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화수첩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석주 영화평론가 Jun 14. 2023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

박순봉(왼쪽) 배우와 김원보(오른쪽) 배우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제작된 거로 추정되는 이규설 감독의 무성영화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를 보았다. 필름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다. 원래 안종화 감독의 <청춘의 십자로>(1934)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영화였지만, 이 영화의 발굴로 인해 두 번째로 밀렸다.


한국영상자료원에 따르면,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는 2019년 러시아 고스필모폰드에서 발굴돼 2020년 수집과 디지털 작업을 거쳤다. 일제 당국의 교육계몽 목적의 영화로 제작됐다고 한다.


신발 고치는 일을 하는 복걸(박순봉)과 나무 파는 일을 하는 효완(김원보)의 우정을 다룬 영화다. 어느 날 복걸은 길을 가다가 우연히 지갑을 줍는다. 복걸은 그 지갑을 경찰서에 갖다주고, 사례금을 받는다. 복걸은 사례금으로 맛있는 음식을 사 먹을까 고민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저축한다. 그로부터 며칠 뒤 나무 판 돈을 잃어버리고 상심한 효완에게 복걸은 자신이 저축한 돈의 일부를 준다. 영화는 서로를 보며 활짝 웃는 복걸과 효완의 얼굴을 차례대로 잡으며 끝난다.


무성영화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아이리스인(iris in)/아이리스아웃(iris out) 등의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영화의 장면들은 주로 고정된 상태의 롱 쇼트(long shot)로 촬영됐다. 인물이 이동할 때 트래킹 쇼트(tracking shot)도 사용되는데, 카메라가 심하게 흔들려 머리가 어지럽다.


1920년대의 한국을 살았던 사람들의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흥미로운 영화다.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rgxi3m-8jjM)로 볼 수 있다. 한국영상자료원 학예연구팀장 정종화 선생님이 직접 해설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심청전>을 통해 살펴보는 장애인 존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