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해동 작가 Sep 14. 2019

장소 감에 대한 이야기

웬 위 퍼스트 멧(2018)

장소감이라고 하면 '장소'에 대한 생각 아니야?


장소에 대해서

Jogensen and Stedman(2001)은 장소감은 장소로 이끄는 모든 것에 대한 경험이라고 말하며, 장소감 형성과 관련해 인지, 지각적 요소와 물리적 특성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장소(place)는 감정적 차원+행동적 차원+인지적 차원이 결합된 형태이다.

장소 의존, 장서 애착, 장소 정체성



장소감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생각, 느낌

개인마다 장소감이 다를 수 있음


영어로는 place, sense of place, private geography

등의 단어로 표현할 수 있겠다.


영화에서는 같은 장소가 나온다.

그러나 벌어지는 일은 계속 달라진다.

주인공은 사랑하는 그녀와 결혼에 골인하려고 하지만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갈 때마다 일이 꼬여서 그녀와 가까워지지 못한다.


영화의 결말은

짐작하듯이 자신의 행동으로 여러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중요한 것

장소감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다른 사람에게 불편하지 않게 하는 것

그게 좋은 장소감이다.


동이쌤

김해동




초등학생들에게 장소감이란

-학생이 장소를 탐색하고 심상지도를 그리며, 마을이나 고장에 대한 서로의 감정을 비교하는 활동으로 재현되어 있음

-장소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서로 비교하고 존중하는 것에 초점

-자신의 생활 세계를 탐색하고 비교하며 확장하는 것은 지리적 자아로서 성장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은 장소 교육, 장소감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공적인 지리 지식과 연결하는 일이 필요하다.

-장소에 대한 애착, 고장 지역 국가에 대한 소속감으로 연결해 나가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무인도에서 벌어진 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