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소유물반환청구권 (민법 제213조 물권적청구권)

소유자가 그의 소유에 속하는 물건을, 


점유하는 자에 대하여,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소유물반환청구권>이라고 합니다(민법 제213조 참조).                                                





1. 요건


                                                                                                                                                       

가. 청구권자


소유물반환청구권의 청구권자는, 점유하고 있지 않은 법률상 소유자이며, 점유를 하고 있는지, 법률상 소유자인지는, 사실심의 변론종결 당시를 표준으로 하여 결정합니다.                                               

                                                          

[1] 미등기 무허가건물의 양수인이라 할지라도 그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받지 않는 한 그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고, 그러한 상태의 건물 양수인에게 소유권에 준하는 관습상의 물권이 있다고 볼 수도 없으므로, 건물을 신축하여 그 소유권을 원시취득한 자로부터 그 건물을 매수하였으나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갖추지 못한 자는 그 건물의 불법점거자에 대하여 직접 자신의 소유권 등에 기하여 명도를 청구할 수는 없다. [2] 미등기 건물을 그 원시취득자로부터 매수하였으나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갖추지 못한 원고가 위 매도인을 대위하여 건물명도청구를 한 것이 아닌데도, 위 건물을 점유하는 피고들은 원고에게 건물을 명도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대법원 2007다11347 판결).                                                        

                                                          

타인이 신축한 건물을 매수한 사람도 등기를 갖추지 못한 경우에는 그 건물에 대한 제3자의 침해행위에 대하여 직접 그 배제를 청구할 수 없다(대법원 69다1485 판결).                                                        


                                                          

건물을 신축하여 원시적으로 그 소유권을 취득한 자로부터 그 건물을 등기않은 채 매수한 자가 일단 매도인으로부터 그 건물을 인도받았다 하더라도 매도인은 장차 적법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여줄 의무와 그 건물에 대한 완전한 권리행사를 함에 지장이 없도록 협력하여 줄 의무가 있다할 것이므로 매수인은 그 건물의 불법점거자에 대하여 매도인을 대위하여 명도청구를 할 수 있다 할 것이다(대법원 73다114 판결).                                                        


                                                          

거래 상대방이 배임행위를 유인·교사하거나 배임행위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등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하는 경우에는 실행행위자와 체결한 계약이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해당하여 무효로 될 수 있고,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한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법률행위의 무효는 이를 주장할 이익이 있는 자는 누구든지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회질서 법률행위를 원인으로 하여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더라도 그 등기는 원인무효로서 말소될 운명에 있으므로 등기명의자가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에, 권리 행사의 상대방은 법률행위의 무효를 항변으로서 주장할 수 있다(대법원 2015다11281 판결).                                                        


                                                           

1. 건물을 원시취득한 소외인의 동거가족들은 그 점유보조자에 불과하지만 소외인이 건물을 매도하고 퇴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거가족인 피고들이 그 건물이 소외인의 소유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소외인의 의사에 반하여 건물부분을 점유하고 있다면 피고들은 소외인에 대한 관계에서 불법점유자이다. 2. 원고가 미등기 건물을 매수하였으나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위 건물의 소유권을 원시취득한 매도인을 대위하여 불법점유자에 대하여 명도청구를 할 수 있고 이때 원고는 불법점유자에 대하여 직접 자기에게 명도할 것을 청구할 수도 있다(대법원 79다1928 판결).                                                        



                                                                                                                                                        

나. 상대방


소유물반환청구권의 상대방은, 현재 그 물건을 전부점유하고 있는 자로서,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는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를 기준으로 하여 정합니다. 상대방이 간접점유를 하고 있는 경우, 소유자는 직접점유자뿐만 아니라 간접점유자에 대하여도 소유물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에게 고의나 과실 등의 귀책사유가 있는지는 묻지 않습니다.                                               

                                                           

불법점유를 이유로 하여 그 명도 또는 인도를 청구하려면 현실적으로 그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자를 상대로 하여야 하고 불법점유자라 하여도 그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인도하여 현실적으로 점유를 하고있지 않은 이상 그 자를 상대로 한 인도 또는 명도청구는 부당하다(대법원 70다1508 판결).                                                        


 불법점유를 이유로 한 건물명도청구를 하려면 현실적으로 불법점유하고 있는 사람을 상대로 하여야 할 것이나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간접점유자를 상대로 명도를 청구할 수 있다(대법원 81다187 판결).                                                        


                                                             

임대인이 임대차계약종료로 인한 원상회복으로서 임차물의 반환을 구하는 경우에 있어 임차인이 직접점유자가 아님을 자백한 것일뿐, 간접점유자가 아닌것까지 자백한 취지가 아니라면 임차인이 임차목적물을 직접점유하지 않다는 이유로 그 반환을 거부할 수는 없다(대법원 90다19695 판결).                                                        





                                                                                                               

2. 효과


                                                                                                                                                             

소유자는 점유자에 대하여 소유물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의 반환은 점유의 이전, 즉 인도를 의미하며, 원상회복까지 포함하는 개념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A의 토지에 B가 불법으로 건물을 지어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A는 방해배제를 청구하여 건물을 철거하게 하면서 동시에 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다만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청구할 수는 없습니다.                                  


건물의 소유자가 그 건물의 소유를 통하여 타인 소유의 토지를 점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토지 소유자로서는 그 건물의 철거와 그 대지 부분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을 뿐, 자기 소유의 건물을 점유하고 있는 자에 대하여 그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청구할 수는 없다(대법원 98다57457, 57464 판결).                                                        

                                                          

1. 지상권을 설정한 토지소유권자는 불법점유자에 대하여 물권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2. 지상권을 설정한 토지소유권자는 지상권이 존속하는 한 토지를 사용 수익할 수 없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불법점유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대법원 74다1150 판결).                                                        








작가의 이전글 집합건물(아파트) 관리인지위부존재 확인청구 인용 사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