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가족이란 무엇일까. 이혼이란 무엇일까. 결혼 후 두 번째 설날에는 우리집 근처에서 외식 후 집에서 과일, 과자, 케이크, 커피와 차를 먹고 마시는 다과회를 가졌다. ‘이렇게 집에서 명절 분위기 내보는 거 무척 오랜만이에요. 정말 좋다.’ 남편의 여동생과 사촌동생들은 들떠 보였다. 시가 어른들께서도 편안해 보이셨다. 뿌듯했고 지난해 고집을 부려 마찰을 빚었던 일이 미안했다. 남편이 바랐던 지향점이 무엇인지 알 것 같았다.
난 이혼 가정에 아무런 편견이 없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배우자 부모의 이혼 사실은 결혼을 결정할 때 전혀 고려 사항이 아니었다. 예상 밖으로 기성세대인 엄마 생각은 달랐지만. 나는 잠시 실망했고 엄마는 이내 설득됐다. 그런데 간과한 점이 있었다. 부모 이혼으로 자식인 남편이 겪었을 고통과 상처를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오래전에 벌어졌던 일이고 그는 성인으로서 독립해서 살고 있었기 때문에 괜찮은 줄 알았다. 하지만 부모 이혼은 그의 인생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애증관계인 1인 가구 아버지는 좋든 싫든 그에게는 안고 가야 할 존재였다. 심지어 결혼 후 그가 꾸린 가정의 핵심인 아내(나)와 관계에도 영향을 미처 지난한 갈등을 겪었다. 저간의 사정을 이해한 뒤로 나는 그가 되도록 곤란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도 내가 자신의 아버지와 친분 관계를 형성하리라는 기대를 버렸다. 힘겨운 시간을 거쳐 나름 절충안과 평화선이 생겼다.
원래부터 없던 가족은 티가 나지 않는다. 역할이나 존재를 모르는 채로 살아간다. 하지만 이민, 이혼, 사별 등으로 있던 가족이 사라졌을 때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가 펼쳐진다. 빈자리가 너무 크게 느껴진다. 회사에서 퇴사자의 빈자리는 금세 신규 입사자가 메꾼다.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퇴사자는 며칠만 지나도 머릿속에서 지워진다. 이내 새로운 관건은 신규 입사자가 얼마나 일을 잘하고 협조적인가이다. 그런데 가족은 다르다. 사라진 가족의 역할을 다른 가족들이 나눠서 짐을 짊어진다고 해도 그/그녀의 빈자리는 잘 메꿔지지 않는다. 발버둥 칠수록 오히려 구덩이가 더 커질 뿐이다. 돌이킬 수 없는 행복한 순간이 떠올라 아프다. 불행을 초래한 세상, 사건, 사람을 미워하는 마음은 커져간다. 사라진 가족이 알게 모르게 각 가족들과 맺었던 관계가 싹둑 끊어져버렸기 때문이다. 그 관계를 회복하려면 모순적이게도 사라진 가족이 다시 가족으로 돌아와야 한다. 그런데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에게 닥친 갈등 상황에서는 남편에게 어머니이자 내게는 시어머니가 그런 소중한 존재였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각 가족 구성원에게 주어진 역할이 있다. 어떤 이유로든 제 역할을 치명적으로 제대로 수행을 하지 못했을 때 가족 전체에게 미치는 악영향의 파급력을 생각하곤 한다. 내가 어렸을 때 우리 가족은 아버지가 약주가 과해서 자주 분란이 일어났다. 거의 15~20년 전 일인데도 나와 특히 여동생에게는 강한 트라우마로 남아서 아직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있다. 어린 시절 한번 무너져 내린 마음은 슬프게도 상처 회복이 더딘 것 같다. 마찬가지로 경제적 이유로 부모가 불화하고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가정이 깨져버린 상황을 경험을 한 배우자 마음 깊은 곳에 아직 웅크려 앉아 있을 어린아이를 어루만져주고 싶다. 우리는 평소 잘 인지하지는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것이 부부, 가족, 이웃, 친구관계이자 공동체이고 인생인 것 같다.
결혼을 했기에 내 인생에 이혼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직장인은 사직서를 품고 견디고 기혼자는 언제든 벌어질 수 있는 이혼을 염두하고 살아간다. 나는 그렇다. 차이점이라면 직장인은 언젠가 멋지게 사직서를 던질 날을 꿈꾼다. 기혼자로서 언젠가 이혼을 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반대로 이혼을 경계하고자 가슴에 품고 살아간다. 남편의 가족과 그들이 겪었을 상처를 알게 된 후 이 생각은 더 강해졌다. 언젠가 찾아올 끝을 생각할 때마다 순간이 더없이 소중해진다. 행복하자 우리, 행복하자 우리, 아프지 말고~ 아프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