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 향기 Jan 08. 2024

새해가 8일이 지났구나.

돌아서니 새해가 8일이나 지나버렸다. 마지막 글을 12월 30일에 썼으니 브런치를 시작하고 매일 써대던 것에 비하면 긴 휴지기를 가진 셈이다.

12월 초부터 시작된 감기가 12월 말까지 계속되었다. 최고조에 달할 때는 급식도 못 먹고 누룽지만 먹는 걸 일주일 정도 하다 보니 몸에 에너지가 다 빠진 상태로 12월 말을 맞이했다. 떨어진 입맛은 좀처럼 회복되지 않았고 약으로 지친 속은 편안해지지 않았다.

그 상태로 1월 1일, 남편이 계획해 놓은 홍콩 여행을 떠나게 되었다. 내 감기도 낫지 않았는데 이번엔 큰아들 감기가 시작되었다. 동네 이비인후과는 연말을 앞두고 문을 닫아서 소아과 약을 처방받아 갔더니 잘 낫지가 않는지 아들도 여행하는 동안 힘들었다.

아프지만 다른 집과 달리(남편이 말한다. 다른 집들은 해외여행 계획은 여자가 신나서 처음부터 끝까지 다 짠다고.) 남편이 항공권부터 모든 계획을 다 짜고 따라다니기만 하다 보니 불평은 할 수 없었다. 외국에서 의지할 사람은 부모이다 보니 나에게 들러붙어서 다정하게 엉기는 큰아들을 감당하며 다닌 3박 4일간의 여행은 고행 같았다. 아들은 2,3살 아가들처럼 애정을 갈구한다. 몸은 안 좋고 아들이 터질까, 남편이랑 싸울까 조마조마하며 다니다 보니 몸과 마음의 모든 에너지가 소실되는 느낌이었다. 그렇게 4일을 보내고 한국에 오니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해외여행을 많이 가 본 것도 아닌데 크게 흥미가 안 간다. 어디 가보고 싶은 마음도 없는 내가 왜 이러나 싶다. 정말 나이가 들어버렸나 보다. 신체 나이도 살이 쪄서 실제 나이보다 더 많게 나오는데 마음의 나이는 더 훅 들어버린 느낌이다.

4일을 보내고 5일은 작은 아들 종업식이어서 짐 들고 오는 걸 태우러 가고, 이미 방학이 시작된 큰아들의 짐을 가지러 갔다 오고 저녁을 해 주고 그냥 또 뻗어버렸다. 평균 16000걸음 정도 걸었더니 족저근막염은 심하게 도져버렸고 속이 안 좋아 거의 못 먹고 다녔더니 잠만 자꾸 쏟아졌다.

6일은 오전 10시에 불교대학 즉문즉설 생방송을 2시간 들었다. 전 날 잠을 잤는데도 또 잠이 쏟아졌다. 왼쪽 다리도 자꾸 시리다. 거의 조는 상태로 수업을 듣고 또 자버렸다. 밥을 줄 때 빼고 하루 종일 잠만 잤다.

7일은 그냥 무기력하다. 또 잠은 쏟아진다. 침대에서 일어나기가 싫다. 누워서도 불안하다. 그냥 같은 날일 뿐인데 어릴 적 습관이 남은 건지 새해 6일을 뭘 한 것 같지도 않게 보냈는데 벌써 7일이라니 불안해하며 잠만 잔다.

남편한테 무기력하다고 했더니 1년 내내 무기력하다고 하냐며 언제 안 무기력할 거냐고 한다. 내 무기력의 원인은 뭘까. 큰아들을 보고 있는 게 두렵다.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아무것도 하지 않는 큰아들을 어떻게 할 방법이 없다. 지켜보는 수밖에. 그런데 그게 너무 힘들다.

벌써 8일이 되었다. 오늘도 잠만 자면 안 될 거라는 강박에 일어날 수 있었다. 감기 때문에 수행도 멈춰버렸고, 글쓰기도 내 한계를 느끼며 멈추고 싶은 마음만 들고, 아들에게 해 줄 수 있는 건 병원을 데리고 가고 겨우 1시간짜리 상담을 데리고 가는 것이 다다. 그냥 지켜보라는 상담선생님의 말이 언제까지가 될지.

새해도 달라질 건 없다. 나의 마음은 여전히 불안하고 예전만큼 뭔가를 하고 싶다는 의욕도 없다. 재깍재깍 흘러가는 시간 속에 여유가 주어진 방학에 불안한 마음만 안고 있을 것이다. 시작의 기술 책 내용이 머릿속을 맴돈다. 온갖 핑계를 대며 과거를 이야기하며 자신의 꼬리를 붙들지 말고 지금 그저 시작해야 되는데 아이들이 없었으면 밥도 하지 않고 먹지도 않고 계속 잠만 잘 것 같은 내 모습이 그려진다.

새해 첫 글을, 일기장에나 써야 될 내용을 브런치에 쓰고 있다. 하지만 오늘 하루 힘내기 위한 시작을 글쓰기로 해야겠다고 마음먹었기에, 이 긴 내용을 펜을 들고 쓰려면 쓰다가 지칠 것 같기에 브런치를 열었다.

3일을 불안함을 안고 잠만 잤더니 그나마 몸은 좀 회복된다. 나는 무기력하다는 생각을 끊어내고 나에게 온전히 주어지는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야 될까? 홍콩에 가서 남편을 따라다니며 영어를 잘해야겠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고, 그 수많은 한자 표지판과 안내들을 보며 아찔한 느낌이 들었다. 한글도 그리웠다. 세종대왕님에게 무척 감사한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곳곳에 저런 한자가 쓰여있다면 얼마나 힘들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현지 음식을 두 번 먹고 도저히 적응을 못한 우리 가족은 그날부로 맥도널드와 한식집을 찾아다녔다. 홍콩 사람들은 그다지 친절하지 않았다. 내 나라가 그리웠다. 작은 나라지만 갖출 것 다 갖춘 나라, 사람들이 친절한 내 나라, 맛있는 음식이 많은 나라. 

이제 뭔가 꿈꾸고 욕심을 낼 나이는 아니지만 꾸준히 뭔가를 다시 시작하고 싶다. 늘 하다가 관두는 영어공부도 꾸준히 하고 싶고, 큰아들은 그냥 온전히 지켜보고, 작은 아들은 다독여서 공부도 좀 시키고, 책도 더 읽고, 수행도 다시 꾸준히 시작하고 싶다.

2024년은 욕심내지 말고 조금씩 꾸준히 하는 한 해를 만들고 싶다. 연말에 후회하지 않도록.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 건강을 챙겨야 된다. 23년 12월 한 달 감기로 너무 힘들었다. 감기와 함께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지나가 버린 한 달이 아깝지만 이것 또한 과거에 매달리는 것일 뿐, 현재 주어진 오늘 하루가 이전과는 달라야 된다는 것이 중요한 사실일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선언의 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