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경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미중 카르텔>, 박홍서
이 책은 미중 관계가 대립적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미중 관계가 국제 질서 안정을 대전제로 하는 카르텔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또한 미중 갈등과 경쟁도 그런 대전제 아래서 전개된다고 설명한다.
미중 양국이 정교한 로드맵에 따라 담합 관계를 구축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양국 정책 결정자의 의도가 무엇이든 양국 관계의 '구조'가 카르텔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첫째, '핵 억지력'의 유무다. 핵무기 시대 이전의 국가들은 협상이 막히면 전쟁이라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핵무기 시대에 그런 행태는 더는 통용될 수 없다. 핵전쟁은 공멸이기 때문에 국가들은 전쟁으로 해결하던 난제들을 이제 정치적으로 풀어야만 한다.
두 번째 요인은 양국의 지리적 환경이다. 독일이나 일본은 영토가 협소해 힘이 커질 때마다 인접국가들을 침범했다. 미중 관계는 이와 다르다. 각각의 영토가 광활하고 세력권이 상대적으로 명확하다.
이에 더해 또 다른 강력한 전쟁 차단 요인을 가지고 있다. 양국이 자본주의 국제 질서의 핵심 구성국이라는 사실이다. 동일한 제조업 상품을 팔기 위해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라, 미국은 중국에 달러와 지식을 수출하고 중국은 미국에 제조업 상품을 수출한다.
트럼프 정권은 보복관세 대상 품목에서 의류, 가구, 완구와 같은 일반 소비 상품은 제외했으나, 전자나 기계류 등 첨단 제품은 포함했다. 9월 강행된 2000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 대상에서도 의류, 농산물, 가구 등 일반 소비 상품은 제외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이 미국에 저렴하게 공급하는 소비 상품들은 오히려 미국에 이득이 된다. 그러나 첨단 상품은 그렇지 않다. 미국의 패권을 위협할 중국의 기술 굴기를 도와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권이 ZTE의 미국 내 영업을 금지하고, 중국 반도체 회사 푸젠진화에 대한 장비 및 기술이전을 금지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였다.
5G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화웨이에 대한 압박도 다르지 않다. 인공지능, 로봇, 양자 컴퓨터 등과 관련된 수출 통제를 강화한 미 산업안보국의 결정 역시 마찬가지였다.
"헤이, 이번주 토요일에 뭐할 거야? 우리는 피자와 닭 날개를 먹고 있어."
"이제 너희들과 같이 갈 수 없을 것 같아. 즐거운 항해가 되기를 바라. 또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