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창현 Sep 01. 2020

이직을 하기 전에 몰랐던 사실들

이직 준비 하시는 모든 분들을 응원합니다. 

약간은 늦은 나이까지 공부하는 사람은 자신에 대해서 두 가지 생각을 가지게 된다. 첫째, 나는 남들이 일하면서 자신을 소모할 때, 지식을 얻고 있구나. 둘째, 나가서 잘 할 수 있을까?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긴 대학원 생활은 내 신변을 보호할 수 있는 일종의 방패같은 것이었고, 나는 사회에 나갈 날을 꿈꾸고 또 꿈꿨다. 


라푼젤은 어렸을 때 탑에 잡혀와 18살이 되어서야 겨우 탑에서 나갈 수 있었다. 그 때 도둑이지만 심성만은 착하고 잘생긴 플린을 만나서 결국 원하는 것을 모두 가지게 된다. 


이런 끔찍한 생각을 해볼 수 있다. 라푼젤이 처음 만난 사람이 운 좋게 플린이 아니라, 진짜 사기꾼이었다면? 순진한 라푼젤을 꼬드겨서 착취했다거나, 노예로 팔아먹었다면? 안타깝게도 인생에서 라푼젤처럼 운 좋게 좋은 사람을 만나 소원을 이루고 궁으로 다시 입성하게 되는 경우보단, 나쁜 사람을 만나 죽도록 고생하는 스토리가 더 흔한 것 같다. 


라푼젤만큼은 아니지만, 학부 입학한지 14년만에 정식으로 학교에서 밖으로 나가는 마음 역시 마찬가지였다. 깡패들은 없을까(ruffians and thugs)? 라는 고민보다는 그냥, 나가서 좋다, 나가도 될까? 이런 마음이 반반이었던 것 같다. 진짜 라푼젤이 플린을 만나 탑에서 나갔던 것처럼, 나도 어떤 회사를 만나서 학교를 훌쩍 떠났다. 며칠 근무하다가 학교에 남아있는 책을 싹 정리해서 봉고차로 불러서 회사로 갔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리고 6년, 네 회사를 다녔다. 그 중에는 조금 짧게 다닌 회사도 있고, 2년 넘게 다녔던 회사도 있었다. 그리고 네 번째 회사에 오늘 사직서를 제출했다. 


그간 겪은 일들을 나열하자면, 사실 브런치가 아니라 대하소설을 써도 모자라겠지만, 이직과 퇴직을 생각하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이직하면서 느낀 몇 가지 지점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직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생각하면 조금 더 좋을 것 같다.  


첫째, 이직하고 나서 연락할 수 있을만큼 친한 사람을 꼭 만들어놓고 나오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전 회사와의 관계가 마냥 좋을 수만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평소에 보고 싶지 않았던 사람, 그리고 자신에게 냉랭한 사람들이 많은 곳이 전 회사이다. 오히려 제법 친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조차 이직하면 연락은 뚝 끊긴다. 회사를 다니면서 나는 딱 한 명 정도는 내가 내일 그만 두더라도 꼭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을 만들자고 생각했다. 물론 실패를 경험해봤기 때문이다. 서로 법적 쟁송관계에 얽혀있고, 친한 직원이 다 나간 회사에도 나중에 연락할 일이 생겼다. 스스럼없이 연락할 수 있는 사람이 그 회사에 한 명만 남아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다. 


둘째, 이직할 때, 경력 일관성이 중요하다. 30대의 나는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어요"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애썼다. 그런데 어느 정도 나이가 차고 난 다음에 이직준비를 할 때는 이런 저런 경력이 다 소용없었다. 오직 그 회사에서 보려고 하는 그 경력만이 중요했다. 심지어 면접장에서 "이것도 할 줄 알고, 저것도 할 줄 알아요"라고 말하는데, "차라리 멋 모르는 사회초년생이 낫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분은 완전히 젊잖게 말씀하셨지만, 폐부를 찌르는 코멘트였다. 사실 이것도 조금 해보고, 저것도 조금 해본 나는 그 분야 실력으로는 사회 초년생과 다를 바 없었다. 이직할 회사를 고를 때도, 미래를 보고 내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곳을 선택하라고 추천하고 싶다. 당장 돈 많이 주는 직장은 그에 따른 대가가 따른다. 


셋째, 아무도 당신을 모를 것 같지만, 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이직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민국은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산다. 그래서 한 곳에서의 평판은 다음 직장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러나 의외로 업계는 좁고 사람에 대한 나쁜 이야기는 빨리 전파된다. 한 직장에서 다음 직장으로 옮길 때, 당신을 둘러싼 수많은 평판이 이직을 막을 수도 있고, 불가능한 이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서로 자존심 상하게 하고 껄끄러운 관계를 만들어놓으면, 그 사람에게서 자신에게 불리한 이야기가 영원히 반복된다. 술을 마시면 또 당신의 뒷담화를 하느라 몇 시간을 허비한다. 물론 그런 뒷담화는 직접 자신의 미래를 방해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게 쌓이고 쌓이면 당신이 분명히 알 수 있는 불이익으로 다가온다. 그런 상황을 겪고 나면 "아! 세상이 이런 곳이로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겸손해지게 된다. 


넷째, 이미 이직에 대해 마음을 굳혔다면, 끝까지 시도해보기를 추천한다. 삼십대 후반에 이직을 준비하면서 멘탈이 약해질 때가 한 두번이 아니었다. 일단 서류에서 떨어지는 것에서도 멘탈에 스크래치가 난다. 면접 때 면접관들이 모두 여러분에게 바른 말, 고운 말만 해주는 것은 아니다. 면접에 갔다오면 1차로 자존심에 스크래치가 나고 2차로 떨어지면, 또 스크래치가 난다. 다음 지원할 때는 되지 않을까봐 조마조마하고, 또 면접기회가 오면 전 면접처럼 망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면접에 다시 가면 또 당신의 자존심을 상처내는 사람을 만나게 되고 또 떨어지면 또 상처를 받는다. 자신과 잘 맞는 회사를 만나기 전까지 당신이 몇 번의 상처를 받아야 하는지 잘 모른다. 마지막에 썼던 원서 중 하나가 서류에서 탈락한 것을 확인할 때, 진짜 온 몸에 근육통이 찾아왔다. 심리적인 충격(?)이 진짜 인간의 몸에 이렇게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실제로 깨달은 순간이었다. 그리고 정말 얼마 지나지 않아 원하던 회사에 최종 합격 소식을 듣게 되었다. 진짜 바닥을 봐야 올라올 수 있다는 말이 온몸으로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이 글은 이직 후기가 아니다. 

이직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몇 가지 팁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주면 좋겠다.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는 내용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잘 몰랐던 내용이다. 아니, 알았다 하더라도 정말 몸으로 체험하지 않아, 그렇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던 것들이다. 이직하기 전에도 이런 글을 쓰고 싶어 손이 간질간질했으나, 이직이 결정되고 나서야 겨우 이런 글을 쓴다. 


변화를 꾀하는 모든 사람들은 항상 불안 속에 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직이란, 그 불안을 성장을 위한 연료로 사용하는 방법을 깨닫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변화를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응원을 보낸다. 


정부의 의료정책에 항의하고자 사표내고 휴학계 내신 분들은 빼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