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CPO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프로덕트의 기술


CPO(Chief Product Officer)는 도대체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CEO, CFO, CTO 같은 포지션은 익숙하지만 CPO는 의외로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아서 저에게 많이 물어보시더라고요. 그럴 때 제가 설명을 드리는 내용입니다.  



프로덕트 관점의 CEO입니다.


온라인서비스나 앱서비스 같은 프로덕트를 만들고 서비스하는 회사 중 프로덕트의 성패가 회사의 성패와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프로덕트의 전문적인 관리를 위해 CPO를 별도로 둡니다.


CEO가 전사와 외부정보를 바탕으로 회사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의사결정을 해서 회사의 성과를 만들고 성장을 시키듯이, CPO는 회사 내외의 프로덕트 관련 고객요구사항과 데이터를 수집 후 프로덕트 과제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품질을 관리하여 프로덕트의 성공을 통해서 회사의 성공을 만듭니다.



통상적으로 PO, UX 조직을 리딩해요.


쉽게 설명하면 CPO는 프로덕트로 회사를 성공시키기 위해 주로 기획 조직과 디자인 조직을 담당합니다. 스크럼 형태의 조직에서는 PO와 UX조직을 담당하는 거죠. 회사 상황에 따라 데이터, QA, 개발 등의 조직까지 담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발 조을 리딩하는 CTO가 따로 있을 경우는 CTO와 함께 프로덕트 생산과 관련된 조직구성, 생산프로세스, 과제우선순위 등을 긴밀히 논의해서 결정을 합니다.



회사와 프로덕트가 커질수록 중요해지는 역할입니다.


스타트업 초기에는 파운더들이 함께 논의해서 프로덕트를 만들거나, CEO 또는 CTO가 CPO 역할을 겸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드 때는 아이디어 검증과 실험을 하기 위한 필수 인력으로 사업을 시작을 하게 되고, 프로덕트나 조직의 복잡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CPO의 필요성이 크지 않습니다.


그러나 프로덕트가 성장하면서 고객이 많아지고, 전사 / 프로덕트 / 개발조직의 인력과 조직 숫자많아지면 아래와 같은 변화가 필요하게 되고 CPO의 역할이 중요해집니다.


생산프로세스/조직의 보다 전문적 구성과 운영

증가된 스쿼드, 프로덕트 인력, 개발인력의 효율적인 협업 및 생산 관리

순발력 있게 또는 즉흥적으로 결정했던 프로덕트 개선방식을 전사의 요구사항 및 데이터 등을 기반하여 임팩트 있는 아이템 발굴

프로덕트 이용자가 늘어나고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그에 걸맞는 프로덕트 UX 강화

CPO역할을 겸직하던 CEO나 CTO의 부담 감소


위와 같은 필요로 최근 들어 IT회사에서 CPO가 핵심적인 역할로 자리매김되고 있습니다.  


CPO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좀 이해가 되시나요? 생각보다 하는 일이 많고 프로덕트 화사에서는 핵심적인 역할입니다. :-)




ps1,

CPO 역할이 잘 수행되기 위해서는 CPO의 역량뿐 아니라 아래 키워드로 표현된 환경이 잘 셋업 되어야 합니다.


#전사전략수립 #전사협업구조설계 #OKR설계 #스크럼교육 #PO/UX트레이닝 #인력채용강화 #인터뷰강화 #리더십강화


CPO의 확장 역할이라고도 볼 수도 있고, CEO/CTO 등의 C레벨들이 함께 만들어야 하는 환경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겁니다.



ps2.

정리하면 첫 번째, 급성장하는 회사에서는 회사 성장 단계에 맞는 적합한 역량과 경험을 가진 CPO를 영입하고, 두 번째  CPO가 퍼포먼스를 잘 낼 수 있는 전사 환경이 셋업 하기 위해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위와 같은 CPO 영입과 환경셋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을 남겨주시거나 저에게 티타임을 요청해 주세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매거진의 이전글 스타트업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성공을 할까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