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혜정 Aug 26. 2023

글 쓰는 사람인데 글 읽을 시간은 없어요


25살의 10월 어느 날부터 시작된 방송작가 생활.
막내작가로서의 삶은 견습작가 혹은 수습작가라고 해야 맞았다. ​
선배작가들이 아이템 선정을 해서 다음 주 방송을 준비할 수 있도록 아이템을 서치 및 취재하고, 출연자를 섭외한 후 자료조사를 하는 등 선배작가들이 촬영구성안과 대본을 쓸 수 있도록 도와야 했다.
촬영이 끝난 뒤엔 빠른 후반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서포트해야 했다.



이 서포트란 촬영본 영상 속 내용들과 오디오를 받아 적는 일명 '프리뷰'를 하며 선배작가들과 담당 PD가 적절한 영상내용을 빨리 찾아 편집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편집 수정이 완료되면 말자막, 상황자막 (현재 화면 속 내용을 요약하여 이해를 돕는 자막),
예고편으로 나갈 예고영상 자막과 흘림자막 ( 타 방송 시청 시 화면 최하단에 지나가는 예고자막)을 작성해야 했다.
선배작가들이 내레이션 대본을 쓰는 시간에는 (주로 늦은 밤 ~ 새벽) 다음 주 방송준비를 위한 아이템 서치를 했다.



이렇게 매주 방송 날짜를 맞추기 위해서는 하루의 시간도 허투루 보낼 수 없었고 모든 것을 예정대로

해당 요일에 해야 하는 것들을 문제없이 해내야 했다.
그래야 방송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 수 있었다.
매일 정신을 바짝 차리고 그날, 그 요일에 해야 할 것들을 복기하고 체크했다.
그날따라 아이템이 잘 안 찾아진다거나 섭외에 계속

차질이 생기면 밤늦게 퇴근해서라도, 집에 가서라도 마저 업무를 했다.
무엇보다 나 자신이 해이해지지 않도록 채찍질해야 했다.
또 아프지 않도록 아파도 빨리 나을 수 있도록 건강에 나쁜 것은 배제했다.
(아파도 마음대로 쉴 수 없어서 서러움을 겪은 후로는 애초에 아프지 않도록 신경 썼다 )
혹여 나의 게으름과 실수는, 나의 부재는, 루틴이 틀어진다는 것은 곧 스케줄 차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숨 가쁘게 하루하루가 지나갔고 방송이 송출된 날이면 밤샘으로 피로해진 몸을 위해 반나절 가량 딥슬립을 한 후, 다시 다음 방송을 준비하는 패턴이 이어졌다.




그렇게 일하다가 문득 나는, 우리 작가들은, 쳇바퀴 속 다람쥐 같다고 생각했다.
맡고 있던 프로그램을 아예 그만두지 않는 이상 업무에서 벗어나는 날이나 여름휴가 등은 생각할 수 없었고
친구들과 만날 때도 확실한 휴일이 아닌 이상 약속 잡는 것이 늘 불안했다.
(혹여 오늘은 일찍 갈 수 있겠지 하고 약속을 잡는 날엔 어김없이 변수가 생겼다)
취미생활을 하는 것도 왠지 불안했다.
보통 짬 날 때 쉽게 즐기는 취미가 독서였는데
책을 읽을 땐 심신이 평온할 때, 온전히 나의 시간일 때 읽는 편이었는지라 방송작가가 되고선 오히려 책을 읽기가 쉽지 않았다.


작가인데도 불구하고 책을 읽지 않는 작가라니 참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현재는 퇴근 후든 주말이든 원할 때 읽을 수 있으니 행복한 일이다)



글 쓰는 사람으로서 다독과 필력은 생명이라고 생각했는데 말이다.
문장력, 필력을 기르기 위해선 많은 글을 읽고 필사하는 것이 중요했는데 정작 그걸 하기 위한 시간이 없었다니....
그렇게 막내작가로서의 시간은 2년간 이어졌다.


작가의 이전글 빵순이의 운동루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