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곤 Feb 28. 2024

적당한 거리

"집에 어떻게 갔는지 기억이 안 난다."


며칠 전에 동료가 한 말이다. 친구들과 술을 마시고 집에 택시를 타고 갔는데 어떻게 갔는지 지금도 도무지 생각이 안 난다고 한다. 술을 자주 마실 때 일어나는 현상일 것이다. 의사들의 말에 따르면 알코올 의존도를 측정하는 오디티 검사에서 남성은 20점, 여성은 10점이 넘으면 중독이고 술을 끊어야 한다고 한다. 


남성의 전유물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니었던, 텔레비전에 나오는 술 광고도 남성 모델만이 할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택도 없다. 오히려 여성을 모델로 하는 광고가 미디어를 점할 때가 있었다. 10여 년 전에 젊은 인기 여성 연예인의 술 마시는 모습이 전파를 타기 시작하면서 여성 음주가 급증했다는 뉴스를 접했던 적이 있다.



적당히 마시면 오히려 약이 된다는 술.


그러나 자기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점을 넘으면 사람이 술을 마시는지, 술이 사람이 마시는지 구분이 안 갈 정도다. 어둠이 깔리고 인적도 드문 길가에서 휘청거리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때면 불안하기 그지없다.



"적당히 해라!"


농을 하거나 장난을 치거나 어리광을 할 때 하는 말이다. 적당히 하면 받아줄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기분이 상하기도 상대와 관계가 틀어지기도 하는 것이 우리의 일상이다.


인간관계에서 적당한 거리를 두면 좋은 관계가 오래가듯 자신에게도  기준을 적용하면 어떨까 싶은 아침이다.


오래도록 행복한 브라보 인생을 위해!




매거진의 이전글 어느 길이 맞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