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거북이 Feb 15. 2017

재심

오르막만 있는 영화



안녕하세요. 브런치 식구 여러분. 요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가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 저는 2000년 8월에 발생한 약촌오거리 택시 살인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재심]을 관람하고 왔습니다. 


실제 약촌오거리를 다룬 SBS 그것이 알고싶다. 

 양아치의 삶을 살아가는 조현우(강하늘)은 오토바이를 타고 귀가하던 도중 우연히 살인 현장을 발견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살인자의 누명을 쓰게 됩니다. 15년의 형을 살고 나온 조현우에게 기다리는 것은 빚 4000만원 뿐이었습니다. 이 빚에 대해서 법률 자문을 하던 이준영 변호사(정우)가 사건의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고 조현우의 누명을 벗기기 위해서 고군분투하는 과정이 영화의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 누명을 벗기는 과정 중에서 우리나라 경찰과 검찰의 부실한 사건 처리 과정이 드러나게 됩니다. 피해자의 사망 흔적과 용의자의 소지품이 일치하지 않자 흉기를 조작하고, 목격자가 등장하자 목격자를 격리 시킵니다. 

과연 이런 형태의 비리가 영화 속에서만 일어나는지, 아니면 현실의 수사 과정에서도 이런 비리가 비일비재한지 결과만을 보는 우리들은 모를 것 입니다. 이런 비리가 얼마나 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교도소로 보내고, 그와 동등한 숫자의 범죄자들을 사회에 방생시켰을까요? 이것이 과연 민중의 지팡이라 불리는 경찰과 대한민국 최고의 수사기관인 검찰이 하고 있는 일인지 불신만 생겼습니다. 



 영화에서 재미있게 봤던 점은 이준영 변호사의 태도 변화였습니다. 처음에는 돈과 자신의 출세만을 생각하는 그의 발언이 굉장히 싫었습니다. 저것이 과연 법을 다루는 사람의 태도인가라는 생각만 들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사건의 진상을 파헤칠수록 사건 처리과정에서 의문점을 발견하고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그제서야 아, 변호사란 저래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인물의 감정변화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것 같았습니다. 굳이 극에는 필요없는 장면을 집어넣었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특히 조현우가 자신에게 억압적인 수사를 진행한 형사에게 저돌적으로 전지하는 장면은 과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조현우가 다방에서 일하는 여성을 도와주는 부분을 너무 강조한 것이 아닌가 했습니다. 법정 영화인 만큼 법정에서 이준영 변호사가 조현우의 억울한 누명을 벗겨주는 모습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법정에서 억울한 판결을 받은 조현우의 누명을 같은 장소인 법정에서 벗겨주었다면 더욱 좋았을 텐데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제 생각에 영화가 기-승-전-결 중 전에서 끝나는 것 같아서 굉장히 아쉬웠습니다. 영화에서의 목표가 억울한 사람에 대한 누명을 벗겨주는 것인 만큼 그 누명을 완전히 벗겨주면서 마무리 지었으면 더 좋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비슷한 영화로는 안성기 주연의 [부러진 화살]이 먼저 떠올랐습니다. 우리나라 경찰, 검사의 부실환 사건 처리 과정을 보여주고 사법부의 성급한 판단에 대해서 보여주는 의미있는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과 라이킷은 큰 힘이 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조작된 도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