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싱글리스트 Feb 26. 2017

직장인 68% “퇴근 후 지쳐 아무것도 못해”

우리나라 직장인 68%는 퇴근하고 나면 지쳐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40대 직장인 2000명을 상대로 설문한 '2040세대 취업남녀의 시간사용과 일·생활에 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7.8%가 이 같이 응답했다.             


'매우 그렇다'는 대답이 12.0%, '그렇다'는 답변이 55.8%였다. 일로 인한 소진감은 여성(71.4%)이 남성(65.1%)보다 더 컸다. 월수입 200만원 미만인 경우 70.3%가,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는 60.9%가 퇴근 이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해 소득이 낮을수록 피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도 쉴 틈이 없다'는 응답은 52.4%로 절반이 넘었다. 여성(55.5%)과 30대(57.8%)가, 배우자가 있거나(62.3%) 맞벌이(66.2%)일수록 퇴근 이후 더 바빴다. 영유아 자녀가 있는 경우는 68.6%가 귀가 이후에도 분주하다고 답해 육아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평소 '가족과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해 아쉽다'는 답변도 77.4%였다.


일·가족·개인 생활의 이상적 시간배분 역시 현실과 괴리가 컸다. 답변을 평균해보면 직장인들은 수면과 휴식·여가를 포함한 개인생활에 47.1%를 사용하고 근로시간과 가족생활 시간에 각각 29.6%, 23.2%를 쓰길 원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주어진 시간의 42.6%를 일하는 데 썼고, 개인생활은 41.4%, 가족생활 시간은 16.0%밖에 안 됐다.


직장인들은 일과 개인생활의 조화를 위한 조건으로 근로시간 단축이나 유연근로보다 정시 퇴근이 우선(66.0%)이라고 입을 모았다. ‘매달 하루 2시간 일찍 퇴근시켜 돈을 쓰도록 만든다’는 정부의 내수활성화 방안에 냉소적 반응을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유급휴일·연차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53.9%로 집계돼 기본적 근로조건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데 불만이 컸다. 업무량 감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42.0%)이나 근로 시간·장소의 유연한 조정(40.7%)은 정시 퇴근 요구에 못 미쳤다.  


정시퇴근 요일을 지정한 '가족사랑의 날' 등 프로그램을 확대·강화해야 한다는 응답(22.1%)은 업무 시간 이후 문자·연락·지시를 금지해야 한다(38.0%)는 의견보다 적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가족정책의 이슈와 과제' 보고서에서 "법정 노동시간 준수 등 기본 권리를 보장하는 조직문화 정착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며 “국내에도 최소 휴식 보장제도 논의가 있고 일명 '퇴근후 업무 카톡 금지법'이 국회에 발의된 상태여서 관련 논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에디터 김혜진  goolis@slist.kr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거진의 이전글 '건강 적신호' 혼밥·혼술족, 튼튼한 삶을 위한 4계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