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석주 영화평론가 Sep 14. 2021

[인터뷰] 김초엽 작가

책 『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은 2017년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첫 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출간해 문단으로부터 한국 SF소설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았다. 인아영 평론가는 “김초엽의 SF소설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미래”라며 “동시대 현실에서는 아직 가능하지 않은 미래의 과학기술이 우리를 다채롭고 신비로운 세계로 데려간다”고 평했다.


김초엽은 ‘과학기술로 발전한 미래가 과연 더 좋은 세상일까?’라는 질문을 행간에 아로새기며 여성, 장애인, 이주민 등 차별과 혐오 속에서 현실을 힘겹게 살아가는 소수자들의 삶을 이야기한다. 인 평론가는 “과학기술이 누군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법을 알려주는 세상을 꿈꿔볼 수도 있다”며 “그 아름다운 모험의 길을 김초엽의 소설은 우리에게 마련해주었다”고 말했다.


“멸망의 시대, 식물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와 그곳에서 개량된 더스트 저항종 식물들, 그 식물을 심으며 함께 살았고 그것을 전 세계로 퍼뜨린 사람들의 이야기라니. 식물학자라면 누구나 매료될 이야기였고, 그렇지 않더라도 충분히 흥미를 느낄 이야기였다.”

김초엽은 첫 장편소설 『지구 끝의 온실』에서 ‘더스트’라는 독성 물질에 의해 멸망한 세계(dystopia)를 그렸다. 하지만 그 세계는 단순히 현대 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된 암울한 미래상이 아니다. 김초엽은 어둠을 또렷하게 응시하면서 빛과 희망 그리고 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멸망한 세계를 구한 천재적인 영웅들의 발자취가 아니라 그저 하루하루를 살아내고자 했던 평범한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본다.


그는 기자에게 “나에게 좋은 사람이 타인에게는 아닐 수도 있다. 사랑할 수 없는 세계이지만 다시 복원해야 하는 그런 모순적인 세계. 그 속에서 살아가는 다채로운 욕망을 지닌 존재들을 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소설에는 바로 그런 사람들의 따뜻하면서도 차가운, 복잡다단한 마음이 담겨 있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블러썸크리에이티브 사옥에서 김초엽을 직접 만나 작품의 뒷이야기를 들어 봤다.




8 -> 9

'_'//

매거진의 이전글 [인터뷰] 이반지하 작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