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thaul Aug 16. 2016

터널

안식처가 없는 이들을 기리는 하나의 은유

거대한 정치적 우화이거나 한 개인의 삶에 대한 관점이거나. <터널>이 취하고 싶었을 모양새는 이러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터널>은 ‘희비극’이란 어려운 작품 톤을 택한 만큼 완벽한 형태를 갖추지는 못했다. 다만, 그러했을 것이다 추측할 수 있을 정도로만 완성됐다.


<터널>은 여러모로 다시 되짚어볼 만한 구석이 많다. 처음 오프닝부터 마지막까지 이 영화 곳곳에 숨겨진 복선이나 미장센이 다양한 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다시 되짚어볼 정도는 돼도 다시 볼 마음은 안 든다는 점이다. <터널>은 좋게 말하면 장르의 이종 교배, 특히 코미디와 재난극의 변종으로는 탁월한 편이다. 하지만 역으로 말하면 그 둘 중 짙은 인상을 남기는 건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위기가 계속되고 그 과정이 꽤 능숙하게 구성돼 시종일관 몰입을 유도하지만 그것과는 별개의 문제로 <터널>은 그야말로 '생수'의 맛이다.


시작부터 <터널>이 흥미로웠던 건 오프닝 크레딧이 김성훈 감독의 전작 <끝까지 간다>를 연상케 한다는 점이다. 이는 김성훈 감독이 선호하는 이미지인지 몰라도 어둠 속에서 희미한 빛 사이로 비치는 크레딧은 꽤 아름다운 편이다.  


또한 그 기다란 통로의 이미지는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다양한 '원형 통로'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그가 갖히게 되는 하도 터널, 그리고 그 터널의 환풍기, 시추기와 심지어 철근까지 기다란 원통으로 점철된 이 영화의 이미지를 꽤 간단하게 상기시킨다. 물론 그 통로로 흐르는 물 역시 생존에 필요한 물을 구하는 일이 중요해지는 정수(하정우)의 미래이기도 하다.


재밌는 건 이후 세현(배두나)과 대경(오달수)은 뒷모습으로 소개를 하는 것에 비해 정수는 명확하게 앞, 옆 모습으로 시작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국 이 영화가 정수를 바라보는 이들의 모습을 포착하는 작품임을 암시한다. 과대해석일지도 모르지만 그 모습은 일종의 배우를 바라보는 관객의 뒷모습이기도 하며 사회의 사건을 바라보는 대중의 모습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이 영화는 단 한 번도 가정집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세현이 가정주부라는 설정에서 가장 평범하게 정수의 사건을 목격할 수 있는 방법은 집안일 중 뉴스를 보는 것이다. 그러나 <터널>은 마트에서, 그것도 무빙 워크 위에서 세현이 사건을 알게 되는 방식을 취하면서 아예 '집'이란 공간을 없앤다. 뿐만 아니라 정수는 사건 현장을 '집'이라고 부르는 등의 장면에서 <터널>이 가진 태도를 알 수 있다. 결국 영원한 보금자리는 없는 것이며 결국 순간순간에 머무를 곳만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그런 접근을 제한다면 <터널>의 본질적인 재미는 희극과 비극이 얽혀있다는 곳에서 출발한다. 굳이 오달수를 사명감 있는 구조요원으로 등장시킨 것도 그런 요인 때문이다. 원래 무거운 이미지의 배우가 코믹한 장면을 만드는 것과 존재 자체가 이미 유쾌함으로 증명된 배우가 묵직한 역할을 해내는 것. 두 가지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희극에서 비극을 빚는 것과 비극에서 희극을 골라내는 것. <터널>은 오달수를 통해 전자에 무게를 둔다. 물론 하정우의 정수가 가진 성격도 그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쉽게도 희비극의 결정적인 단점은 몰입도를 현저히 낮춘다는 점이다. 웃음은 보는 이를 이야기 속 인물로부터 객관화하면서 나오는 일종의 '안도감'이 만든 것이다. 눈물은 반대로 그 이야기 속 인물과 자신을 동일화하면서 터져나오는 연민의 발현이다. 고로 후자에 몰입해있는 경우 웃음은 그 몰입을 깨는 역할을 한다. 연극에서 서사극이 코미디를 사용하는 이유도 보다 이성적인 시선을 만들기 위함이다.


그렇기 때문에 <터널>은 애시당초 최고의 난이도를 가진 작품인 셈이다. 만일 눈물을 흘리다가 웃는 것을 죄악으로 여길만큼 느낀다면, 예컨대 '이래도 되나'라는 감각을 느끼게 된다면 <터널>을 보는 관객은 무척 난감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 <터널>이 다양한 장르를 취한 덕분에, 그리고 상업적인 우위를 점하려는 노력 때문에 다소 아쉬운 부분도 있다. 간단히 말해 <터널>에서 정수가 갇힌 39일은 후반부로 가면 갈수록 (성욕은 물론이고) 식욕과 정신적 외상이 배제돼간다. 대신 그 자리를 외부의 세현이나 대경이 겪는 사회의 태도로 채운다. 이것은 <터널>이 처음부터 의도해왔던 것이지만 영화의 진짜 공간인 무너진 터널 안에서의 극한은 정작 나오지 않는 셈이다. 정수가 대경에게 묻듯 '오줌을 먹어봤느냐'라는 말은 정수가 오줌을 삼키려는 직전에서 새로운 전개를 맡는다는 것에서 일종의 허풍처럼 들리기도 한다.


차라리 비극으로 갔으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 희극을 섞기엔 이 이야기는 대한민국이란 사회가 품은 본질적인 문제를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풍자로 받아들이기에 <터널>에서 그린 한국 사회는 현실과 너무 밀접해 풍자보다는 묘사에 더 가깝게 느껴질 정도다. 그 위에 깔린 웃음은 마냥 유쾌하지만은 않다.

매거진의 이전글 수어사이드 스쿼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