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울시NPO지원센터 Jul 15. 2022

✍147화 ♥ "노인자조모임 모델 구축"

[복지] 노인자조모임이 드러낸 함께함의 위력과 잠재력



좋아하는 일을 하는데
나이가 왜 문제가 되죠?





Q: 노인자조모임 대해 알고 있나요? 

노인자조모임 누가 어떤 계기로 시작하게 되었을까.


* 노인의 잠재력 : '노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힘없고 무기력하며 도움이 필요한 이미지가 연상되지는 않나요? 우리 뇌리 속에 콱 박혀 있는 이런 모습과는 달리, 베트남에서는 어르신들이 자신들이 당면한 문제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가능하게끔 한 데에는 '노인자조모임'이 있었어요. 


베트남에 노인자조모임이 생겨날 수 있었던 데에는 한국헬프에이지의 역할이 컸어요. 2003년 10월부터 한-아세안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의 홈케어 모델을 베트남에 전수하는 사업을 실시했거든요. 베트남 정부의 열악한 노인복지 정책으로 인해 베트남의 빈곤노인들이 기초생계유지와 건강문제에 있어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목격한 한국헬프에이지는 노인들의 소득증대 및 보건위생향상을 위한 사업을 구상하게 됐어요. 



Q: 노인자조모임 모델 구축 어떻게 전개되었을까요? 

✍ 모든 변화에는 더 나은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했던 이들의 품이 있다.


* 그들 스스로가 잘 해낼 수 있다는 믿음 노인자조모임은 노인들 스스로 자치공동체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것을 뜻해요. 한국헬프에이지는 2007년 5월 베트남 현장방문에서 노인 중심의 자조모임 구성을 통한 소득증대사업의 활성화와 보건위생서비스 증진의 필요성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이렇게 구축된 노인자조모임 모델은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발전에 목적을 두고 노인에 대한 보호와 참여를 동시에 이끌어내는 혁신적인 지역기반 모델 사례로 성장했어요. 2016년 8월에는 베트남 총리가 2020년까지 노인자조모임 3,200개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정부정책을 승인하기에 이르렀죠. 


* 이후 어떻게 운동이 펼쳐졌을까: 2020년 7월 29일, 유엔경제사회이사국은 베트남의 노인자조모임 모델을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우수 이행사례로 선정하는 한 편, 이틀 뒤인 7월 31일에는 일본 정부의 아시아 건강 및 웰빙 이니셔티브(AHWIN)가 후원하고 아세안 및 동아시아 경제 연구소(ERIA)와 일본국제교류센터(JCIE)가 주관한 제 1회 아시아의 혁신을 위한 건강하게 나이들기 우수사례 공모(Healthy Aging Prize for Asian Innovation)의 지역 기반 이니셔티브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Q: 그래서, 이 과정은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 이 운동은 어떤 변화를 만들어왔을까.


* 함께함의 위력  노인자조모임은 회원의 70% 이상이 노인, 여성, 취약계층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에요. 또한 1개 모임 당 약 5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는데, 집행부를 선출하여 모임을 운영 및 관리합니다. 총 8가지 활동이 수행되는데, 시중은행 대출 서비스에 접근이 어려운 빈곤 노인에게 무담보 저리 소액대출을 제공하거나 사업계획수립부터 실제 소득창출까지 돕는 소득증대활동, 어르신들의 체중과 혈압을 매월 체크하고 이동식 건강검진을 실시하여 필요 시 무료로 약품을 공급하는 건강증진활동 등이 대표적입니다. 노인들이 서비스를 받는 대상이기만 한 것은 아니에요. 모임 내에서 봉사자들을 선발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집을 방문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직접 연극 및 춤 등을 공연하는 문화공연 활동 등을 하기도 해요. 이렇게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삶의 활력과 자신감을 되찾는다고 합니다. 



✋ 잠깐, 노인자조모임 모델에 당신의 관심 한 줌이 필요해요.

함께 관심을 기울이고 변화를 만들어가야하는 과정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 함께 바꿔 나가야 할 것들 
: 베트남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요. 또 많은 젊은이들이 진학과 취업의 이유로 도시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농촌에는 주로 노인과 아이만 남게 될 거에요. 왠지 한국의 모습과 비슷해보이지 않나요? 고령화 사회를 맞이할 적절한 준비와 대응이 없다면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경제성장 둔화 현상, 노인 부양에 따른 청장년층의 재정 부담 증가, 노인 빈곤 및 소외 문제, 도농간 경제적 격차 심화 현상에 직면하게 될 거에요. 먼 미래의 문제라고 제쳐 둘 수는 없는 일입니다. 



⌛ 끝은 또 다른 시작

평소 가난과 질병으로 소외되어 있었던 지역의 어르신들이 모임을 조직하면서 소속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사회활동의 참여기회가 제공되어 외로움을 덜 느끼게 되었다고 해요. 대부분의 회원들은 모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자신감을 마탐으로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싶어했다고 합니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노인의 자율적인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측면에서의 접근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어요. 


앞으로 우리 함께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보아요!

그럼 다시 또 만나요! 안녕!




※ 위 내용은 서울시NPO지원센터 변화사례 아카이브 내용을 축약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해당 글 더 자세히 보러 가기)

※ 2017년부터 모아 온 변화사례 리스트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세상을 바꾼 변화사례 아카이브 보러가기)

※ 인스타그램에서도 더 다양한 변화사레 리스트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변화사례 아카이브 인스타그램 보러 가기)

작가의 이전글 ✍146♥ "성인지 예산·결산 제도화 운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