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leepers Summit May 09. 2020

The show must go on.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The show must go on.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코로나가 처음 상륙했을 때 혼란과 불안감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어느새 반년이 되어가고 있는 지금, 이 안에서 우리는 각자 살아갈 방법을 찾아가고 있는 듯하다. 여전히 멈춰있고 포기할 수밖에 없게 돼버린 것들도 많지만, 적어도 모두가 한 번 이상의 살아남아보려는 시도를 했었다는 건 분명하다. 


페스티벌과 라이브 콘서트 산업도 마찬가지다. 혹자에게는 공연은 필수가 아닌 기호에 관한 문제이기에, 이런 이야기를 논한다는 것이 배부른 소리로 들릴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 또한 누군가에게는 생계를 이어가기 위한 ‘업’이 걸려있는 이야기다.


공연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야 하고, 기술이 아무리 좋아져도 사람의 ‘손’이 필요한 일이기에 움직임이 제한되는 이 상황에서 라이브 이벤트 산업은 특히 전멸했다. 나 또한 그 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있었는데, 공연들이 하나하나 취소되고 끝내 세계적 행사인 SXSW와 코첼라 그리고 글라스톤 베리가 취소되었을 때 그 기분을 잊을 수가 없다.


그리고 공연장의 빈자리를 온라인이 메꿔가기 시작했다.


처음에 온라인을 통한 공연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주고 싶었던 것 같다. 공연계 종사자들에게는 감을 잃지 않게 하고 다시 복귀할 수 있을 거라는 희망. 그리고 관객들에게는 외부 요인으로 인한 생활의 멈춤을 잠시라도 쉼으로 느끼게 해 주려는 위로. 난생처음 겪어 보는 팬더믹이고 특히 ‘쉼’조차도 ‘뒤처짐’으로 세뇌되어 끊임없이 달리기만 했던 우리 세대에게, 갑자기 찾아온  ‘멈춤’은 큰 당혹감을 주었을 것이다. (갑자기 달고나 커피 만들기 영상에 달려있던 댓글이 떠오른다. ‘나태 지옥에 한국인의 자리는 없다’라던….)


하지만, 사태가 길어지고 심각해지면서 공연계는 단순히 위로가 아닌 살아남기 위해서 온라인 콘텐츠를 끊임없이 만들었고 배포하고 있다. 그리고 콘텐츠의 수가 일정량 쌓아지면서 어느 정도 몇 가지 전형이 자리 잡은 것 같다.


전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겠다.

1. 아카이빙 된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배포

 - 한국의 예술의 전당의 ‘SAC On Screen’, 국립 극장 그리고 영국의 국립극장 NT, 뮤지컬 거장의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더 쇼 머스트 고온(The show must go on)’ 시리즈 등.

 > 개인적으로는 평소에 좋아했던 국립 무용단의 ‘향연’과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오페라의 유령’을 온라인을 통해 다시 볼 수 있어서 행복했다.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더 쇼 머스트 고온' 시리즈 발표


2. 소셜 미디어를 통한 방구석 라이브

- #togetherathome 해시 태그와 함께 콜드플레이의 보컬 크리스 마틴, 찰리 푸스, 마일리 사이러스, 한국의 10cm, 소란 등이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팬들과 소통하고 공연을 하는 방구석 라이브를 진행하였다.

- 이러한 방구석 라이브는 여러 뮤지션의 조합으로 하나의 페스티벌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원 월드:투게더 앳 홈(One world:together at home)은 레이디 가가가 기획한 초대형 온라인 자선 페스티벌로, 엘튼 존, 스티비 원더, 빌리 아일리시 등 글로벌 슈퍼스타들이 약 110여 명이 참여하였다. 나는 영국의 록밴드 퀸의 이야기를 다룬 '보헤미안 랩소디' 영화에 나오는 라이브 에이드를 실제로 보지 못한 세대다. 따라서 라이브 에이드는 역사 속의 한 사건처럼 느껴지는데, 이 원 월드를 보면서 이또한 다음 세대들에게 재난을 음악으로 극복해 보려 했던 역사 속의 한 사건으로 느껴지지 않을까?라는 상상도 해보았다.

원 월드 투게더 엣 홈 : One world together at home / * 창작자의 저작권 문제로 유튜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특히 Jessie J가 Flashlight를 부를 때 손가락으로 카메라를 가리킬 땐.. 정말이지 나를 가리키는 것 같아 성덕이 된 느낌이었다(*성덕 : 성공한 덕후). 우리나라 가수로는 Super M이 출연했는데, 그들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에 능숙하고 깔끔한 에티튜드를 보며 역시 에셈........이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3. 무관중 공연의 라이브 송출

무관중 공연의 경우 기존에 아카이빙 해둔 공연이 아니라 관중 없이 공연을 진행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송출하는 형식의 공연이다. 이 경우는 공연 프로덕션 이외에 방송 프로덕션이 참여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따라서, 시청하기에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나 공연보다는 방송이라는 느낌이 더 강하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의 안드레아 보첼리 공연 생중계

- 이에 대한 예로는 성악가 안드레아 보첼리가 밀라노 두오모 성당에서 진행한 생중계, 영국에서 티켓을 구할 수 있을까 조마조마 기다렸던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참여한 독일 베를린 마이스터 홀에서의 모먼트 뮤지컬(Moment Musical) 시리즈 등이 있다.






Eat Sleep _____ Repeat

rave


코로나로 인해 공연의 온라인화 기술은 발전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변한 공연계의 모습을 전적으로 긍정적이게 바라봤었다. 콘텐츠는 부가 가치가 높은 산업이지만, 프로덕트 산업이 가진 안정성을 갖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렇게 온라인을 위해 영상으로 기록되는 공연을 보며, 영상은 무형 콘텐츠를 프로덕트로 변환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는 결국 이 산업을 경제적으로 안정적이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잠시 했다.


온라인은 관객들에게 공연 선택의 스펙트럼을 넓혀주고 새로운 도전을 하게 한다. 그리고 관객의 트랙킹을 손쉽게 하여, 구체적 관객 개발이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나 같은 공연 freak에게는, 놓쳤던 공연과 찾아가기에 제약이 있었던 공연 그리고 다시 보고 싶었던 공연을 마음껏 볼 수 있게 해 줘 정말 황홀한 일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온공태기가 오기 시작했다 (*온공태기 : 온라인 공연 권태기, 방금 만듦) .

너무 많은 콘텐츠에 피로감을 느끼기 시작한 것도 있지만, ‘관객 개발(Audience Development)’‘경험 경제(Experience Economy)’의 관점에서 파헤쳐 보면 그 이유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2019년 경험 설계 회사 Imagination 이 발표한 Experiential trends 보고서에 따르면, 사람들은 점점 더 기계와 친해지고 있다. 하지만, 앱스토어가 생긴 지 약 10년이 지난 지금 아이러니하게도 소비자들의 진정성과 실제성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기계를 통해서도 사람 사이의 끊임없이 소통을 하고 싶어 함을 밝혔다.

- Screen to Real

- Physical Experience

- Real to Real

<Experiential trends 2019>


즉, 세상은 디지털화되어가고 있지만, 사람들은 스크린보다 만남을 갈망하기 시작했고, 여전히 신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을 원하며, 실제가 더 실제 다워 보이길 원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객들에게서도 이러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2016년 AEA Consulting 이 발표한 Live to Digital 보고서는, 관객들은 디지털이 라이브를 대체할 수 없다고 생각하며 이 둘의 명확한 경험의 차이를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디지털 공연은 경제적이고 편리하지만, 현장감(Liveness)이 없음을 강조하며 디지털 공연의 증가는 라이브 이벤트의 수요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별개의 매체라고 분석했다.


즉, 영상 공연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영상과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콘텐츠는 라이브 콘서트와는 별개라는 것이다.  NPR의 Tiny Desk Concerts 또는 네이버 온 스테이지 같은 개념으로 받아들여지지 현장 공연을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디지털 공연 플랫폼은 발전하고 있지만, 현장감에 대한 관객들의 여전한 갈증은 드라이브 인 콘서트(Drive-in Concert)라는 대안을 제시하게 했다. 드라이브 인 콘서트는,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많이 진행되며 자동차 극장의 콘서트 판으로 보면 된다. 차 안에서 타인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되 스크린이 아닌 직접 무대를 바라보고 공연을 보며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콘서트의 형태다.


[출처 : 드라이브 인 콘서트를 진행한 매즈랭거(Mads Langer) 페이스북]


하지만, 앉아서 보는 공연 장르 외에, 즐긴다는 느낌이 강한 콘서트나 페스티벌의 관객에게 이 방법은 여전히 허전함을 준다. Physical Experience가 부족한 것이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액션을 취할 때 그 콘텐츠에 집중하게 되고, 콘텐츠에 관여하게 되며 그에 대한 경험의 지속력을 증가시킨다. 이는 경험 경제에 관련된 이야기뿐 아니라 마케팅에도 적용되는 이야기다. 페스티벌 마니아인 나의 관점에서 이 논리를 페스티벌에 적용해 보면 ‘레이빙(raving)’이 없기에 그 허전함이 채워지지 않는 게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영국에 있을 당시 코로나로 록다운 이 시작되었을 때 방안 갇혀있던 것도 나에겐 굉장한 인내심을 요구했는데, 음악이 나오는 곳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는 건 여간 답답한 일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갈증은 나만 느낀 게 아닌 것 같다. 다영역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Production club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 바이러스 슈트 MICRASHELL을 제안하였다.


<Production Club의 Micrashell>


재밌다. 아직은 우스꽝스러워 보일 수 있지만, 코로나의 종결을 페스티벌의 재개장의 의미로 받아들이는 페스티벌 마니아들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한 제품인 것 같다.



이처럼 라이브 이벤트 업계는 공연할 수 없는 이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그 노력에 대한 관객들의 반응과 채워지지 않는 결핍 들은, 이 산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법에 대한 힌트를 주고 있다. 따라서, 지금 현재 공연계는 거의 전멸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으나, 이 상황을 하나의 징검다리로 인지하고 쇼가 계속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해 나갔으면 한다. 가장 창의적인 사람들이 모인 산업이라고 믿고 있으니 이 어려움을 상상치도 못한 방법으로 잘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거라 믿는다. 쇼는 계속될 것이고, 관객들은 다시 쇼에 박수를 보낼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공연과 페스티벌





조윤지 문화 기획자/프로그래머, 슬리퍼스 써밋







작가의 이전글 < 발견 그리고 덧댐과 이음 > - 1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