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빛별 Nov 17. 2022

문득 도착한 어느 가을날의 편지

2022년 가을의 나에게, 2021년 가을의 나로부터.

 2021년 10월 6일, 구독하던 뉴스레터에서 '가을 우체통' 이벤트를 준비했더라. 1년 뒤 나에게 편지를 적어 보내면 1년 후인 오늘, 2022년 10월 6일 이메일에 담아 보내주는 이벤트였다. 그래서 냉큼 참여했었는데, 그 뉴스레터는 어느 순간 발송을 멈췄고 내게 쓴 편지도 당연히 잊고 있었다.


 그렇게 더이상 오지 않는 뉴스레터도, 내게 쓴 편지도 까맣게 잊고 별 다를 것 없는 일상을 보내던 2022년 11월의 중간인 오늘. 냅다 모아서 쌓기만 하느라 먼지가 잔뜩 쌓인 것처럼 보이는ㅡ노션에 저장하기 때문에 실제로 먼지가 쌓이지는 않는다ㅡ 글감 목록을 정리하던 중에 이 편지를 발견했다.


 잊고 있던 일기장을 찾은 것 같기도 하고, 내가 쓴 편지이지만 내용이 전혀 기억이 나지 않으니 정말 누군가에게 편지를 받은 느낌도 들었다. 그런 김에 공개해 보는 to me - frome me 편지.


▶ 2022년의 답장은 가을 끝자락에 마음을 담아(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부터는 2021년 한 살 어린 내가 한 살 많은 나에게 쓴 편지 전문이다.


 계절이 바뀔 때마다 잔뜩 소란스러운 마음에게, 그러니까 나에게.


 2021년 9월에는 가을이 조금 늦게 도착했어.

여름이 미련을 부리는지, 하늘은 가을인데 날씨는 따갑더라고.

원래 가을볕이 뜨겁다고는 하지만 다들 혀를 내두를 정도의 날씨였으니 말 다했지.

그렇게 밍기적거리는 계절이 내 마음에는 단숨에 도착한 건지 요즘 영 싱숭생숭해.

'원래 이런 사람이야.'라는 말을 참 싫어해서, 안 좋은 면은 고치려고 노력하잖아 나름.

그럼에도 가을을 타는 건, 솔직히 모든 계절을 다 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가을에 유난히 외로워하는 건 어쩔 수가 없는 모양이야.


 가을밤 공기는 예상보다 더 시려서, 지난 우울과 이유 모를 외로움에 깊게 잠겨 버리곤 해.

언제나 나를 힘들게 하는 건 단 두 가지, 내가 가는 길에 대한 의문과 인간관계에 대한 회의.

그게 고민에서 끝이 아니라, 결론을 내고 행동에 이르러야 하는데...

왜 늘 생각에 얽혀 마음고생만 잔뜩 하다가 회피해 버리고 마는지-.

올 한 해가 지기 전에 그 생각들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기를 바라지만,

이 고민은 어째 죽는 날까지 끊임없이 할 생각 같기도 해서 그게 또다시 걱정이야.


 잠시 열심히 살다가, 번아웃으로 꽤 오래 녹아버린 아이스크림처럼 쓸모없이 늘어져 있다가...

그런 스스로가 한심해 채찍질을 하고 무리해서 일으키고, 또 번아웃이 오기를 반복하지.

이게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면 이런 순환을 수긍하겠지만, 이제는 좀 어른스럽게 대처하고 싶어.

그래서 방법을 찾아보려고. 책도 많이 읽고, 방법을 강구하는 중이야.

그러니까 이 편지의 수신인인 너는 발신자인 나보다 훨씬 더 멋진 어른이 되어 있기를 바라.

사람 하루아침에 변하는 거 아니라지만, 이런 막연한 기대 정도는 가져도 괜찮지 않을까.


 만약 멋진 어른이 되어있지 못하더라도,

여전히 같은 것들로 괴로워하고 똑같은 삶을 살고 있대도,

그래도 괜찮아. 괜찮다고 꼭 너한테 말해주고 싶어.


 인생의 타이밍은 저마다 다르고, 전성기도 저마다 다르다잖아.

그리고 여러 점괘에서 말년으로 갈수록 더 잘 풀리고 잘될 거라잖아.

그러니까 운명론을 조금 더 믿어보자, 할 수 있어. 분명 잘 될 거야!

지금 조금 힘든 건, 나중에 더 빛나기 위해 미리 겪는 괴로움일 거야.

충분히 잘 살아내고 있고, 돌아보면 항상 최선이었던 것처럼 지금도 잘 해내고 있는 거야!

언제나 정답은 아니더라도 내 결에 맞는 답을 찾아왔으니까.

지금 살고 있는 방법이 결코 틀리지 않았다고, 또 내 삶을 만들어 가는 길이라고 믿어.


 이번 가을은 '그' 때문에 조금 더 괴롭다. 이제는 묻어둘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말이야.

나름 "나아지고 있어", "흐려지고 있어" 싶었는데... 벌써 훌쩍 지난 옛 시간에 여전히 미련을 두고 있어.

브라운 아이즈 노래를 리메이크한 슬기로운 의사생활 OST "벌써 일 년"을 들으면서 씁쓸해하는 중인데.

그래도 여기서 1년이나 더 지난 뒤의 너는, 그러니까 나는 그를 홀가분하게 털어냈을까?

더 좋은 사람을 만나지 않았을까? 하다 못해 운명이라면 '그'와 다시 만났을 수도 있고 말이야.

부분 운명론자잖아 우리는. 그러니까 이 또한 운명에 맡겨보자.


 나는 이제 흘러가는 대로 두고 보려고. 그리운만큼 그리워하고, 남은 미련만큼 힘들어하려고 해.

아낌없이 사랑한 시간과 좋았던 추억에 대한 값이라면 그저 그 대가를 치르려고.

그러니까 너는 지금의 나보다는 조금 더 가벼운 마음으로, 미련을 덜어냈기를 바라.


 줄줄 쓰다 보니 이 정도인데, 물론 하고 싶은 말은 셀 수 없이 남았지만 이쯤에서 끊어보려고 해.

왜냐하면 굳이 다 적지 않아도 나는 네가 너의 지금을 잘 살아내고 있으리라 믿거든.

무너질 때마다 스스로를 잘 다독여 일어났잖아, 누군가의 손을 잡고 일어나기도 했고.

그만큼 좋은 사람들 틈에서 행복하게 너를 찾고 있으니까... 삶이라는 여행이 늘 비극만은 아님을 잊지 말자.


많이 사랑해, 네 웃는 얼굴도, 그림자도, 그리고 눈물마저도.

이 편지를 쓰기 시작한 지금부터,

네가 이 편지를 받아 읽을 지금까지,

충분히 수고했어 :-)


(Oct 06. 2021)

2021년 가을을 담아
작가의 이전글 이런 마음은 처음이라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