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쌈장 Dec 07. 2022

나라는 엄마 인간은 틀려먹었다.

개인 취향 존중하자

아. 잔말 말고 주는 데로 먹어.

아침메뉴는 이미 정해져 있다. 하지만 (해달라고 하는 아침메뉴 다 해줄 수 있어! 하는 척. 착한) 엄마는 묻는다.

"아침에 뭐 해줄까? 올리브 빵 먹을래, 부드럽고 고소하고 맛. 있. 는. 프렌치토스트 해줄까, 모닝빵을 먹을래?"

다 같이 합창한다. "프렌치토스트!!" 아, 우리 집 남자들. 내 안에 있는 아침메뉴 정답을 맞혔다.


예~스!! 이런 희열이란.


프렌치토스트를 먹다가 다른 주문을 하기 시작한다.

 "설탕을 뿌려줘" 아빠가 말한다.

눈을 째림과 동시에 인상을 쓰며, "설탕 이미 계란 풀 때 넣었어. 이미 달. 아!!"

신랑은 “그래, 부드럽다”며 먹을만하다는 식의 무표정으로 쩝쩝거린다.

그때부터 시작이었다.


아들은 아주 잘 먹다가

"엄마, 설탕 조금 뿌리면 맛있을 것 같아. "



사진출처 : 픽사 베이

“아빠...!!!”(‘네가 말하니까 아들이 똑같이 따라 하자나 이 시끼야’)


심지어 아들은 요구사항을 더 이야기한다.

“엄마, 빵을 넣으면 톡톡 튀어나오는 거 있잖아. 거기에 하면 빵이 바삭거려. 난 그게 좋아.”

“아 토스트기? 그 빵에 쨈 바르는 거 좋아해?”

“아니. 그냥 바삭거리는 빵만.”

“그... 래...(말이나 못 하면..)”


갑자기 욱해지는 순간. 괜히 아빠를 부르고 조용히 생각한다. 행복한 아침시간에 기분 상하게 되려는 불안한 조짐이 보이는 순간이다.


하... 한숨이 절로 나온다. 왜 이미 정해놓은 마음속 아침메뉴를 식구들에게 맞추라는 듯 물어보고, 맞추면 좋지만, 또 안 맞춰주면 어떠한가. 가족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며 내 생각을 시원하게 이야기하면 될 것인데.


가족이든 다른 곳에서든, 나와 다른 의견이나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인정을 해주지 않는 것 같은 섭섭한 감정을 종종 느끼곤 한다. 다들 입맛이 다를 수 있는 것을 “그럴 수 있지” 하며 왜 쿨 하게 넘어가지 못하는지. 지나고 보면 별 것 아닌 일에 감정 소모가 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설탕이 필요하면 설탕을 주면 되고 소금이 필요하다면 소금을 주면 그만인 것을.  


작가의 이전글 네가 이럴 줄은 몰랐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