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대 Sep 30. 2015

우린 왜 항상 이렇게 서로에게 잔인할까

차라리 얼굴에 대고 날려줘 오래도록 기억하게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는 것은 공정한가?


오는 말이 곱지 않아도 가는 말을 곱게 하는 것이,
오는 말은 고운데 가는 말이 싹퉁바가지 없는  것보다 더 익숙한 사람은 손해 보는 셈인가.


이미 조건이 하나 걸려있는 대화에서 내가 먼저 몽슈슈 같은 부드러움을 던지기란 쉽지 않지.

떠다니는 말들을 섞어서 내뱉을 때의 원천은 마음.
좋은 마음에서 몽글한 언어가 터지듯이,
좋지 않은 마음에서는 난폭함이 솟구친다.


상대를 마음으로 한 번 똥통에 흔들었다 꺼낸 후에 말로는  ‘힘내’라고 이야기 한 들,
인스턴트 같이 불완전한 뜻이 온전히 전해질까.

스스로 추켜세워지길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서로를  높여주자’라고 떠들어 댄 들,
힘없이 비실한 동태 눈 같이 비릿 흐릿한 언어는 닿기도 전에 흩어진다.


누군가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특히 말이 주는 감동.
근데 어찌된 것이 보이지 않는 난폭을 휘두르는 것은 허술할 만큼 어설프고 쉽다.


때로는 보이는 난폭함보다
보이지 않는 난폭함에 시달려 아플 때가 많다. 


차라리 상대의 눈을 보고 당하면 억울하지나 않지.

delete로 지워지는 문자메시지라면 더더욱 김이 샌다.

비 맞은 운동화 안 말리고 다시 신은 기분.



/오늘 제목의 음악 : 안녕(브로콜리 너마저)/


감동을 나눠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