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Sep 08. 2020

계약서를 쓰며 그렇게 어른이 된다.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간에.

'자의적 어른', '타의적 어른'


나는 어른을 아래 둘로 나눈다.

자의적 어른
타의적 어른


'자의적 어른'은 말 그대로 스스로 바라고 택하는 어른이다.

어린 날이 좋긴 하지만 그보단 성장하고 싶다는 생각, 쓴 맛을 각오하고서라도 인생을 배우고 싶다는 의젓한 태도가 삶을 이끈다.


반면, '타의적 어른'은 강요당한 어른이다.

그 강요는 사회로부터, 나이로부터, 역할로부터 온다. 나는 피터팬으로 남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다. 사회가 정해 놓은 기준, 나이가 주는 압박,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숙명까지.


사실, 우리는 모두 '자의적 어른'과 '타의적 어른' 사이에서 서성이고 있다.

서성이는 존재는 성숙하지 못한 것이므로, 어쩌면 우리의 방황은 자연스러운 것일지 모른다.


어른이라는 전환점
그리고 계약서


한 가지 분명한 건, '어른'이라는 굴레를 뒤집어쓴 그 순간이 바로 인생의 가장 큰 '전환점'이라는 것이다.

나는 정말 어른인 걸까.
나는 언제 어른이 된 걸까.


어른인지 아닌지, 언제 어른이 된 건지 알 수 없지만 전환점을 이미 지났으므로 그에 대한 답은 의미가 없다.


그러나, 살면서 '계약서'를 쓸 때면 이 두 가지 질문을 떠올리고 자문자답 한다.

아,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 보니 나는 어른이 되었구나.
그래, 계약서를 작성하는 순간부터 나는 어른이었어.


과연, 그렇다.

근로 계약서, 보험 계약서, 대출 계약서, 매매 계약서, 출간 계약서 등은 우리 숨을 조여 온다. 계약 관계 사이엔 약속이 있고, 그 약속은 권리와 의무를 기반으로 한다. 제대로 읽지 않거나, 허투루 계약서를 대하면 권리를 챙기지 못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의무를 질 수도 있다.


그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

깨알 같은 글씨를 끝까지 읽어야 하는 존재.

서명하는 순간 돌이킬 수 없음을 받아들여야 하는 존재.


그게, 어른인 것이다.




P.S


출간 계약은 설렌다.

게다가 내가 '갑'이 되는 몇 안 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출간 계약서에선 작가가 '갑'으로 표기된다. - 작가 주 -)


그러나, 글을 쓰고 책을 내고 싶다는 그러니까 그 '하고 싶은 일'은 계약서에 서명하는 순간 (언제까지 완료를) '해야 하는 일'로 무섭게 돌변한다.


계약서와 계약금을 받아 든 나는, 서명 하기 전의 설렘과 서명하고 난 후의 압박 사이에서 그렇게 서성인다.


그렇게 또다시, 어른의 굴레를 뒤집어쓰는 것이다.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간에.




스테르담 글쓰기 클래스(VOD)

스테르담 글쓰기 클래스(오프라인/온라인라이브)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저서 모음]

'견디는 힘' (견디기는 역동적인 나의 의지!)

'직장내공' (나를 지키고 성장시키며 일하기!)

'오늘도 출근을 해냅니다' (생각보다 더 대단한 나!)

'아들에게 보내는 인생 편지' (이 땅의 모든 젊음에게!)

'진짜 네덜란드 이야기' (알지 못했던 네덜란드의 매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