 한 명도 없었으니까요.

원장선생님이 오더니, "아.. 그런 게 있나?" 담임에게 뭐 뭐 프린트해서 주면 되지 않냐고 했지만 결국은 못 받았습니다.

아예 그런 거 자체가 없는 거죠. 일정표가 없대요.

그냥 상황, 날씨 이런 거 봐가면서 즉흥적으로 한대요.


그런데 한 4.5개월쯤 애를 보내보고 스스로 알아낸 것은

월요일이나 화요일은 소풍 같은 걸 갑니다. 동물원에 가기도 하고, 열차를 타고 취리히 시내 호수에도 가구요.

수요일은 무조건 학교 체육관에 가요. 가서 체조나 뜀틀이나 그런 거 하구요.

목, 금은 어린이집 안에만 있구요.

우리 애는 수, 목만 다녔기 때문에 어린이집 다닌 7개월간 한 번도 소풍이란 걸 간 적이 없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일정을 바꿔가면서 하면 될 걸 죽어도 안 바꾸더라구요.

융통성에 융도 없는 곳입니다.

목, 금만 가는 어린이는 소풍이건 체육관이건 한 번도 못 가는 거겠죠.

그런 정보조차 얻을 곳이 없습니다.

오늘 뭐 했냐고 묻지 않는 한,  말을 안 해줍니다.

제가 한 번은 오늘 뭐 했냐고 물으려고 기다렸더니


"뭐 기다리세요? 애 잘 놀았어요."


그게 끝입니다.

제가 독일어 못 알아들을까 봐 말 안 해주는 거 아니냐구요?

절대 아닙니다. 이 나라 문화, 습성이 그렇더라구요.


그리고 저는 지로용지를 받아서 원비를 냈는데 한 번은 20일이 되어가도 지로용지를 안 주길래 애 데려다주면서 지로용지 안 받았다고 하니까 "아마 계좌이체하고 있을 거예요."라고 하대요.


헐...? 내가 신청한 적이 없는데...?


그리고 그날 저녁에 아이 데리러 갈 때 하는 말이 "그래, 맞아요. 안 냈더군요." 라면서 지로용지를 줘서 집에 와서 뜯어보니, 3만 원 추가된 금액이 떠억!!!

진짜 성질 돋우네 싶어서 바로 전화해서 오만 진상과 여태 쌓인 모든 것을 다 폭발시켰습니다.

뭐 이미 이성적인 판단이 안 되었어요.

관공서나 시설 같은 곳은 그곳이 항상 갑입니다!!


클레임요? 어디, 누구에게요???

전 절대 추가분은 못 낸다고 하고 일반금액만 보냈죠.

어린이집에서 저에게 한 소리했으면 진짜 그 어린이집 다 엎어 놨을 거예요!


이 나라에서는 제가 진상엄마입니다.


당연히 일정표를 받고, 지로용지는 원에서 알아서 넣어 줘야 하는데, 그걸 요구했다고 전 진상엄마가 되었습니다.

집 근처에 살며, 같은 어린이집 보내는 일본인 엄마한테 이 얘기를 말했더니


"일정표 같은 게 있어? 너 너무 지나친 요구를 한 거 아니야?"


그러대요.

제가요?

하아.. 제가 진짜 뭘 아주 대단한 걸 요구했나요..?

애한테 한국음식 먹이라고 했나요? 우리 애 동선 따라다니면서 관리 좀 해달라고 했나요? 담배 피우지 말라고 했나요?

이 나라에 맞춰서 살아가야 한다고요?


전 이미 너무 신문명 속에서 살아서 이런 구식인 나라에서 사는 게 힘들다고.. 점점... 그런 생각이 들어가던 찰나!!


드디어 아이가 유치원에 갈 나이가 되었습니다.


2017년 8월! 우리 애가 드디어 만 4세가 된 거죠.

6월생까지 의무적으로 유치원에 가야 하는데 우리 아이는 4월생이라 보낼 수 있게 되었어요.

7월생은 한 달 차이로 1년을 더 엄마랑 지내야 합니다.


그렇게 자유의 시간이 생기나 싶었는데 11시 55분에는 데리러 가야 하는 거 있죠?

저의 저유시간은 애 유치원 보낸 후, 오전 3시간 정도가 전부입니다.

게다가 이놈의 방학은 엄청나게 길고 많더라구요.

두 달에 한 번씩 2주간의 방학이 있어요.

물론 그 사이사이에 부활절, 성모승천일 등등 짧게 쉬는 날도 있습니다.

급식, 도시락 이런 것도 전혀 없고 간식도 싸서 보내야 합니다.

점심 주는 곳이 있는데(Mittagtisch) 한 끼당 대략 3만원이 넘어요.

그것도 고작해야 수프, 샐러드, 빵조각이구요.

그걸 그 돈 주고 먹이느니 집에서 요리하는 게 천만 배 낫다 싶었습니다.


아는 한국애는 부부가 한국인이라 독일어 때문에 Mittagtisch에 보내려고 한답니다. 친구들이랑 있으니 자연스레 독일어가 늘 거란 생각에서요. 그런데 아이는 한국 음식밖에 못 먹어서 그 애 엄마가 돈은 지불하겠지만 도시락을 싸서 보내면 안 될까요? 하고 물었더니 안된답니다.

규칙위반이래요.

그 후로 모르겠습니다. 보내는지 안 보내는지는요..


유치원 입학 시 규칙이 있는데 써 볼게요.

1. 등원 시 아이들을 걷게 해서 보내세요.

2. 등원길은 아주 중요한 만남의 장소가 될 수 있고 교통법규도 익히는 연습과 다른 아이들과의 만남으로 사회성을 키우는데 중요하니 가급적이면 혼자서 보내세요.


그러한 유치원 2년 후 초등학교에 진학하게 됩니다.


 SBB열차 안, 유모차가 탈 수 있는 칸입니다


열차 안의 놀이공간,  놀다가 지치면 유모차에 태워서 자면 돼요.


매거진의 이전글 아기가 태어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