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길엽 Aug 15. 2023

우리 사회에 진짜 프로가 필요하다

현직에 있을 때 진짜 대단한 수학 선생님이 계셨습니다. 이분은 수업에도 철저했지만, 쉬는 시간에도 수학 정석 문제를 쉼없이 풀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실력 정석은 아이들이 정말 어려워했지요. 제가 고교를 다닐 적엔 '기본 정석'과 '실력 정석'이 있었는데, sky대학을 비롯한 명문대학에 가려면 실력 정석을 10번 이상 반복해서 풀어야 한다는 말이 유행했습니다. 저도 그 말을 믿고 한 번 다 풀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풀어나가는 것을 네 번 정도 반복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속설은 근거가 별로 없지 않나 싶습니다.


저는 문제 풀이 반복만 했지 문제 하나 하나 깊이 이해하는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실제 대학 입시에서 수학 과목이 평소보다 훨씬 못한 결과를 받아들었습니다. 실제로 수없이 반복적으로 문제 풀이한 학생들이 좋은 대학에 진학했을지라도 제가 보기엔 수학 문제는 기본부터 충실하게 다진 후 난해한 문제를 단순하게 반복하는 것보다 하나 하나 제대로 이해를 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제가 sky대학에 진학하지못 한 것은 실력 정석 수학을 네 번만 반복해서 보았기 때문일까요. ㅎㅎ


그런데 제가 소개하는 수학 선생님은 학기 초만 되면 시중에 나온 수학 문제집 몇 권을 책상 위에 펼쳐놓고 한 문제 한 문제 정교하게 풀어냅니다. 당시 포학공과대학에 2명이 진학했는데, 이 졸업생들이 쉬는 시간만 되면 교무실에 와서 이 선생님께 질문을 던졌지요. 당시 그 학생들이 교실로 돌아가면서 감탄하는 소리도 기억납니다. 선생님께서 얼마나 수학 문제를 놓고 고민을 많이 했던지, 졸업생들이 어디 구석진 데서 찾은 진짜 난해한 문제를 가져와 질문을 해도 그 자리에서 아이들 앞에 풀이과정을 보여 주더랍니다.


저도 그런 광경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것을 보고 저도 본격적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시중에 나오는 각종 난해한 지문들을 반복하여 공부했지요. 그리고 서울 종로학원이나 대성학원에서 발행한 최고 난이도 문제를 프린트해서 책상 위에 올려 놓고 고민하는 시간이 많았습니다. 가끔 동료들이 저를 보고,


"우리 학생들 실력에 그런 문제 볼 일도 없고, 풀이해 줄도 없는데 너무 고급진 문제 다루지 마. 쓸데없이 힘빼고 그러네. 그냥 교과서하고 참고서 몇 개 대충 보고 나서 수업해주고 시험 문제를 내면 되는데, 뭐 그리 무리하고 그러는데?" 라며 놀리기도 하였습니다.


일반 학생들이야 고만 고만 수준의 질문을 하지만, 적어도 sky대 정도를 꿈꾸는 학생들의 질문 수준은 정말 대단했습니다. 순간적으로 탁 막힙니다. 그들이 평소에 그리 공부를 열심히 하다가 막히는 문제를 가져왔으니 오죽하겠습니까. 어떻게든 띄엄띄엄 해설해주고 돌여 보냅니다.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말,


"그래 조금 있다가 교무실 다녀와서 설명해 줄게."


입니다. 학생들도 단번에 알아차립니다. 아하 선생님도 모르는 문제구나. 그들은 그런 데서 쾌감을 느끼기도 한답니다. ㅎㅎ. 그런 말이 나오지 않게 지도하는 선생님도 해당 과목에 관한 프로가 되어야 합니다. 어떤 영역이다 맡은 분야는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실력을 갖추여야 합니다. 또 그런 선생님도 계셨습니다. 아이들 말로는 실력은 부족한데, 아이들한테 아주 친절하다면서 좋은 평를 받는 선생님 말이지요. 물론 당연히 학생들을 진정으로 아끼고 사랑하는 자세는 교사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하지만 평소에 수업 준비를 하지 않고 해당 과목에 대해 준비도 철저하게 하지 않고 그냥 착하고 친절한 사람으로만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것은 좀 그렇지 않나 생각합니다. 프로가 되려면 피나는 반복 연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까 말씀드렸던 그 수학 선생님은 출근하면 정말 하루 종일 수학 문제를 놓고 씨름했습니다. 곁에서 보니 실력 정석을 얼마나 많이 풀었던지 책 표지가 바래질 정도였습니다. 홍성대 수학 정석 표지 딱딱한 부분 기억 나시지요. 포항공대 진학했던 학생 2 명이 함께 교무실에 와서 질문하다가 선생님이 해박한 실력으로 설명하면 감탄하던 표정도 생각납니다. 그리고 선생님도 자신만만하게 설명하시면서


"야~ 이건 쉽네. 쫌 어려운 문제 좀 가져와 봐라. 그럴러면 느그들 공부 더 해야 하겠제. 포항공대 그거 안 쉽데이. 알았제. 더 공부해서 어려운 문제 가져와 봐라 으잉."


라고 아이들에게 의기양양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여름 친목회로 어느 해수욕장에 갔을 때 그날 저녁 먹고 남자들끼리 둘러 앉아 커피를 마시며 제가 말했지요.


"0 선생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공부 잘 하는 아이들 질문을 한 번도 놓치지 않고 답을 하시다니. 저도 가끔 막힐 때가 있는데, 선생님은 그 어려운 수학 문제를 즉석에서 풀이하는 것 보고 많이 놀랐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에 포항공대 진학하려는 아~들 둘에게 더 여려운 문제 가져오라고 농담할 때 진짜 대단했습니다. 역시 프로는 다르데요. 저도 많이 배우겠습니다."


그러자 그 수학선생님께서.


"사실은 그날 제가 농담을 하긴 했지만 그 문제 처음 질문 받았을 때 머리가 띵할 정도로 난해했어요. 본고사 수학 문제니 오죽 어려웠겠어요? 아~들 표정이 이번에는 날 잡았다 하는 것이 보였거든요. 그런데 문제를 놓고 잠시 생각해 보니 한 번 다뤘던 것이 떠올랐고, 머릿속으로 문제 풀이 과정이 그제서야 막 지나가요. 그래서 정말 억지로 억지로 풀어 설명해 주고 그렇게 큰소리친 겁니다. 머릿속으로 지나가는 기억을 놓칠까 걱정 많이 했지요. 난 프로가 되려면 멀었습니다. 그래도 이리 알아 주이 참말로 고맙심더."


우리 둘은 맡은 과목은 달랐지만 그때부터 상호 존중하는 사이가 되었지요.


어떤 영역이든 프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꽉찬 실력을 갖춘 프로가 스스로 겸손하고, 너그러운 인성을 갖추어서 타인을 배려 존중하는 그런 프로가 우리 사회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비단 수학 과목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지요. 인간관계에도 프로가 반드시 필요하여 공동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존재가 있어야 하는 법입니다. 나이만 먹는다고 그냥 어른이 안 되고, 대학만 나온다고 그냥 스승이 되지 않지요. 프로가 되려면 실력적으로 인성적으로 정말 엄청난 연마를 거듭 거득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젊은 새댁한테 진짜 고마워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