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소희 Nov 18. 2016

다울정과 한국인의 저력

햇살이 서편으로 넘어갈 준비를 하고 있던 오후, 나는 노만디 애버뉴에 차를 세웠다. 다울정에 가기 위해서다. 한국에서야 흔하디 흔한 게 정자겠지만. 미국 땅덩이 한 귀퉁이를 차지하고 있는 단청색의 다울정은 분명 특별한 상징물이다.  

특별하지만, 그렇다고 구태여 일부러 찾을 것까진 없다고 여겼던 다울정을 방문했다.

허탈함 때문에 나도 모르게 발길이 닿은 다울정. 올림픽 가를 지날 때마다 힐끔거리기만 할 뿐이었다. 아마 홀대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그래서 미안했다. 한국인이라는 명찰을 달고 있는 나는 한국을 위해 별로 한 일이 없는 것같아서. 아니, 한국을 위한다고 한들 내가 무슨 일을 할 수가 있겠는가. 그런 핑계를 대며 거들떠보지 않았다는 게 솔직한 고백일 것이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허술해도 이렇게 허술할 수가 있나.'

청와대의 몰락은 다음 편을 기다리게 만드는 드라마처럼 막장의 3종 세트를 골고루 갖춘 엉터리 같은 세상의 완결편이었다. 노인들에게 한 달에 20만 원씩 준다는 말에 박근혜를 찍었다던 친정엄마까지 원망스러웠다.  

판단력 없는 노인들에게 20만 원이라는 미끼를 던져주고는 박근혜 정부는 재단을 세워 고래의 숨구멍처럼 돈을 빨아들였던 것이다. 눈먼 돈이라는 게 맞는 말같다. 돈에 눈이 달렸다면 형편없는 위인의 손바닥에서 놀아나진 않았을 텐데.  올림픽 가에 다울정이 세워졌어도 눈길 한 번 주지 않던 그 사이에. 그까짓 게 있으면 있었지, 나하고 뭔 상관이냐고 홀대하던 그 사이에. 내가 신경을 끊고 나 몰라라 했던 그 만큼의 크기로 한국정부는 부패해갔다.

그 모든 부정부패가 내 탓인 것만 같았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다울정을 찾아야 할 것 같았다. LA시에서 허가를 내준 한국 건축물이 제대로 잘 꾸며졌는지. 직접 찾아와서 둘러보는 게 도리인 것같아 시간을 냈다.

정자 안에는 어르신 한 분이 앉아있었다. 정원 주변을 둘러보았다. 앞마당이라고 해도 될 만큼 자그마한 공간에 사람을 기다리는 의자가 몇 개 놓여있었다. 두 개의 돌하르방 앙증맞다. 한 켠에 청소 도구가 있는 걸 보니 정원이 정갈한 이유를 알 것같다.

이상한 일이다. 힘은 거창한데서 솟아나는 게 아닌 모양이다. 사람들에게 환대받지 못하는 듯 보이는 다울정이 버틸 수 있는 힘을 보았다. 정원 한 가운데 세워진 기다란 석판. 그 석판에는 다울정 건립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이름들이 새겨져 있었다.

대통령이 흔들리면 나라가 위태롭다고 호들갑이지만 웃기는 소리다. 한국인은 저력이 있는 민족이다. 멘붕 상태라고 해도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겼던 100년 전 그때만 하겠는가. 비록 제대로 준비된 지도자를 만나진 못 했어도 곧 이 절망을 추스르고 일어설 것이다.

다울정을 나서는 발걸음이 가벼웠던 건 두 개의 앙증맞은 돌하르방 때문만은 아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욕망도 철이 든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