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장 소동과 슈뢰딩거의 구전설화
연하장 소동과 슈뢰딩거의 구전설화
주는 사람 손이 좀 부끄러워서 그렇지, 받는 사람은 좋아한다?
나의 친애하는 빌런, 상사 B가 이렇게 말했을 때 B는 직원들에게 회사 대표를 위한 연하장을 쓸 것을 강요하는 중이었다. 나는 저 말을 듣고 속으로 감탄했다. ‘오, 이것이야말로 아부의 본질 아닌가’
주는 사람은 민망함에 눈 딱 감고 줘야 하는 것, 그런데 받은 사람은 알면서도 결국 다 좋아하는 것. 나는 B의 말이 정말 아부의 본질을 꿰뚫는 문장이라고 생각했다. 아부쟁이가 내뱉은, 아부에 대한 아주 적확한 정의.
B가 연하장 쓰기를 시킨 건 약 1년 전 이맘때였다. 우리는 그의 강요로 롤링 페이퍼처럼 대표에게 보내는 새해 덕담 몇 마디씩을 돌려 적고 있었다. 그는 먼저 "대표님! 사랑합니다!!!" 같은 말을 맨 위에 써놓고는 직원들에게 카드를 넘겼다. 자신의 훌륭한 아이디어에 몹시 흥분한 그가 한 사람에게서 다음 사람으로 카드가 넘어갈 때마다 성마르고 집요하게 물어댔다. “뭐라고 썼어? ‘사랑합니다’ 썼어?” (아니 도대체 우리가 왜 회사 대표를 사랑해야 하는가? 회사의 상사라는 건 그나마 총으로 안 쏘면 다행인 것을….)
결국 B가 원한 그 말은 아무도 쓰지 않았고, 결과물을 확인한 B는 우리가 아부 프로젝트에 형식적으로 참여했다는 이유로 마지막 순간 푸슈슉 김이 새어버렸다. 연하장을 직접 들고 대표실로 쳐들어갈 기세였던 B는 급격히 흥미를 잃었고, 다른 직원에게 시켜 연하장을 대표실에 보내며 소동은 끝이 났다.
우리 회사가 원래 이런 문화가 있는 조직이었는가 하면 그런 것도 아니다. 예전에도 대표에게 이딴 걸 보낸 적이 있는지 선배들에게 물어보았지만 모두 처음 있는 일이라고 했다. 이런 아무도 안 하는 이상한 짓을 하며 딸랑딸랑 소리를 바삐 내는 B는, 그런 면에선 이 조직에 없던 별종이었다. 하지만 완전히 외계인적 존재가 나타났다고 하기엔, ‘윗선’에서 시키기만 하면 열일 제쳐두고 당장 대령하고 마는 이들이 이미 많았으므로 B의 출현은 그저 업그레이드 버전의 등장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아무튼 연하장 배달을 한 선배 말에 따르면 대표는 그 자리에서 카드를 열어봤지만 제대로 읽지도 않았다는 후문인데, 관심도 없어서였는지 부끄러워서였는지 형식적인 인사라고 생각해서였는지 알 수 없었다.
잠깐 다른 얘길 하겠다. 최근 나는 회사에서는 누가 전달하는 내용이든 내가 직접 보거나 들은 것이 아니면 아무것도 믿지 않게 되었다. 이런 상태가 되기까지 난 너무나 많은 말들을 믿었고, 속았기 때문이다. 아느냐? 지친 3년 차 직장인에게 남은 건 인간에 대한 뼛속 깊은 불신뿐이다. 속은 경우는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상대방이 날 속일 의도를 가지고 날 속였거나, 상대방이 날 속일 의도가 없이 날 속였거나.
속일 의도를 가지고 속인 경우는 고의성이 30%쯤 있었거나 80%쯤 있었거나 차이는 있지만 어쨌든 자신이 원하는 대로 나를 움직이기 위해 사실을 과대/과소 포장해 거짓말을 하는 경우다. (그 일이 쉽다는 둥… 금방 끝난다는 둥…)
속일 의도 없이 속인 경우는 상대방도 뭔가를 잘못 알았거나, 잘못 이해했거나, 잘못 추론하여 내게 전달한 경우다. 의도는 없었지만 결과적으론 속인 결과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어떤 중간관리자가, 최고관리자의 언어를 잘못 이해하고 실무자(=나)에게 전달했다고 해보자. 오해된 내용을 전달받은 실무자는 엉뚱한 헛수고를 하게 된다!
두 가지는 고의성 유무에 차이가 있지만 공통점이 있다. 둘 다 계속 당하다 보면 따로 눈치채게 되는 것이 있는데… 발화자의 욕망이다. 흔히 심리학자들은 '말실수에도 무의식이 반영된다'라고 하던데, 무언가를 '오해'하는 상황에도 무의식이 반영된다고, 나는 믿는다. 누군가 '잘못' 전달한 말에는 그가 이 주제에 대해서 어떤 생각과 바람을 가지고 있는지가 은연중에 담긴다. 그래서 의도된 '거짓말'과 의도되지 않은 '오해'는, 전달자의 본심이라는 일말의 진실을 함께 포함한다.
특히 누가 1을 말하는데 내 동료나 상사가 2로 오해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사실 그가 1보다 2를 바라고 있을 확률이 크다. 무의식적이어서 본인도 모를 수는 있지만.
슬프게도 내 주변에 그런 이가 있다. 분명 난 1이라고 말했는데 그다음에 대화하다 보면 혼자 2로 알아들었다. 난 사실을 정정해준다. 그리고 그다음에 또 2로 잘못 기억 중인 그를 만난다. (나한테 왜 그래.)
구전설화가 괜히 수십 개의 버전으로 존재하겠는가? 나는 이제 누군가의 말을, 특히 내가 확인하지 못한 것에 대해 누군가 ‘전해주는' 말을 사내 구전설화쯤으로 받아들이는 중이다. 내가 너의 말을 듣고는 있지만 이것은 사실일 수도 있고 사실이 아닐 수도 있음. 이것이 사실로 확정되는 순간까지는 사실이면서 동시에 사실이 아닌 상태다. 이게 무슨 슈뢰딩거의 뉴스란 말인가? 그나마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단 한 가지. 지금 이 설화를 전달하는 당신의 욕망뿐.
다시 아부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나는 1년 전, B의 명대사를 듣고 그것이야말로 아부의 본질이라고 생각했다. 그 후 1년이 지났다. 나는 회사에서 듣는 말들은 결국 말하는 자의 욕망을 발설하는 것 외엔 아무것도 담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나는 B가 내려준 아부의 정의도 조금은 새롭게 바라보게 되었다.
"주는 사람 손이 좀 부끄러워서 그렇지, 받는 사람은 좋아한다?"
B는 남들의 행동양식에 대해 말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은 자기 자신의 사고방식에 대해서만 말했을 뿐이다. 그러니 저 대사는 ‘아부의 본질’을 꿰뚫는 것이 아니라, ‘B의 본질’을 꿰뚫는다.
아부는 모두에게 다 먹히는 전략이다'라는 B의 생각은 아부가 모두에게 먹히길 바라는 B의 소망을 반영할 뿐이다. 더 나아가 누군가 자신에게 아부해주는 것을 좋아하는 B의 취향도 반영한다. B의 명대사는 결국 B가 어떤 사람인지를 발설하고 만다.
정말 모든 인간이 아부를 좋아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한 B의 전제에 어느 정도는 동의하면서도 완전히 동의하고 싶지 않다. 아무튼 흔치는 않아도 어딘가엔 있는 거 아닐까, 아부를 혐오하는 사람이 이 지구에 몇 명 정도는? 한두 명이라도? (이것은 나의 욕망이겠지.)
난 그러니 '사람은 아부를 받으면 결국 다 좋아한다'는 명제를, 사실이 관측되기 전까지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이라고 우겨본다. 이것은 슈뢰딩거의 아부다. 그렇다고 굳이 다 확인해서 사실을 확정 짓지는 말자. 모두에게 아부를 뿌려서 굳이 결과를 확인하지 말고 우리 모두의 아부는 상자 속에 넣어두자. 그냥 지구 어딘가엔 아부를 극혐 하는 누군가가 살고 있다고 믿고 싶다. 나에겐 희망이 필요해.
요는 이것이다. 당신의 아부는 거꾸로 이 한 가지만을 말해줍니다. 당신이 아부의 효용을 굉장히 높게 평가한다는 것을. 당신은 누가 아부를 해주면 겁나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제발 당신의 아부는 혼자 알아서 해결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