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에 K과장이 있었다. 소아마비로 목발을 짚고 다녔지만 업무에 대한 자신감이 넘쳤다. 어울려 가끔 술도 한잔 나누며 지냈는데 술에 얼큰하게 취한 어느 날 그가 어머니 이야기를 해주었다.
언제가 어머니가 새끼발가락을 다쳤단다. 한동안 새끼발가락에 보호대를 붙이고 지내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어머니가 탁자에 다친 새끼발가락을 또 부딪혔다. 성한 발끝도 부딪히면 얼마나 아픈가, 눈물이 찔끔 나오지 않던가. 얼마나 아팠는지 어머니가 눈물을 흘렸다. 한참을 운 어머니는 K에게 이렇게 말했다.
“난 이 발가락 하나 다쳐도 이렇게 불편한데, 넌 평생 두 다리가 불편해 얼마나 힘들었니..”
호주에 살고 있는 에마의 어머니도 딸의 삶을 걱정했다. 특히 부모인 자기들이 죽고 난 후 에마가 어떻게 살아갈지가 더 큰 걱정이었다. 스물한 살의 에마는 네 가지의 장애가 있었다. 다운증후군, 자폐증, 청력손실 그리고 구개열까지. 에마는 글조차 읽지 못한다.
어머니는 에마의 그런 모습에서 가능성을 찾아냈다. 어머니는 여러 기관에 편지를 보내 에마를 ‘비밀문서 파기자’로 채용해 줄 것을 제안했다. 에마가 글을 모르니 비밀이 샐 염려가 없다고 설득한 한 것이다. 언뜻 황당한 이 제안에 뜻밖에도 여러 회사들이 호응해 주었다.
그 회사들이 그저 보안 때문에 어머니의 제안을 수용한 것은 아닐 것이다. 어머니의 간절한 마음을 읽고 화답하여 기꺼이 계약을 맺었을 것이다. 그 마음 너무나 고맙고 아름답다.
요즘 부모들은 자녀들의 교육, 대입, 취업, 결혼까지 신경 쓰느라 고난의 삶을 살고 있다고 자조한다. 하지만 그것은 살아서의 걱정이고 근심이다. 죽음은 모든 것과의 이별이다. 죽음에 임해서도 놓지 못하는 것이 자식에 대한 걱정일 것이다.
몸과 마음에 장애가 있는 경우 가장 힘든 것은 본인일 것이다. 하지만 평생 그 모습을 지켜보고 또한 언젠가는 자식 혼자 남겨두고 가야 하는 부모 마음은 더욱 쓰리다.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그것이다. 돌봐줄 이 없는 이 험한 세상에 아이 홀로 남겨두고 떠나야 함은 이 세상 어떤 미련보다 크고 아프다.
(15.10.18, 2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