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걸음 Jul 08. 2023

돌봄의 시간들 - 2

<돌봄의 시간들:돌봄에 관한 9가지 정동적 시선>에 관하여



자기돌봄에서 생명돌봄까지, ‘돌봄들’의 시대


사회적으로 돌봄이 부각되는 시대 흐름은 돌봄이 사회화(케어산업의 확장 등)되는 측면과, 핵가족화 등으로 ‘개인’ 영역이 확장되면서 개인에게 돌려지는 부담이 증가하는 측면의 양 방향이 공존한다. 


돌봄과 관련하여 말하자면, 이제 본격적으로 개막된 포스트코로나 시대, 코로나19 팬데믹을 경유하면서 우리가 깨달은 진실은 우리가 서로 연결된 존재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을 경유하여 우리가 도달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가정/사회/지구는 ‘'돌봄들'의 세계’이다. 돌봄 속에 태어나, 돌봄 속에 돌아가는 것이 인생이다. 이 인생의 기본요건을 충족하는 삶이 행복한 삶이다. 


우리 세계는 생산과 성장 위주의 시대에서 돌봄 하기, 돌봄 받기의 시대로 이행하는 중이다. 거기에 값하는 윤리, 도덕, 철학, 사상, 상식과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인 까닭이다. 


이처럼 우리 삶의 한가운데에는 다층적이면서도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돌봄이 순환하고 있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돌봄 부자도 있고, 돌봄의 소외에 직면한 돌봄 약자나 시민도 있다. 그런가 하면 돌봄으로 말미암아 번아웃에 빠져 허우적대는 사람도 있다. 


이런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돌봄을 주고받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절대돌봄(유년기) - 자기돌봄(청년기) - 서로돌봄(커플기) - 배치돌봄(장년기) - 절대돌봄(노년기)으로 흐르는 돌봄의 이야기 구조는 우리 삶의 또 다른 궤적을 그려낸다.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이 그러하듯이 돌봄의 영역에도 전통적인 의식(전근대적 사고)과 근대적 사고, 그리고 탈근대-초근대적인 인식과 양식과 현상이 혼재한다. '공존'이라는 말은 현실을 정직하게 반영하는 말이 아니다. 왜냐하면, 지금의 우리는 돌봄에 관한 다양한 양식과 형식의 혼재로서 '혼돈'을 겪고 있는 중이다.


예컨대, 

돌봄에 대한 첫 번째 오해는 돌봄이 여성적인 일이며 나약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것이라는 관습적인 인식과 태도이다. 오래된 가부장제 관습에서 돌봄은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고 식사를 준비하는 등의 집안일이 되어 여성의 성역할로 강요되었다. 여성의 역할이 된 돌봄은 사회활동에서 중요하지 않은 부차적인 일이면서 공동체도 정부도 관여하지 말아야 할 사적이고 개인적인 영역으로 치부된다. 여성의 사회활동이 활발한 지금까지도 아이를 키우고 식사를 준비하는 등 전통적으로 여성이 도맡아 온 생명살림 가치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여성들은 중요한 살림을 외면할 수도 혼자서 감당할 수도 없는, 이중으로 구속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성의 일이자 사적인 활동으로 잘못 이해되고 있는 돌봄을 이제는 성역할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돌봄의 사회적인 가치를 회복하고 상호역할로 작동되는 제대로 된 돌봄의 시작이다. (본문, 222-223) 



매거진의 이전글 돌봄의 시간들 - 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