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ulblue May 13. 2024

내가 죽었을 때 꽃은 필요 없어

쇼츠를 습관처럼 보다가 감성 한 스푼 퍼 먹이는 영상을 봤다.


내가 죽었을 때 꽃은 필요 없어.

날 위해 울지 않아도 돼.

멀리서 오지 않아도 돼.

그저 잘 가라고 말해줘.

네가 그렇게 날 사랑한다면

뭘 기다리는 거야?


지금 내게 꽃다발을 안겨줘.

지금 내게 와서 만나자.

내가 죽을 때까지 기다리지 마.

지금 날 아껴줘.


화면 위를 가득 채운 자기 계발서 같은 자막들을 뚫고 나오는 분명한 메시지.


가끔 아주 가끔 내 장례식에 대해 생각해 볼 때가 있다. 베스티, 그러니까 절친이 세상을 떠났을 때 ‘move over!!’이라며 관 속으로 같이 들어가려는 여성의 익살스러운 스킷 같은 것들을 볼 때면, 날 위해 울어줄 사람들과 적당히 점잖은 척하며 체면을 차리는 사람들로 나뉘어질 그 순간을. 어디까지 나에 대해서 알고 있을까, 나는 그리고 우리는 마지막 그 순간까지 넘을 수 없는 간극을 유지한 채로 행성처럼 궤도를 빙빙 돌겠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뜨겁게 울어줄 사람들이

역시 필요해.


점잖은 척 고상한 척하지 말고 날 괴롭혔던 사람들에게, 내게 상처를 준 사람들에게 소리를 지르고 꺼지라고 해줄. 치졸해도 복수는 뜨겁게! 고인은 평화롭게 모든 걸 용서했습니다 따위의 말을 꺼내는 자는 분명 내 친구는 아닐 거야.


그럴 일이 없어야 하겠지만 어찌 됐든

가능하면 떠난 후가 아니라

서로의 곁에 있을 때 뜨겁게 아끼고 돌보는 관계이고 싶어.


언제 한 번 보자가 아니라

점심 같이 먹을래 같은 일상어에 담긴 온도야말로

흔하디 흔해서 더 다정한 음률일 거야.


그러니


지금 내게 꽃다발을 안겨줘.

뭘 기다리는 거야?

매거진의 이전글 세상은 왜 나빠지는 것만 같을 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