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크리스 Apr 29. 2023

전세계 열렬한 추종자들을 거느린 어느 메모법

제텔카스텐이란?

제텔카스텐?


제텔카스텐(ZettelKasten)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메모법이다. 전세계 각국 열렬한 추종자들을 거느리고 있다. 제텔카스텐은 독일어로 도서관이나 병원에서 사용하는 카드를 분류하고 정리하는 상자를 말한다.


제가 직접 만들고 있는 제텔카스텐 노트 목록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브런치 링크입니다.)

- 제텔카스텐 인덱스


이 메모법은 독일의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1927-1998) 교수가 만들었다. 20세기 사회 체계 이론의 가장 유명한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소개되는 인물이다. 주요 저작물로는 <사회의 사회(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1997)가 있다. 공무원이었던 루만은 뒤늦게 교수가 되었는데, 당시 독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 헬무트 셸스키의 말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는 루만이 보낸 논문을 보고 당시 신생 대학이던 빌레펠트 대학의 교수직을 권했다.


니콜라스 루만


문제는 당시의 루만이 박사 학위는 물론 사회학 관련 학위 자체가 없었다는 것. 그랬던 그가 불과 1년 만에 사회학 교수가 되기 위한 모든 자격을 획득하고, 1968년 빌레펠트 대학 교수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제텔카스텐 메모법에 있었다.


루만은 교수가 된 뒤 30여년 동안 연구비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70권이 넘는 책을 출판하고, 400여 개의 논문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순 계산해보면 1년에 책 2.5권, 130개의 논문을 쓴 셈이다. 사람들은 그가 어떻게 그렇게 높은 생산성과 다작 능력을 유지하는지 궁금해 했다. 루만은 늘 그 원천으로 제텔카스텐을 언급했다.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제텔카스텐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종류의 노트가 존재한다. 1) 임시 메모로 다른 일을 하던 중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메모하고, 2) 다른 문헌에서 찾은 영감을 주는 내용을 문헌 메모로 저장했다가 최종적으로 3) 영구 메모로 변환한다. 영구 메모는 이름대로 영구적으로 보관하면서 축적하고 개선해 나간다.


내가 이해한 제텔카스텐의 핵심은 부유하고 떠도는 생각의 조각(메모)들을 덩어리로 만들고(bottom-up), 메모와 메모를 서로 연결(hyperlink)시켜놓는 데 있다. 쉽게 말해 '개인 위키(wiki)'를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거대한 메모 상자를 사람들은 'Second Brain(두 번째 뇌)'이라고 부른다.


루만 교수의 신화적인 에피소드는 전세계 수많은 제텔카스텐 추종자들을 낳았다. 개발자들이 가장 사랑하는 메모앱 옵시디언(Obsidian)은 아예 'A second brain, for you, forever.'라는 문구를 대문 페이지에 걸어놓는다. 오늘날 제텔카스텐은 50년 전 루만 교수가 그랬듯, 커다란 나무 서랍을 직접 제작해 손으로 쓴 메모지를 차곡차곡 정리하는 독실한 원리주의자부터 IT기술을 이용해 자기만의 방식으로 루만 룰을 재해석하는 불경한 혁신주의자까지 여러 손을 거쳐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옵시디언으로 메모를 한 지 1년가량. 결과적으로 루만 교수의 그것과는 양이 조금 달라졌지만, 메모법에 대해 개인적으로 깨달은 바가 적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일상에 스치는 '영감'들을 하나둘 기록하려 한다.


창의성이란 생각을 연결하는 것에 불과하다.

updated : 2023-04-29


관련문서(브런치 링크)

- 제텔카스텐 인덱스

- 제텔카스텐&글쓰기 인덱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