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신우 Feb 23. 2021

조직문화 만드는 방법 (1) 가이드라인 제시하기

팀원들의 시간과 에너지를 아껴주는

 조직문화를 재정비하기로 했으니 이제 만들기만 하면 된다. 근데 도대체 조직문화는 어떻게 만드는 거지..?라는 분들을 위해 슥삭 팀이 열심히 공부하며 조직문화를 만든 과정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우리가 조직문화를 만든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조직문화 리뉴얼 가이드라인 제시하기

2. 팀원들과 조직문화에 대한 아이디어 모으기

3. 조직문화 문서 예쁘게 포장하기




(연말 어느 주말 카페에 앉아)

김 대표: 새해를 맞이하여 우리 팀의 조직문화를 다시 정비해야겠군. 좋아 결심했어!



(다음날 월요일 오전 11:00)

김 대표: 여러분. 2021년이 다가옵니다. 조직문화 잘 지켜지고 있지 않은 것 같은데 한번 바꿔봅시다.

개발자 A: (하아.. 리팩토링 할 거 산더미인데 작업시간을 뺏어간다고..?)

기획자 B: (주인이 명확하지 않은 Task라.. 싸늘하다..)

개발자 M(y way): 대표님 지금 2주 스프린트 돌린다고 정신없는데 그거 왜 해야 되는 거죠?

개발자 A: (캬.. 역시 우리 M님.. 올 때 메로나 사 와야겠다 만세 x3)

김 대표: 새해를 맞았으니 조직문화 한번 개선해야 되지 않을까요..? 다들 많이 바쁜가요;; (큼큼)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처럼 이렇게 시작할 거면 안 하는 게 천 번 만 번 낫다. 조직문화를 혼자 정비할 것이 아니라면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한 목적, 이유를 명확히 해야 한다.(혼자 정비해서는 더더욱 안된다)




1. Why?

- 조직문화 리뉴얼 목적 명확히 하기.


2020년을 회고하며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팀원들의 행동양식을 규정

2. 팀의 가치관에 공감하는 신규 팀원들의 합류

3. 업무적 공감대 형성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 참조)

https://brunch.co.kr/@si-nu/1


조직문화 리뉴얼 회의가 있을 거라는 공지 전에 조직문화를 리뉴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정리해두었고, 실제로 공지할 때는 이렇게 설명하였다.


"2020년을 돌아보니 성과적으로도 많은 성장이 있었고 팀도 훨씬 단단해진 것 같습니다. 좋은 팀원 분들이 이렇게 많이 합류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았는데요. 24.5 Corp는 이렇게 일해요.라는 조직문화 문서를 보고 지원하신 분들이 정말 많았던 것 같습니다. 특히, 서로의 각 분야에서 Best Player 되기라는 내용을 보고 오신 분들이 많았고, 그런 분들이 팀에 합류해주셔서 우리가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팀을 꾸릴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2021년을 맞아 우리가 일을 더 잘할 수 있고, 더 좋은 팀원들을 모실 수 있게 조직문화 문서를 리뉴얼해보려고 합니다."



2. When?

- 회의시간과 리뉴얼 기간 공유하기.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Task는 누군가에겐 엄청난 스트레스가 된다. 따라서 회의시간과 리뉴얼 기간에 대해 처음부터 함께 회의시간과 리뉴얼 기간을 공유하였다.


리뉴얼 기간은 1월 말까지로 넉넉하게 잡았고, 회의 시간은 팀원들의 제안으로 전체회의 직후인 금요일 3시부터 1시간 동안 3회에 걸쳐 진행하기로 하였다.(리뉴얼 기간을 한 달로 잡은 이유는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 본인의 생각 정리 등 고민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3. How?

- 회의 주제 및 리서치 가이드라인 공유


팀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그래서 내가 뭘 어떻게 해야 하는가?'이다. 팀원들이 헛되이 시간을 쓰지 않도록 도움될만한 조직문화 관련 아티클을 공유하였고, 아래 5가지의 질문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해보기로 하였다.


첫 번째 회의 주제

1) 나는 왜 이 일(직무)을 하는가?

2) 내가 일(직무)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는?

3) 왜 나는 이 회사(서비스)에서 일하는가?

4) 우리 회사가 이뤘으면 하는 목표는?

5) 우리 서비스가 왜 잘되어야 하는가?







3줄 요약

1. 조직문화 리뉴얼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기 위해 회의 시작 시 조직문화 목적 분명히 하여 전달하기.

2. 불확실한 소요시간에 대한 stress를 줄이기 위해 조직문화 리뉴얼 기간 및 회의 시간 공유하기.

3. 팀원들이 헤매는 시간을 줄여주기 위해 도움되는 아티클을 공유하고 회의 주제에 대한 질문을 정리하여 전달하기.





+참고한 아티클

https://brunch.co.kr/@heyground/134

https://brunch.co.kr/@mobiinside/2585

https://www.bucketplace.co.kr/post/2020-06-19-%EC%9A%B0%EB%A6%AC%EA%B0%80-%EC%B6%94%EA%B5%AC%ED%95%98%EB%8A%94-%EA%B0%80%EC%B9%98-6%EA%B0%80%EC%A7%80/

https://peopleteam.tistory.com/106

ㄴ 배민다운 조직문화가 있기까지

https://publy.co/content/1582?fr=library-note

https://publy.co/content/4799?fr=library-note


작가의 이전글 초기 스타트업에서 조직문화가 중요한 3가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