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누런콩 Dec 09. 2024

사랑을 글로 배운 여자

소설 『마담 보바리』에서 엠마는 사랑을 ‘글로 배운’ 여자다. 의사 남편 샤를르와 단숨에 사랑에 빠진다. 샤를르와의 만남은 운명적인 게 아니었는데도 그녀는 소설 속 주인공에게 자신을 투영한다. 엠마는 곧 결혼 생활에 권태를 느낀다. 대학생이던 로돌프가 그런 그녀를 꼬여낸다. 엠마를 바보 같은 여자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무슨 상관이랴. 로돌프가 떠나고 만나는 레옹 역시 괜찮은 남자는 아니다. 시골 촌뜨기라면 쉽게 유혹할 수 있겠다고 생각하고선 엠마에게 접근한다. 엠마는 로돌프와 레옹에게서 글에서나 봤을 법한 어떤 면모를 끄집어내려고 한다. 그녀에게는 모든 순간이 극적이어야 한다. 그럴 수 있을 리 있나. 어딘가 나사 하나 빠진 것 같은 엠마에게서 두 남자 모두 도망간다. 재정적으로도 궁지에 몰리게 된 엠마는 결국 비소를 집어삼킨다.

 

한 여자의 비극적 사랑놀음으로도 볼 수 있는 이 소설이 나에겐 공포로 다가왔다. 엠마에게서 나와 비슷한 습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매체를 통해 사랑을 배우는 점이나 앞뒤 안 가리고 좀 괜찮아 보인다 싶으면 홀라당 넘어가 버리는 점에서 그랬다. 나는 제대로 된 연애 한 번 해본 적 없다. 사랑의 감정을 넘겨짚고 비현실적 연애를 상상하며 꿈꾼다. 이대로 가다간 누가 나에게 조금만 다가와도 물불 안 가리고 달려들게 될 것이다. 며칠 전 티브이에서 배우 이세영이 김광석의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을 들으며 짝사랑을 단념했다고 하는 것을 들었다. 그 이후로 어쩐지 그 노래를 자꾸 생각하게 된다.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고 뇌까리면서 괜히 마음을 다친다. 『마담 보바리』는 두 번을 천천히 읽었다. 결말을 알면서도 속으로 계속 ‘정신 차려 이 여자야!’라고 외쳤다.

 

가끔은 고백이 하고 싶어진다. 밥을 먹다가, 일을 하다가 문득 “근데 저 선배 좋아해요”라고 말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그러다가도 자존심이 상해버린다. 나에게 아무런 관심조차 없는 사람을 이렇게나 열렬히 좋아하다니. 나는 왔다리 갔다리 혼자서 줄다리기를 해댄다. 어느 날은 말을 붙여와도 못 들은 체한다. 시큰둥하게 반응한다. 마음이 변하는 날이면 대답도 없는 사람에게 질문 폭격을 한다. 이렇게 말하니 무슨 양극성 장애가 있는 사람 같기도 한데……. 그래도 일관적인 건 내가 질척거린다는 사실이다. 정신 차려 이 여자야! 어쩌면 그건 나 자신을 향한 말이다.

 

명동 성당엘 가야 한다. 아끼는 옷을 꺼내 입고 곱게 화장도 해서 청년 미사에 참여해야 한다. 이 교착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선 새로운 사람들과 만날 필요가 있다. 며칠 전 연락이 끊겼던 친구를 다시 만나게 되면서 내 대운이 바뀌고 있다는 걸 느꼈다. 천주교인이 이렇게 말하는 건 좀 이상하지만, 원숭이띠 날삼재가 올해로 끝난다고 한다. 교통사고도 두 번이나 났던 한 해였다. 내년엔 즐겁고 새로운 일들이 가득하면 좋겠다.

 

사랑을 글로 배우면 좀 어떤가. 어차피 비소는 구할 수도 없다. (내가 쉽게 죽을 일은 없으니 행여나 염려 말길.) 『마담 보바리』는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19세기에 만연한 낭만주의를 비판하면서 쓴 사실주의 소설이라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있었던 불륜 사건을 취재해 글로 녹여낸 것이라고 한다. 대학교 4학년 때 들은 교양 수업에서 이 소설의 존재를 처음 알았다. 신문 기사의 헤드라인headline은 간결하게 팩트fact만 나열하지만 소설은 그 이면을 보게 한다고 했다. 타인의 삶을 판단하는 것을 유보하게 하는 게 소설이 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문학사조나 이론에 대해선 잘 모른다. 그래서 책도 내 마음대로 읽었다. 엠마는 샤를르를, 로돌프나 레옹을 사랑했을까? 아닌 것 같다. 엠마가 사랑한 건 ‘사랑’이라는 행위 그 자체가 아닌가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