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일단기록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록해 Jun 10. 2020

기록의 힘, 글을 잘 쓴다는 기준이 뭐에요?

브런치에서 인기있는 글은 다 이유가 있다.

사실 글을 잘 쓴다는 기준은 그 사람이 어떤 글을 자주 쓰느냐, 어떤 글에 익숙해져 있냐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한다. 뭐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글의 종류에 따라 글을 잘 쓴다 못쓴다를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내가 쓴 글을 누가 이렇다 저렇다 판단 하는 건 기분 나쁘다. 잔소리는 기분나쁘고, 조언은 더 기분나쁜 것처럼)
 
나는 수필형 글에 소질이 있다. 뭐. 내가 내입으로 수필형 글을 잘쓴다고 말하는 것이 재수없을 수 있을진 몰라도 내 글을 읽는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대강 느낌이 온다. 사실 수필 대회같은 것에서 수상하는 것도 사실 심사위원의 취향이 80%를 차지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는 없지만, 어릴 때 부터 수필대회에서 여러번 대상, 최우수상을 받으며 글에 두서는 없지만 상대방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글은 읽는 독자들에게 고개 끄덕임 정도는 받았다.
 
입사를 할 때 나의 사수가 될 선배는 나에게 이렇게 질문했다.
"글 좀 쓰나? 여기는 글 좀 써야 되는데?"
"아... 글 쓰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 때 내 입을 꼬맸어야 했는데...)
 
긴장되서 아무말이나 내뱉었나 보다. 스탭부서에서 일하는 나는 각종 보고서를 쓰기 시작했다. 하루는 초안을 잡아서 사수에게 가져가고 나는 호되게 혼이났다.
 
"너 글에는 기승전결이 없다.."
 
뭐 크게 기분이 나쁘진 않았다. 사실 내 글에는 기승전결이 없었으니까. 나는 구조적인 글을 쓰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나는 내 글쓰는 패턴과 형식에 대해 다시한번 고민하기 시작했다. 진짜 내글에는 기승전결이 없었던 것일까?
 
어릴 때 부터 말하는 것보다 글 쓰는 것을 좋아했다. 남자아이지만 우리집에는 내가 어릴적부터 써놓은 일기장이 거의 한 박스가 될 정도로 나는 글을 많이 썼다. 사실 글을 쓰면서 스트레스를 푼다는 말이 맞을 정도로...
다시 내가 예전에 썼던 수필을 꺼내보기 시작했다. 나는 수필이지만 내가 가진 스토리 중 극적인 내용을 주로 긴 기간이 아닌 짧은 기간을 선택해서 쓰려고 한다. 너무 긴 기간을 쓰다보면 글에 생생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쓴 글을 읽는 사람들은 대부분 이렇게 말하곤 한다.
 
"다음 내용이 궁금한데?"
"야 이거 끝날때 까지 계속 긴장하면서 봤잖아!"
 
어릴 적 같이 살았던 이모와 인간극장이나 9시 뉴스전에 하는 일일연속극을 많이 봤던 영향인 것 같다. 뭔가 과장스러울 정도록 이미지를 상대방의 뇌리에 박고 나서는 바로 마무리를 짓는다. 다음이 기대될 수 있도록.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보면, 내 수필에도 기승전결이 있었던 것 같다. 내가 구조적으로 의도하고 쓰지는 않았지만...
그렇게 내 회사에서의 글쓰기와 일상생활에서의 글쓰기는 형식과 문체는 다르지만 맥락은 비슷함을 느꼈다.
 
하지만 글에 기승전결, 구조도 너무나도 중요하지만 모든 글은 읽는 사람이 원하는 글을 써야한 다는 것. 뭐. 인생살이가 다 그렇겠지만 내 글을 읽는 사람이 좋아할 만한 글을 써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상대방이 읽기 쉬운 글은 나 처럼 주저리 주저리 쓴 글이 아니라 '~하는 방법 7가지'식의 정보전달 글이 브런치에서 인기가 많은 것 처럼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기록의 힘, 주제 없는 글쓰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