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J Nov 04. 2024

삼청동에 자리잡은 작은 꿈


대학원을 다니며 일했던 곳은 매일 새로운 이슈가 흘러가듯 지나갔다. 나는 종종 대표님의 의도를 헤아리지 못했다. 사회 경험이 부족했고, 경영의 흐름을 읽는 데 서툴렀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내게 요구한 것들이 이제 와선 당연한 것들이었음을 깨닫는다. 당시의 나는 그저 부당하다고 생각하거나 일을 그 방식대로 진행하면 안 된다는 고집으로 충돌하기 일쑤였다. 그래도, 그가 내 의견을 하나하나 듣고, 함께 토론하려 노력했던 기억은 여전히 감사하게 남아 있다. 


어느 날이었다. 대표님이 말했다. 삼청동에 매장을 만들어보자고. 그 당시의 삼청동은 안국동과 함께, 사람들이 일부러 발걸음을 옮기는 곳이었다. 오래된 마을버스 기점 근처에 있던 재즈카페는 여전히 내 기억 속에 자리 잡고 있다. 


삼청동에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는 그의 소망은 계속 이어졌다. 아트선재와 정독도서관을 잇는 길 아래, 아니면 파출소 근처의 빨간 벽돌 건물, 두 장소 중 하나를 택하라고 했다. 파출소 쪽의 건물은 붉은 벽돌이 견고했고, 고요하게 서 있었다. 반면 정독도서관 아래의 한옥은 단층으로, 예전 한정식집이 있던 자리였다. 입구부터 신발을 벗고 들어가도록 조용히 구조가 짜여 있었다. 마당과 이어진 흑집과 한옥의 운치는 너무도 좋았다. 


그 시절, 사람들은 한옥의 공간을 재해석하기보다 모던하게 벽돌이나 시멘트로 개성 있는 건물을 짓고는 했다. 그렇게 비어 있는 한옥을 보니, 생경하기도 했지만 그 옛 결을 살려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자연과 연결되는 나무의 틀 속에서 이 공간을 지켜보고 싶었다. 선조들이 만들어온 방식처럼, 과하지 않고 은은하게, 소박하게. 


우리는 정독도서관 쪽을 택했다. 한 달여 간의 공사가 이어졌다. 마당이 보이는 곳에 천장까지 닿은 자작나무 두 그루를 들여왔고, 햇살이 드는 쪽에는 책장을 올렸다. 조그만 갤러리를 만들고, 탐조 장비들을 창가에 두어 사람들이 밖을 바라볼 수 있게 했다. 본체는 회의실과 체험 공간으로, 그 안의 방들은 사무실로. 공간은 넓지 않았지만 사람들에게 아늑함을 주길 원했다. 


내가 가장 좋아했던 곳은 마당 쪽, 자작나무 사이로 햇살이 잎사귀를 넘어 책장 위로 스며드는 자리였다. 그 아래에서 책을 펼치면, 책 위로 그림자가 부드럽게 내려앉았다. 그 감동은 아직도 내 마음 한편에 남아 있다. 


조금의 시간이 흐르고, 우리 매장 바로 앞에 ‘아라리오 서울’이 들어섰다. 삼청동의 골목마다 작은 상점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철물점 자리에 생긴 은 소품 가게, 곰탕집, ‘샐리 샌드위치’와 갈비 냉면집, 작고 소박한 파니니 가게, ‘먹쉬돈나’ 떡볶이집, 할머니가 운영하던 라면집, 아트선재 앞 돈까스집까지. 다듬어진 길을 따라 주말이면 사람들이 늘어섰고, 우리 가게도 그 사이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었다. 


때로는 지나가던 인테리어 잡지 기자나 해외 관광 가이드가 우리 공간을 소개하고 싶다며 인터뷰를 청했다. 우리 공간은 그렇게, 조용히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자리 잡아갔다.



*이곳의 정확한 주소지는 '서울시 종로구 화동'으로 오늘 날짜 기준으로 '베스킨라빈스 삼청마당점'이 들어와 있다. 당시 우리는 이쪽 지역을 삼청동으로 묶어서 지역 소통을 했다.

이전 08화 사라져가는 학과와 다시 시작된 미래에 대한 질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