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의 아들인 소현세자는 사도세자와 더불어 조선왕조 비운의 세자 중 한 명입니다. 소현세자는 이른바 '삼전도의 굴욕' 이후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가는데요. 청나라에 인질로 있다가 8년 만에 조선으로 돌아옵니다. 근데 귀국하자마자 두 달 만에 사망하는데요. 인조실록에는 "이목구비의 일곱 구멍에서 피가 흘러나와 얼굴 반을 덮어 놓은 상태였다"라며 사망 당시 소현세자의 모습이 기록돼 있습니다. '올빼미'는 바로 이러한 소현세자의 의뭉스러운 죽음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을 담은 영화입니다.
인조 역할을 유해진 씨가 맡았습니다. 제가 올해 재밌게 봤던 드라마 '그 해 우리는'에 출연했던 김성철 씨가 소현세자 역할을 맡았고요. 그리고 류준열 씨가 '경수'라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경수가 사실상 영화의 주인공이에요. 그는 시각장애인이지만 뛰어난 침술 실력을 갖고 있어서 어의로부터 발탁돼 궁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경수는 전맹(全盲)은 아니에요. 어두운 곳에서는 희미하게나마 앞을 볼 수 있는 시각장애인인데요. 어느 날 어의의 시침을 돕다가 소현세자의 죽음을 목격하게 됩니다.
'올빼미'는 역사영화의 외피를 두른 스릴러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서스펜스 스릴러라고 할 수 있어요. 서스펜스 스릴러는 줄거리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 밖에 있는 관객에게는 전달하지만, 스크린 속 주인공에게는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정보 격차에 의한 불안감에 주안점을 두는 장르입니다. 나홍진 감독의 '추격자'가 대표적인 서스펜스 스릴러죠. 연쇄살인마가 누군지 관객은 아는데 주인공만 모르잖아요.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스릴러 역시 대개 역사 그 자체가 스포일러니까 당연히 서스펜스 스릴러인 셈이죠.
당시 소현세자를 치료한 의원은 소현세자와 불화했던 인조의 후궁 소용 조씨의 어머니를 돌봤던 사람입니다. 일부 역사학자들에 의하면 바로 그 의원이 소현세자를 독살했습니다. 그러니까 소현세자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소용 조씨가 인조와 함께 모종의 작당(의원에게 독침으로 세자를 죽이라고 지시)을 했을 수도 있다는 게 유력한 설입니다. '올빼미'는 바로 이 설을 바탕으로 영화적 상상력을 더해 만들어진 작품이고요.
앞서 언급한 설을 진실로 가정한다면, 인조는 왜 자신의 아들을 죽였을까요? 그 이유를 설명하려면 당시 조선의 외교적 상황과 정치적 지형을 알아야 합니다. 인조는 명나라를 가까이하고, 오랑캐를 배척하는 '친명배금' 정책을 폈는데요. 인조는 서인의 반정으로 광해군을 폐위하고 임금의 자리에 오른 인물이잖아요. 중립외교를 폈던 광해군과는 어떻게든 정치적으로 차별화를 해야 했고, 전통적 우방인 명나라와 더욱 밀착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청의 심기를 건드려 병자호란이 터진 거고요.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있다가 돌아온 소현세자가 배금정책을 반대하니까 인조는 그게 내심 못마땅했던 거죠. 설상가상으로 소용 조씨가 둘 사이를 이간질하면서 인조와 소현세자의 관계는 더 나빠지게 됩니다. 실제로 소현세자가 독살의 흔적이 있었음에도 인조가 장례를 급하게 마쳤거든요. 그런 정황을 미루어 짐작했을 때, 인조가 정치적인 이유로 소현세자를 제거했을 수도 있다는 거죠. 인조는 생전 왕위에 엄청 집착했다고 합니다. 청을 등에 업은 소현세자를 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는 정적(政敵)으로 간주했던 거죠.
다시 영화 얘기로 돌아가면, 경수는 소현세자의 죽음을 우연히 목격한 뒤 위기에 처한 그의 아내 강빈과 아들 원손을 구하기 위해서 동분서주합니다. 경수에겐 심장병이 있는 동생이 있는데, 그 동생이 원손과 나이가 같아요. 아버지와 어머니를 잃은 처지에 놓인 원손에게 감정이입이 됐을 수도 있죠. 주지하다시피 안태진 감독은 그 과정을 서스펜스 스릴러로 녹여냈고요. 그 과정을 동사로 표현한다면 아마 '보다'일 것입니다. 말하자면 '올빼미'는 '보다'라는 감각이 중요한 영화입니다. 앞을 잘 보지 못하는 사람이 오히려 사안의 진실이나 핵심을 더욱 명징하게 꿰뚫어 본다는 데 이 영화의 재미가 있어요. 그 상황으로부터 파생하는 대사들도 의미심장하고요. 예를 들면, 경수가 소현세자에게 "너무 많은 것을 보고, 정확하게 알아서 병이 생긴 것"이라는 취지의 대사를 하는데, 나중에 이 대사가 정확히 경수에게 돌아오게 됩니다. 끝에 경수가 인조에게 내뱉는 "무엇이 보이십니까?"라는 대사도 그렇고요.
군더더기 없는 매끈한 연출도 일품이지만, 연출보다는 배우들의 연기가 돋보이는 영화입니다. 극 중에서 유해진 씨는 싸이코패스적인 인조의 이중성을 훌륭하게 소화합니다. 분량으로 치면 유해진 씨보다 영화에 더 자주 등장하는 류준열 씨 또한 관객이 극에 집중할 수 있게 길잡이 역할을 확실하게 합니다. 두 배우 모두 관객에게 신뢰감을 주는 배우잖아요. '올빼미'에서도 그 신뢰감을 완벽하게 충족합니다.
영화 후반부에 경수가 퇴장하고, 재등장하는 쇼트들이 다소 돌출돼 보이는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영화 전체를 해치는 단점이라고 볼 수는 없고요. '올빼미'는 장르영화로서의 뛰어난 강점을 보이는 영화입니다. 몰입감이 상당해요. 역사영화의 외피를 두른 스릴러를 특별히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잖아요. '별순검' 시리즈가 대표적일 텐데, 그런 장르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할 만한 영화입니다.
영화에 대한 자세한 얘기가 궁금하시면, 11월 27일(일) 오후 2시 30분, TBN(강원) 두시N영화관(FM105.9)을 들어주세요. 구글 플레이나 앱스토어에서 ‘TBN 교통방송’ 앱을 다운로드하면 들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