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시콜콜 Nov 26. 2020

ATM기 안에 돈 어떻게 넣는지 눈으로 확인한 순간

ATM은 우리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기기이다. ATM은 우리말로 현금 자동입출금기라고 불린다. 은행 영업시간 외에도 현금 입금, 계좌이체, 지폐 교환 등 다양한 업무를 볼 수 있지만, 스마트뱅킹이 생활화된 요즘은 현금 출금 용도로 자주 쓰인다. 수많은 사람이 ATM 기기를 이용하다 보면 현찰이 바닥날 법도 한데, 웬만해서는 ATM에서 현금 지급이 불가능한 경우를 보기 어렵다. 과연 ATM 기기에는 현금이 얼마나 들어 있는 것일까?

ATM에 들어있는 금액은

ajunews

ATM 기기의 종류, 위치에 따라 보관 금액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정확히 얼마가 들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은행에 들어가면 볼 수 있는 ATM에는 편의점 등에 있는 ATM에 비해 보안성, 지폐 충전 등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설이나 추석 등 명절에는 2천만 원에서 5천만 원 정도를 채워 넣는다고 한다. 

위에서 말했듯 ATM에 들어있는 금액은 때와 장소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ATM 기기를 만드는 업체에 따르면, 한 기 기당 대략 수량으로는 1만 매, 금액은 1억 원 정도가 들어 있다고 한다. 만약 ATM 기기에 들어있는 지폐가 다 떨어지게 되어 현금을 지급할 수 없게 되면, 몇몇 기기에서는 '예금 출금' 버튼이 사라진다고 한다. 또 반대로 ATM 기기에 지폐가 꽉 차 더 이상 돈을 넣을 공간이 없게 되면 '예금 입금' 버튼이 사라진다.


돈은 누가, 어떻게 채울까

그렇다면 만약 ATM 기기에 지폐가 다 떨어지게 되면 어떻게 새로 채워 넣는 것일까?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은행의 ATM은 대부분 벽면에 붙어있는 벽면형 ATM이다. 때문에 은행 업무를 보는 ATM 기기 앞쪽에서는 볼 수 없는 기기 뒤편에서 은행 직원들이 카세트라고 불리는 지폐 통에 부족한 금액을 채워 넣는다.
 

반대로 편의점이나 지하철 등에 있는 야외 ATM 기기는 은행이 아닌 현금수송업체가 맡아서 관리하고 있다. 물론 야외 ATM 역시 지점마다 사람들의 이용률이 다르기 때문에 채워 넣는 금액에도 차이가 있다. 또 이런 ATM 기기들은 전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어 직원이 직접 ATM에 방문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잔액을 확인할 수 있다.

ATM 도난이 어려운 이유

이러한 ATM 기기는 아무래도 많은 금액이 현찰로 들어 있어 항상 도난, 절도 등 범죄의 표적이 되고 한다. 때문에 ATM과 관련된 보안 기술, 서비스 등은 꽤 튼튼한 편이다. 일례로 ATM 기기는 특수 제작된 철판으로 만들어져 일반인이 쉽게 기계를 파쇄하기 어렵고, 기기 근처뿐만 아니라 ATM 자체에도 CCTV 등의 도난 방지 카메라가 달려 있어 불법적으로 돈을 빼내기는 절대 쉽지 않다.

ATM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에는 출금한 금액을 깜빡 잊고 가버리는 경우도 있는데, 기기는 주인이 일정 시간 돈을 찾아가지 않으면 해당 금액을 계좌로 다시 넣어주기도 한다. 만약 타인이 이 돈을 가져간다면 ATM 근처에 달린 CCTV를 통해 추적이 가능하고, 절도죄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 어느 은행이건 보이스 피싱을 막기 위해 개인이 ATM 기기 한곳에서 출금할 수 있는 한도 금액이 600만 원으로 제한되어 있다. 


hankyung

공시에 따르면 2015년부터 매년 천 대가 넘는 ATM 기기가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스마트폰 등 여러 스마트뱅킹이 있어 굳이 ATM을 찾아갈 이유가 없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록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ATM이지만, 현금이 급하게 필요할 때에는 ATM의 대체재가 없기 때문에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보험료 성실하게 내도 보험금 받지 못하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