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클로이 Jan 03. 2024

차근차근 실수 없이 매칭하라

<13강> 도표와 일치 및 불일치 

'잠깐 쉬어가는(유후!)'


25번~26번은 도표와 일치 및 불일치 문제이다. 


다른 문제 유형이지만, 크게 보면 문장 단위로 정보가 맞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같이 묶는다. 눈을 똘똘하게 뜨고 해당 문장이 도표 혹은 선지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만 봐도 틀리지 않는다.



<문제 패턴>

1. 도표 문제는 다양한 나라의 현황을 비교하는 표나 그래프가 등장한다. 

2. 일치 및 불일치 문제는 두 가지 패턴이 있다.
1) 인물의 일대기에 관한 글을 읽고 일치 및 불일치 판단
2) 여러 행사의 안내문을 읽고 일치 및 불일치 판단

3. 도표나 일치 및 불일치 문제를 틀리는 경우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다기보다는 문장의 어떤 tricky(헷갈리는)한 표현들에서 착각하여 틀리는 경우가 더 많다.


<해결 전략>

1. 보통 답이 3-5번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뒤에서부터 읽는다는 친구도 있는데, 사람마다 '더'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며 이것은 개인의 취향에 맡긴다. 

2. 문장 단위로 해당 정보와의 일치성을 재빨리 판단한다.

3. 도표/일치 및 불일치 문제에 자주 등장하는 빈출 표현을 꼭 숙지한다.



<기출문제-도표>


1. 2019학년도

25. 다음 표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The tables above show the top ten origin countries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U.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wo school years, 1979-1980 and 2016-2017. 

-> 도표 문제는 표의 제목과 첫 번째 문장을 꼼꼼히 읽도록 한다. 개괄적인 도입부가 머리에 들어있어야 1번부터 이해도 더 잘된다. <미국 대학의 1970-1980년, 그리고 2016-2017년의 국제 학생들의 출신 국가에 관한 표>이다. 길다.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2016-2017 was over three times larger than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1979-1980

-> 비교되는 대상들과 배수 표현(숫자의 크고 작은 것을 나타내는 표현)에 유의하여 잘 봐야 한다. 두 번째 구간(2016-2017)의 학생의 수가 첫 번째 구간(1979-1980)의 학생의 수보다 3배 이상이라고 한다. 맞다.


② Iran, Taiwan, and Nigeria were the top three origin countr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1979-1980, among which only Taiwan was included in the list of the top ten origin countries in 2016-2017. 

-> Iran, Taiwan, Nigeria는 1979-1980의 가장 학생수가 많은 Top 3국 가이다. 맞다. 그리고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으로 설명이 이어진다. 이 세 국가 중에 오직 Taiwan만이 2016-2017의 Top10 국가에 포함된다고 한다. 맞는가? 7번째 국가이다. 'which'가 나올 때는 엔간하면 그 앞의 설명은 맞을 것인데, which 뒤를 잘 봐야 한다.


③ The number of students from India was over twenty times larger in 2016-2017 than in 1979-1980, and India ranked higher than China in 2016-2017. 

-> 2016-2017년의 인도 학생 수는 1979-1980보다 20배가 더 많으며 인도는 2016-2017에 중국보다 더 높게 랭크되었다.


20배가 더 많지는 않으며 중국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다. 답이 3번이다


④ South Korea, which was not included among the top ten origin countries in 1979-1980, ranked third in 2016-2017. 

-> 한국은 1979-1980년에 Top10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2016-2017년에는 세 번째로 랭크되었다. 맞다.


⑤ Although the number of students from Japan was larger in 2016-2017 than in 1979-1980, Japan ranked lower in 2016-2017 than in 1979-1980.

-> 일본 출신 학생 수는 2016-2017학년도에는 1979-1980학년도보다 많았지만, 일본의 순위는 2016-2017학년도에는 1979-1980학년도보다 낮았다. 맞다.



2. 2021학년도


The graph above shows the online shares of retail sales for each of six countries in 2012 and in 2019. The online share of retail sales refers to the percentage of retail sales conducted online in a given country. -> <2012년과 2019년 각각 여섯 개국의 소매 판매의 온라인 점유율에 관한 표>이다. 위의 것과 살짝 다른 표이다. 들어가 보자.

① For each country, its online share of retail sales in 2019 was larger than that in 2012. 

-> 각 국가에서 2019년의 온라인 소매 판매 점유율은 2012년보다 크다. 맞다.


② Among the six countries, the UK owned the largest online share of retail sales with 19.7% in 2019. -> 여섯 개국 중 영국은 2019년에 19.7%의 가장 큰 온라인 소매 판매 점유율을 보유했다. 맞다.


③ In 2019, the U.S. had the second largest online share of retail sales with 16.5%. 

-> 2019년 미국은 16.5%로 두 번째로 큰 온라인 소매 판매 점유율을 보유했다. 맞다. 단순 비교가 이어진다.


④ In 2012, the online share of retail sales in the Netherlands was larger than that in France, whereas the reverse was true in 2019. 

-> 2012년 네덜란드의 온라인 소매 판매 점유율은 프랑스보다 높았지만, 2019년에는 그 반대였다. 맞다.


⑤ In the case of Spain and Italy, the online share of retail sales in each country was less than 5.0% both in 2012 and in 2019.

->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우, 각 국가의 온라인 소매 판매 점유율은 2012년과 2019년 모두 5.0% 미만이었다. 아니다. 스페인의 경우 2019년에 5.4를 찍었다.



3. 2023학년도

The above graph shows the percentages of Americans’ preferred type of place to live by age group, based on a 2020 survey. -> 위의 그래프는 2020년 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령별 미국인들이 선호하는 거주지 유형>의 백분율을 보여준다고 한다. 


① In each of the three age groups, Town/Rural Area was the most preferred type of place to live. -> 세 연령 그룹 모두 도시/시골 지역이 가장 선호하는 거주지 유형이었다. 맞다. 


② In the 18-34 year-olds group, the percentage of those who preferred Big/Small 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preferred Suburb of Big/Small City. ->  18-34세 그룹에서 대도시/소도시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대도시/소도시 교외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보다 높았다. 그냥 상식적으로 들어도 맞는 말이다ㅋ. 맞다. 


③ In the 35-54 year-olds group, the percentage of those who preferred Suburb of Big/Small City exceeded that of those who preferred Big/Small City. ->  35-54세 그룹에서 대도시/소도시 교외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대도시/소도시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보다 높았다. 맞다. 


④ In the 55 year-olds and older group, the percentage of those who chose Big/Small City among the three preferred types of place to live was the lowest. -> 55세 이상 그룹에서는 대도시/소도시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세 가지 선호하는 거주지 유형 중 가장 낮았다. 아니다. 대도시/소도시 교외를 선호하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낮다


⑤ Each percentage of the three preferred types of place to live was higher than 20% across the three age groups. -> 각 연령 그룹에서 선호하는 세 가지 거주지 유형의 비율이 모두 20% 이상이었다. 맞다.



<기출문제-일치 및 불일치>


1. 2023학년도

Niklas Luhmann, a renowned sociologist of the twentieth century, was born in Lüneburg, Germany in 1927. After World War II, he studied law at the University of Freiburg until 1949. Early in his career, he worked for the State of Lower Saxony, where he was in charge of educational reform. In 1960—1961, Luhmann had the chance to study sociology at Harvard University, where he was influenced by Talcott Parsons, one of the most famous social system theorists. Later, Luhmann developed his own social system theory. In 1968, he became a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Bielefeld. He researched a variety of subjects, including mass media and law. Although his books are known to be difficult to translate, they have in fact been widely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법을 공부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9년까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고 나온다.

② State of Lower Saxony에서 교육 개혁을 담당했다.

-> 이렇게 고유명사가 있을 때는 해당 단어를 바로 찾아보면 된다. 교육개혁(educational form) 담당한 것 맞다.

③ Harvard University에 있을 때 Talcott Parsons의 영향을 받았다.

-> Luhmann had the chance to study sociology at Harvard University, where he was influenced by Talcott Parsons를 보니 맞다.

④ 다양한 주제에 관해 연구했다.

-> He researched a variety of subjects라는 표현에 나와있다.

⑤ 그의 책은 번역하기가 쉽다고 알려져 있다.

-> difficult to translate라고 표현되었으므로 틀렸다!



2. 2023학년도


 ① 보수 공사는 2022년 11월 21일에 시작된다.

-> 맞다. 

 ② 보수 공사는 주말에만 진행될 것이다.

-> Renovations will take place every day라고 되어있으므로 틀렸다. 별것 아닌데 틀릴 수도 있으니 잘 봐야 함!

 ③ 체육관과 실내 수영장은 폐쇄될 것이다.

-> 'areas to be closed'에 보면 폐쇄될 지역에 체육관과 실내 수영장이 있다.

 ④ 모든 야외 레저 활동은 평소와 같이 가능할 것이다.

-> All outdoor leisure activities will be available as usual에 나와있다.

 ⑤ 손님은 무료로 테니스장을 이용할 수 있다.

-> Guests may use the tennis courts for free에 나와있다.






<도표 빈출 표현>


1) 배수표현

-  the number of: ~의 수  

-  among the ~: ~중에 

-  (two, three... times) larger than: ~보다 (몇 배) 많은 

-  more/less than: ~보다 적은/많은

-  ranked higher/lower: 더 높게/낮게 랭크되었다

 - the (second, third...) largest: 가장(두 번째로, 세 번째로) 많은

-  the (second, third...) lowest: 가장 (두 번째로, 세 번째로) 적은

-  the reverse was true: 그 반대였다.

 is also true for: ~에도 마찬가지이다.

-  exceed/increase/decrease: 초과하다/증가하다/감소하다

-  showed an increase/decrease: 증가하다/감소하다


2) 관계대명사 which의 계속적 용법 주의

- which 뒷부분에 이어지는 설명을 잘 보아라!


<일치 및 불일치 빈출 표현>


- for free: 무료로 제공되는

- admission: 입장료

- discount: 할인

- available: 이용가능한

- additional: 추가의

- instruction: 안내

- participate/participant: 참여하다/참가자

- register/registration: 등록하다/등록

- (entry/entrance, tuition) fee: (입장, 수업) 요금

- donation: 기부

- age requirement, restrictions/caution: 나이제한, 주의사항

- indoors/outdoors: 실내의/실외의

- be submitted by: ~로 제출하여야 한다

- ~will (not) be provided: 제공될/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 ~is not allowed/permitted: ~는 허락되지 않는다

- ~is limited to:~로 제한된다

- no later than before: ~이내에 



매거진의 이전글 제목을 입력하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