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thaul Jun 15. 2017

하루

좋은 계산, 빗나간 영화

타임루프물이 다양하게 나와도 어느 정도 기본적인 루트가 있다. 문제가 발생하고 그걸 주인공이 자각하기까지는 여러 번의 하루가 반복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식이다. 


<하루>는 그런 타임루프의 전형을 벗어나는 것에서 성공했다. 그러나 그게 좋은 결과였느냐고 물으면 '시도는 좋았다'에 가깝다. 잘 계산된 영화의 설계와 달리 공감되지 않는 감정선이 있기 때문이다.


<하루>의 핵심은 90분이란 시간보다 훨씬 풍부한 사건이다. 그래서 초반부에 준영(김명민)은 인정이 많지만 논리적인 의사답게 아주 빠른 시간 내에 타임루프임을 알아차리고 고군분투한다. 

이 과정은 분명 영화의 핵심 사건을 빨리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템포가 당겨졌을 것이다. 그러나 관객들의 입장에서 준영은 정말 정해진대로 움직이는, 혹은 너무나도 비범한 인물로 비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식으로 <하루>는 무척 빠듯하게 사건을 전개해 나간다. 타임루프 영화가 가지는 단점을 타파하기 위해 전략적인 선택인 걸 생각하면 영리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감정적인 부분에 오면, 그동안 놓쳤던 연출력의 부재가 크게 느껴진다.


사실 <하루>는 그 나름의 매력이 있긴 하다. 영화의 사건이 주제를 기반으로 짜였다는 것도, 그리고 처음으로 강식(유재명)이 소개되는 순간의 감정적인 요소도 정말 흥미롭다.

강식의 첫 등장은 이 영화가 만든 가장 묘한 장면이다


하지만 딱 그 정도의 장점이다. 색다른 게 늘 좋은 건 아니고, 논리적인 게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 말이 없어서 아름다웠던 강식의 등장을 생각하면 이 영화가 후반에 '대사를 쏟아내는' 순간은 당황스럽기 그지없다.


 또 이런 극적인 사건 이전에 선행하는, 일상을 그리는 파트가 지독히 상투적인 것도 아쉽다. 거기에 사용된 BGM의 과용은 심각한 정도고.


<하루>는 SF적인 상상력을 벗어난 타임루프 영화를 성립시켰다. 그 지점만큼은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그만큼 그 빈자리를 메웠어야 할 감정이, 그저 공허하게 흘러간다는 건 스스로의 장점조차 깎아먹었다. 영리한 전략이 보이기에 아쉬울 따름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악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