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mewon Jan 21. 2024

탈압박은 앞으로 모든 분야에서 중요해질 겁니다!

강인한 이강인

1. 축구에 대해 잘 모르지만, 이강인 선수의 특장점 중 하나가 ‘탈압박 능력'이라고 한다.


2. ‘탈압박(press resistant)’이란, 최전방에서부터 압박이 시작되는 현대 축구에서 상대의 거센 압박을 부드럽게 벗어나며 공을 계속 잘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3.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강인 선수의 탈압박 능력은 이미 세계적 수준이라고.


4. 그렇게 이강인 선수의 탈압박 모습을 보면서, 문득.. 축구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점점 탈압박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5. 빠른 속도로 쏟아지는 정보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세상의 압박 속에서, 멘탈을 잘 유지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건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해질 테니까.


6. 특히 요즘 스타트업 쪽 사람들을 만나면, 위축된 투자 시장, 아이템 문제, 구성원 문제 등등 여러 어려움과 힘듦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동안 잘 될 거라고, 화이팅하자는 말 정도를 했으나,


7. 어쩌면 지금부터는 여러 압박 속에서도, 사업과 고객을 잘 유지(retention)하면서 탈압박을 해내는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한 시기일 수 있다.


8. 그래서 어떻게 하면, 사업적으로 탈압박을 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봤는데, 아직은 잘 모르지만, 그럼에도 한 가지 자명한 것이 있더라. 그건 바로, 가만히 있어선 절대 압박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


9. 상대 혹은 세상이 거칠게 밀고 들어오는데, 가만히 서서 자신의 공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때로는 몸싸움을 하고, 때로는 빈 공간으로 치고 나가고, 때로는 상대의 빈틈을 노려 돌파하는 등 끊임없이 움직여야 압박에서 벗어나서 공을 지킬 수 있지 않을까?


10. 그렇게 압박에서 벗어나려면, 압박감에 짓눌려 가만히 있는 게 아니라, 유연해야 생각하고, 공을 받기 전부터 주변 상황을 살피는 등 시야를 넓히며, 상대와의 몸싸움에도 밀리지 않을 체력과 힘을 길러야 하는 게 아닐까?


11. 동시에 공을 유지하는 수준급의 볼 키핑 능력도 갖춰야 할 것 같고, 치고 나가는 순간 속도도 빨라야 할 것 같고.


12. 또한, 압박을 피한다는 이유로, 너무 정신없이 움직이는 것도 분명 경계해야 할 것 같고. 절제된 움직임이 중요할 것 같달까?


13. 그리고 축구나 사업뿐 아니라, 어쩌면 앞으로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탈압박 능력을 갖추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해질지 모른다. 세상의 압박 따위 없는 태평성대 같은 시기가 온다면야 너무나 좋겠지만, 지금까지 오지 않았던 그게 앞으로 올 것이라고 기대하며 살 수는 없으니까.


14. 그리고 탈압박 능력을 키우려면, 가장 먼저 지금 자신을 둘러싼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이런저런 시도와 경험을 해보는 게 중요할 것 같고.


15. 뿐만 아니라, ‘잘 산다’거나 ‘성공한다’거나 ‘성장한다’는 말보다, ‘탈압박 능력이 뛰어나다'는 말이 좀 더 구체적이고 역동적이며 에너제틱한 느낌쓰.


16. 그런 의미에서 미친 소리 같지만, 월천이나 경제적 자유가 자신의 목표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준수한 탈압박 능력을 갖춘 사람이 되겠어"라는 것이 조금 오글거리긴 하지만 훨씬 더 도도한 것 같다리. 무튼 나 화이팅!!


썸원 레터 구독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50103


작가의 이전글 정우성, 오타니, 그리고 거인의 어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