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억수집가 Sep 02. 2019

이 영화는, 다시 만들어져야 한다

이낙훈 배우를 아십니까?

김수용 감독의 <안개>를 보았다. 1967년 작이고, 한국의 알랑 들롱이라는 고 강신성일과 1200대 1이란 어마 무시한 경쟁을 뚫고 화려한 은막에 데뷔한 윤정희가 주인공을 맡았다. 오래된 필름인 만큼 이들의 리즈 시절을 볼 수가 있다. 특히 배우 윤정희는 문희와 남정임과 함께 60년대 여배우 트로이카를 주도하기도 했다. 그래서일까? 영화 속 윤정희 배우를 보면 정말 미인이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연기력은 그다지 훌륭하다고는 할 수 없다. 아무래도 이 영화는 그녀가 배우가 되고 얼마 되지 않아 출연한 작품이나 카메라 앞에 서는 게 아직도 어색했던 것 같다.   


이 영화는 공교롭게도 19금이다. 하지만 그다지 수위가 느껴지지는 않는다. 두 장면 정도 정사 장면이 나오는데 직접 촬영이 아닌 간접촬영이다.  놀라운 건 억지로 야한 장면을 연출하기 보단 정사할 때 둘이 흘리는 땀에 집중했다. 이것만으로도 정사씬의 효과는 충분 이상이었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당시로는 좀 파격적으로 보일 수도 있었겠다. 문득, 그때만 해도 여자의 정조 관념이 강해 감독이 여배우에게 조금만 노출 장면을 주문해도 영화를 찍네 마네, 울고 불고 난리도 아니란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과연 저런 정사 장면은 어떻게 찍었을까 싶기도 하다. 여배우의 노출 장면은 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아는데, 한간의 소문에 의하면 그 노출 장면에 대역을 썼다고도 하는데 지금 생각하면 과연 믿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이 영화는 소설가 김승옥의 유명한 소설 <무진기행>을 스크린에 옮긴 것으로 각색에도 직접 참여했다. 이 영화의 자료를 찾느라 검색을 해 봤는데, 영화 제목에 안개라는 단어가 들어간 작품이 의외로 꽤 많다는 걸 알고 좀 놀랐다. 하긴 영화에서 안개는 꽤 유용한 효과를 낼 것이다. 뭔가 신비하고, 이것과 저것의 명확한 구분을 할 수 없거나 지연시킬 때 안개만큼 유용한 도구도 없을 것이다. 특히 영화는 염세적이기도 하고, 약간의 미스터리적인 요소도 있는데 그럴 때 안개는 적절하게 잘 사용됐다. 그리고 그것을 작품에 활용할 생각을 했다는 건 당시론 좀 앞선 측면도 있지 않나 싶기도 하다.  


감독의 연출력이 뛰어나다. 저 시대에 저런 연출을 하다니 놀라울 정도다. 흑백이라는 점이 좀 아쉽기도 했는데, 현대에 일부러 흑백 필름을 사용하는 감독도 있다는 것을 생각할 때 어색할 것은 없어 보인다. 무엇보다 영화 중 남녀 주인공의 첫 데이트 때 여자가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오는데(그 유명한 정훈희의 <안개>를 부른다. 물론 립싱크겠지만) 반주를 제대로 넣어 노래를 부른다. 아마 그 장면에서만큼은 감독이 뮤지컬 기법을 살리고 싶었던 모양이다. 지금이야 별스러운 게 아닐지 모르지만 당시로는 쉽지 않은 작업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스토리는 새삼 진부해 보이기도 하다. 소설 <무진기행>은 워낙에 유명한 작품이라 지금도 문학도는 물론이고 일반 독자들에게 회자되는 작품이다. 나도 읽은 기억은 나는데 내용은 기억에 없다. 영화를 보니 남녀의 속물적인 심리를 대사에서 드러내기도 하는데, 처음엔 이 작품도 권위적인 남성주의 영화란 생각을 했다. 하지만 영화의 흐름상 그건 좀 의도된 것 같다. 예를 들면 남자 주인공 집에 고용된 운전기사가 딸 쌍둥이를 낳았다며 은근 자랑을 하지만, 겸손의 의미긴 하지만 축하를 거절하는 장면이 나온다. 딸 쌍둥이를 낳은 걸 가지고 무슨 축하냐며. 주인공 역시 거절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요즘으로선 있을 법한 일은 아니다. 쌍둥이가 어디 흔한 일인가? 그걸 어떻게 별것 아닌 일인 양 하겠는가. 또한 남자 주인공의 친구 세무서장(이낙훈 분) 은 여자 주인공(윤정희 분)에게 마음이 있으면서도 출신 성분이 별 볼 일없으면서 까장을 떤다고 흉을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을 가감 없이 다룬 것을 보면 당시의 남성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뭔가 비판을 가하고 싶었던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 영화는 뻔하게 흘러가는 인생의 허무함과 나른함을 과거와 현재를 교차하며 보여며 일탈의 욕망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 욕망을 채우는 것으로도 만족을 모르는 인간이 다시 무진을 떠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그런데 보는 나의 입장에선 뭔가 석연치 않다. 그렇다면 여자란 뭐란 말인가. 남자는 잠깐의 휴가를 얻어 고향인 무진으로 돌아온 거고, 거기서 짧은 기간 동안 여자를 만나 욕정을 채우고 떠나지만 남자를 이용해 무진을 떠나고 싶어 했던 여자는 그대로 남겨진다. 과연 후에라도 남자에 의해 여자는 뜻을 이룰까? 그건 누가 봐도 부정적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이 작품은 여전히 남성주의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긴 60년 대면 아직 우리나라에 여성 문제가 뭔지 제대로 논의되지도 않았던 때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와 원작은 다시 만들어지고 써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김승옥은 남자의 관점에서 <무진기행>을 썼다면, 누군가는 여자의 관점에서 다시 써야 하지 않을까. 


영화에서 고 강신성일이나 윤정희는 비교적 최근까지도 작품 활동이나 이런저런 활동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알려왔지만, 영화에서 남자의 친구 역으로 나왔던 세무서장의 이낙훈 배우를 아는 사람이 있을까 싶기도 하다. 그가 한창 활동하던 시기에 그가 미국 H대 유학파라는 게 알려지고, 외모에서 풍기듯 선 굵은 연기를 하다가 어느 날 브라운관에서 사라진 배우다. 70년 대 한창 반공의 시대에 <추적>이란 반공 드라마를 기억한다. 남파된 간첩을 잡아내는 수사물로 거기서 그는 수사반장 역을 맡았다. 지금 내용은 기억이 안 나는데 M본부에서 <수사반장>이 한창 인기를 구가하고, K본부에선 나시찬이란 배우를 앞세워 <전우>란 드라마를 내보내고 있을 때, 아직 통폐합으로 사라지기 전 TBC에선 대항마로 이 드라마가 방영했을 것이다. 그 드라마 이후 난 TV에서 본 기억이 없고, 일찍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의 생몰연도가 1998년이다. 분명 이른 타계인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생각 보단 길다. 타계할 때까지 작품 활동도 꽤 했다.  

영화 <배덕자(1976년)>의 한 장면

그를 이 영화에서 보게 될 줄은 몰랐는데 다시 보니 많이 그립다. 배우는 꼭 잘 생긴 사람만이 하는 것이 아니며 진정한 연기력으로 하는 것임을 몸소 보여줬던 배우는 아닌가 싶다. (또 그래서 상대적으로 잘 생긴 배우는 연기를 못한다는 속설이 있기도 했다. 요즘엔 별로 통하는 얘기도 아니지만.)   


오래된 유럽 영화를 보는 것 같기도 한데 감독의 저력이 대단하다 싶다. 나중에 다시 한번 봐야 할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자의 전성시대는 아직 오지 않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