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유진 Jun 01. 2023

제로웨이스트 일상

 최근에 이전보다는 적극적으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 중이다. 치아바타나 치킨은 포장 없이 내가 챙겨간 용기에 담아 오고, 분리배출 방법이 헷갈릴 땐 적극적으로 검색해서 되도록 정확히 분리배출 하고 있다. 꽃병으로 쓸만한 병은 잘 씻고 소독해서 집에 있는 끈으로 마크라메 작업을 거쳐 새로운 화병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장 볼 때 비닐이나 플라스틱 포장 상품은 되도록 자제한다. 버리려고 택배 상자를 납작하게 정리했다가 마크라메 끈 정리함이 필요해서 정리함으로 사용하고, 스테인리스 드리퍼와 융드립으로 커피를 내려 마신다. 두 잔 모두 부드러운 바디감으로 추출되는 장점이 있지만 미분이 조금 나오고 부지런하게 관리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이것이 단점인가? 몇 초, 몇 분 손이 더 가는 것이 과연 단점인가? 어떻게 보면 우리는 편리함에 지배당하며 살고 있는 듯하다. 편리함의 극치에 닿은 우리의 일상을 가만 들여다보면 그 편리함을 갖추기 위해 자신의 돈과 에너지를 소비한다. 편리하기 위해 편리함에 지배당한 삶이 당연한 삶이 되어버렸다.


 조금의 불편을 감수하며 사는 삶이 미덕이라는 생각을 한다. 플라스틱을 버리기 전에 라벨을 떼어내고 두어 번 헹구는 작업은 사실 1분도 걸리지 않는다. 이게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인지 아닌지 검색해 보는 것도 몇 분 걸리지 않는다. 장 볼 때 장바구니를 챙겨가는 것도, 스스로 용기를 챙겨가서 음식이나 빵을 담아 오는 것도(사실 이건 용기가 제법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처음이 어렵지 하다 보니 익숙해졌다.) 그리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면서 생긴 몇 가지 변화들이 있다. 첫째, 나 자신을 조금씩 돌보기 시작했다. 자신을 돌본다는 말처럼 어색한 말이 또 있을까? 나는 타인을 돌보는 일에도 그다지 능숙하지 않은 사람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돌본다는 것(돌보다-관심을 가지고 보살피다)이 추상적으로 느껴져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내가 나를 돌보는 일인가 의문이었다. 제로웨이스트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면서 그때마다 환경을 위해서 하는 행동은 또한 나를 위한 행동이기도 하다는 걸 어느 날 알았다. 그것은 내 육체에도 도움일뿐더러 내면을 돌보는 것에도 큰 몫을 하고 있다. 이를테면 분리배출을 정확히 하려 노력한 의지에 박수, 어글리어스 마켓에서 주문한 야채들로 겉절이를 만들어 나에게 스스로 먹여 칭찬, 먹을 만큼만 만들어 요리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지 않은 멋에 취하는 것 등등. 지극히 단순한 제로웨이스트 실천 일상을 통해 나를 예쁘게 봐주는 작업들을 하면서 스스로를 뿌듯하게 여기는 시간들이 조금씩 늘어났다.  

 둘째, 타인과의 적절한 거리감이 어느 정도인가를 감각하기 시작했다. 내가 경험했을 때 좋았던 것은 주변에 꽤 강력하게 설파하는 타입인데 문제는 추천에서 끝나야 하는데 내 얘기를 들은 상대방에게서 적용이 보이지 않으면 깊이 실망한다는 것이다. 아니 이 좋은 것을 왜 시도를 안 하는 것이야 하고 풀이 죽고 마음이 삐죽거리게 되는데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한 것 중 하나가 내가 만족하는 정도의 실천은 만인에게 의무가 아니며 각자의 삶이 있다는 것이다. 각자의 삶과 사정이 저마다 달라서 실천의 정도도 다 다를 것이기 때문에 제안과 격려는 하되 타인의 반응에 가있는 내 시선을 걷고 내가 할 수 있는 실천에 집중하기로 했다.

 셋째, 자연을 더 깊게 누리게 되었다. 뾰죡한 마음이 허다하지만 상쾌한 바람을 맞고 하늘과 풀잎과 꽃들을 보면 자연스레 감탄하며 마음이 넉넉해지는 게 우리 인간이다. 원체 자연을 좋아하는 타입이지만 제로웨이스트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부터는 마음에 잔잔히 주변 풍경을 머금게 되었다. 강렬하고 빠른 것도 마음에 큰 파동이 일고 때로 깊은 것이 되지만 때로는 잔잔하게 마음에 머금는 것이 그 어떤 것 보다 강력하게 감동이 되기도 하는 것 같다. 이전에는 단기간의 회복을 목적으로 일상에서 벗어나 시간을 억지로 내어서 자연을 구경하는 시간들을 가졌다면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기점으로 자연은 일상이 되었다. 집 베란다 문을 열면 들리는 개구리 소리에 오래도록 귀를 내어두고, 비 오면 등장하는 느린 운무의 걸음을 찬찬히 따라가 보기도 하고, 빗방울에 쓸려 가는 작은 모래들과 먼지들, 떨어지는 비를 온몸으로 맞으며 수분 섭취 듬뿍하는 길거리의 나무들과 이파리들의 토독토독 흔들리는 그 움직임을 보는 것에 내 시간을 꽤 낸다. 제법 시원하게 그러나 잔잔하게 오래도록 바람 부는 아침이면 환기 잘 되도록 창문을 조금 열어두고 화분들 바람 듬뿍 맞을 상상 하며 출근하고, 할머니집 화분에 올라온 조그만 고양이 혓바닥만 하던 싹들은 어느 날 늠름하게 자라 넓은 잎이 되었고, 아빠가 심은 사과나무에 꽃이 떨어지고 이제는 호두만 한 크기의 열매가 맺혀서 사과의 모습을 갖추어 가고 있다. 자연은 시간을 굳이 내어서 짧고 굵게 보고 돌아오지 않아도 눈 돌리면 모든 게 자연이었다는 걸 새삼 느끼고 있다.




 자연은 저 길고 웅장하게 뻗어 있는 지리산만이 아니고, 반짝이는 윤슬이 가득 찬 섬진강만도 아니고 내가 살고 있는 삶 자체다. 그렇기 때문에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건 어떤 특정한 운동이나 움직임이 아니라 일상 그 자체라는 생각을 요즘 자주 한다.               

작가의 이전글 지하철에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