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길엽 Aug 23. 2023

사직지신(社稷之臣) 급암(汲黯)

       

고교 시절 국어 시간에 배운 정철의 관동별곡(關東別曲)에 '급당유 풍채를 고텨 아니 볼 게이고' 문장이 나옵니다. 여기서 말하는 급당유, 즉 급장유가 바로 급암의 자인 장유(長儒)입니다. 정철은 그를 언급하면서 선정善政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였지요. 조선의 문인 정철이 그의 작품에서 논할 정도로 급암은 목민관으로서 선정을 베풀었는데. 이 사람은 직간(直諫)으로 황제에게 두려움 없이 자신의 생을 밝힌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한무제 당시 ‘사직지신’이라고 평가받았지요.


먼저 사직의 유래를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예로부터 나라에서 백성의 복을 위해 제사를 지내는데, 그 대상인 토지의 신을 사(社)라 했고 곡식의 신을 직(稷)이라 한 데서 나온 말이지만, 본래의 뜻은 거의 사라지고 ‘국가’나 ‘조정’을 이르는 말로 쓰이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자주 보이는 종묘사직(宗廟社稷)은 바로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그래서 사직지신은 나라의 안위와 존망을 한 몸에 맡은 중신을 일컫는다.       

   

급암은 한무제 당시 조정에서 성품이 거만하고 예(禮)에 소홀하였다. 그리고 기질도 강직하여 어느 누구에게도 두려워함이 없이 바른 말을 하기로 유명했다. 특히 다혈질의 강성군주 한무제에게도 거침없이 직간, 직언할 정도로 유명하다. 면전에서 사람을 면박하고 다른 사람의 잘못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자기의 뜻에 맞는 자는 잘 대해 주고 마음에 맞지 않는 자는 가만히 두지 않았다.    

            

그러니 선비들도 역시 그를 잘 따르지 않았다. 인품도 그리 부드러운 사람이 아니었다. 그리고 한무제가 어떤 사람인가. 사마천의 간언을 듣고 분노한 나머지 그 자리에서 처형하라고 명령한 그 사람이 아닌가. 물론 사마천이 후에 궁형을 자청하여 참형은 모면했지만. 아무튼 한무제와 같은 다혈질의 강성군주에게도 전혀 거리낌없이 직언할 정도였다.     


급암이 관직에 있을 때의 일이다. 전분(田蚡)이 임금의 외척으로 승상의 지위에 오르자, 교만하여 고관들이 배례(拜禮)해도 답례를 하지 않았다. 황제를 위세를 믿고 그렇게 교만한 전분이지만, 급암은 전분을 만날 때마다 읍(揖)만 할 뿐, 절은 하지 않아서 전분의 무례함을 은연중에 풍자했다. 어느 날 한무제가 문학하는 선비들을 불러모아 놓고 자신만만하게 밝혔는데, 그 주요 내용이 태평성대의 상징인 요순(堯舜)의 정치를 다시 일으키겠다는 것이었다.    

  

황제가 신하들 앞에서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밝히는 자리인 만큼 웬만하면 모두들 적당하게 들어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무제의 말을 듣자마자 급암이 그 자리에서 바로 통렬하게 비판한다.       

    

“폐하께서 마음 속에는 욕심만 가득하신데 겉으로만 인의를 베푸시면서 어떻게 요순(堯舜)의 정치를 본받으려 하십니까?"


                                                      陛下內多欲而外施仁義 奈何欲效唐虞之治乎      


위의 당우(唐虞)는 요임금, 순임금이 통치하던 곳이 당과 우였기 때문에, 당우지치는 바로 요순의 정치를 가리킨다. 태평성대의 상징인 요순의 정치를 말하면서 실제는 마음 속에는 욕심만 가득하지 않느냐고 공박한 것이다. 보통 사람도 아닌 황제 면전에 쏘아 붙인 급암의 행동은 간단한 것이 아니었다. 실제로 급암의 직간에 무제가 분노하여 얼굴빛이 파랗게 변하면서 즉시 조회를 파했다. 우리네 같은 보통 사람이면 황제가 분노하는 낯빛을 보고 떨리지 않았을까. 주위의 신하들 또한 공포에 빠지지 않았을까. 그것도 천하의 한무제 그 불같은 사람에게 저렇게 겁도 없이 쏘아붙였으니.   

            

여러 사람 앞에서 욕심만 가득한 사람이 요순 정치를 논한다는 직언을 들었을 때 한무제의 속마음은 어떠하였겠는가. 급암의 직언에 너무나 무안하여 입을 닫고 말은 하지 않았으나 얼굴에 노한 기색을 띠며 조회를 파한다. 황제가 물러나면서 좌우에 말했다.        

   

“심하도다, 급암의 우직함이여!” 이에 공경대신들은 모두 급암을  걱정했다. 보통 사람이라도 그 상황에서 분노할 일인데 지존의 신분인 황제의 처지에서 얼마나 무안하고 격분할 일인가. 그런데도 급암의 우직함이란 말로 비교적 가볍게 우회하여 급암을 원망하는 한무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도 누군가 면전에서 나를 보고 겉 다르고 속 다르다는 식으로 비판한다면 그것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대통령 면전에 대고 이렇게 직선적으로 대통령의 이중적인 행태를 정면으로 비판할 장관이 있을까. 아마도 그렇게 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한무제가 조회를 파하고 나가니, 함께 있던 여러 신하들이 모두 두려워하면서 급암을 걱정했다. 괄괄한 황제의 성격이라 불벼락이 떨어질 것이 분명했다. 하지만 급암은 태연했다.


신하들 중 누군가가 급암을 나무라자,                

“공경대신이 되어 어찌 순종만 하고 아첨하는 자들만 있어 임금을 불의에 빠뜨리게 해서 되겠는가. 내가 이미 그 벼슬에 있으니 비록 내 몸을 사랑하나 어찌 조정을 욕되게 버려둘 수 있겠는가”   

            

라고 대답하였다. 이렇듯이 급암은 상대방이 황제라도 행동이 도리에 어긋나고, 정치가 잘못되면 가차없이 비판하였다. 황제라 하여 두려움에 떠는 일은 전혀 없었다. 황제 입장에선 아무래도 급암이 껄끄러웠을 것이다. 따라서 무제에게 ‘찍힐’ 수밖에 없었고, 급암은 조정의 수많은 기회주의자나· 간신들에게는 공동의 적이 되었다.      


무제는 급암을 총애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의 역량과 청렴성은 믿고 있었다. 그러므로 심각한 사건이 발생하여 민심이 흉흉한 지역이나, 세력가들이 많아 다스리기 힘든 지역에는 급암을 책임자로 보냈다. 급암은 사사로운 이익보다 나라와 민족을 위한 공명정대한 정책을 펼쳐 조야에 두루 인정을 받았다. 그렇다고 해도 급암이 한무제에 대해 그렇게 강력하게 직언하고도 어떻게 무사할 수 있었을까. 아무래도 뛰어난 역량 그리고 청렴성, 죽음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 등등이 아닐까 한다.      

     

한번은 회남왕이 반란을 일으키려 했을 때, 급암을 두려워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급암은 직간을 좋아하고, 지조가 있어 의(義)에 죽는 사람이므로 그릇된 것으로 그를 유혹할 수는 없다. 하지만 승상 공손홍을 설득하는 것은 덮개를 열고, 마른 잎을 흔들어 떨어뜨리는 것처럼 아주 쉬운 일이다."


                                                                  如發蒙振落         


급암에 관한 이야기들을 마무리면서 ‘마른 잎을 흔들어 떨어뜨릴 만큼 쉬운’ 가벼운 존재로 혹평을 받았던 공손홍 대해선 다음에 살펴 볼까 합니다. 공손홍은 한무제의 총애를 한몸에 받았던 대신이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급암처럼 직간을 서슴지 않고 할 사람을 찾는 것이 어렵겠지요.

keyword
작가의 이전글 어떻게 생각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